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0536
한자 河東雙磎寺大雄殿
영어의미역 Daeungjeon Hall of Ssanggye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승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8년 12월 19일연표보기 - 하동 쌍계사 대웅전 보물 제50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하동 쌍계사 대웅전 보물 재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632년연표보기
개축|증축 시기/일시 1695년연표보기
개축|증축 시기/일시 1735년연표보기
개축|증축 시기/일시 1850년연표보기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1년연표보기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8년연표보기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7년연표보기
현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 지도보기
성격 대웅전
양식 겹처마 단층 팔작건물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쌍계사
관리자 쌍계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때 조성한 것을 중건한 조선 후기의 건축물.

[위치]

하동 쌍계사 대웅전 영역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다.

[변천]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 대비 화상삼법 화상에 의해 처음 세워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처음에는 옥천사라 하였는데,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 하여 정강왕[?~887]이 쌍계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 뒤의 변동 내역은 알 수 없는데, 조선 시대에 들어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이를 벽암 선사가 1632년(인조 10)~1637년(인조 15) 사이에 다시 중창하였다. 이후 1695년에 백암성총 선사가 중수하였고, 1735년(영조 11)에 법훈 선사가, 1850년(철종 1)에 쌍운경찰 선사와 쌍월필홍 선사가 중수하였다. 현대에 들어와 고산 선사가 1981년과 1987년에 두 차례에 걸쳐 일부 수리를 추진하였다. 1991년에는 기와 보수, 1998년에는 벽화와 더불어 마루와 벽체를 수리하였다.

[형태]

앞면 5칸, 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다포 양식으로 가운데 세 칸에는 두 개의 공간포(空間包)를, 좌우 끝 칸에는 한 개의 공간포를 올려놓았다. 이는 좌우 끝 쪽 기둥 사이를 좁혔기 때문이다. 공포의 구성은 안팎으로 삼출목(三出目)인데, 쇠서는 수서[(垂舌]가 셋이고 앙서[仰舌]는 하나이다. 앙서가 짧고, 내부의 첨차가 모두 교두식(翹頭式)인 것으로 보아 비교적 오래된 양식임을 알 수 있다. 바닥에는 마루를 깔았고,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천장 안쪽을 가린 우물천장으로 꾸며놓았다.

하동 쌍계사 대웅전에는 3개소의 불단이 마련되었는데, 세 분을 모신 목조삼세불좌상과 네 분을 모신 사보살입상을 봉안한 주불단, 그리고 영가단과 신중단으로 나뉜다. 불단 상부에는 닫집이 구성되었는데, 짧은 기둥 사이에 창방을 두르고 평방을 얹은 후 다포계의 공포대를 형성하였고, 추녀 및 사래를 걸어 겹처마를 구성하였다. 또한 하동 쌍계사 대웅전에는 창건 당시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파악되는 범종과 1799년(정조 23)에 조성된 괘불이 있다.

[현황]

하동 쌍계사 대웅전은 1636년(인조 14)에 중건된 뒤 400여 년의 세월을 거치면서도 그 모습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기둥과 보 등 주요 부재가 이완되면서 건물이 앞면과 왼쪽 방향으로 크게 기울어지는 구조적 변형이 진행되었다. 이에 문화재청에서 더 이상의 훼손을 막고자 전반적인 해체 보수를 계획하고 지리산 쌍계사와 협의하여 2004년부터 보수 공사를 시작하였다. 2007년 공사가 완료됨으로써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하동 쌍계사 대웅전은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50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에 건축된 하동 쌍계사 대웅전은 목조 건물 가운데 건축 양식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동 쌍계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삼세불상은 조성 당시 지리산 쌍계사의 신앙적 경향을 알려주는 것으로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