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401920
한자 姜柄周
영어음역 Gang Byeongju
이칭/별칭 학수(學叟),옥촌(玉邨),두산(斗山)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남도 하동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전병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39년연표보기
활동 시기/일시 1879년연표보기
활동 시기/일시 1880년연표보기
활동 시기/일시 1900년연표보기
활동 시기/일시 1907년연표보기
몰년 시기/일시 1909년연표보기
출생지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 대봉산
성격 유학자
성별
본관 진양(晉陽)

[정의]

개항기 하동 출신의 유학자.

[가계]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학수(學叟), 호는 옥촌(玉邨)·두산(斗山). 남명(南冥) 조식(曺植)에게 수학한 만송(晩松) 강렴(姜濂)[1544~1606)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중은(重隱) 강석좌(姜錫佐)[1777~1853]이며, 아버지는 죽헌(竹軒) 강지준(姜之濬)이다. 어머니는 하시원(河始元)의 딸 진양 하씨(晉陽河氏)이고, 부인은 정충환(鄭忠煥)의 딸 진양 정씨(晉陽鄭氏)이며, 그 사이에 2남을 두었다.

[활동 사항]

강병주(姜柄周)[1839~1909]는 어릴 적에 할아버지 강석좌에게 『효경(孝經)』 등을 배웠다. 이후에 월촌(月村) 하달홍(河達弘)[1809~1877)에게 수학하였으며, 성재(性齋) 허전(許傳)[1797~1886]에게 제자의 예를 올렸다. 동생 강병용(姜柄鏞)과 함께 독실하게 학문을 강마하고 극진히 부모를 섬겼다. 1879년(고종 16)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1837~1905]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과 함께 모한재(慕寒齋)에서 강학하였다. 그 이듬해인 1880년 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1824~1904] 등과 더불어 호남 지역을 유람하였다.

1900년(고종 37) 오산서숙(鰲山書塾)에서 강학을 열고, 1901년 남천(南川) 이도묵(李道黙)[1843~1916],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1846~1919] 등과 향음주례(鄕飮酒禮)를 행하였다. 1907년 물천(勿川) 김진호(金鎭祜)[1845~1908] 등과 함께 여택당(麗澤堂)에서 성재 허전의 저술을 간행하였다.

[학문과 저술]

어려운 시국에 태어나 나라에 이변이 있을 적마다 유학자로서의 도리와 실천을 힘써 행하였다. 그리하여 당시에 성재 허전,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1818~1886], 만성(晩醒) 박치복(朴致馥)[1824~1894] 등이 그를 칭송하고 격려하였다. 1908년(순종 2) 겨울에 병이 위중하여 두방재(斗芳齋)에서 조섭을 하였는데, 그런 중에도 『시경(詩經)』 위풍(衛風) 기욱(淇隩)을 날마다 외웠다. 이는 한 가닥의 숨이라도 붙어 있는 한 자신을 수양하는 데 게으르지 않겠다는 뜻에서 행한 것이다.

저서로 문집 『두산거사문집(斗山居士文集)』이 있는데, 그 가운데 『대학(大學)』 이도(二圖), 『중용(中庸)』 육대절(六大節) 일도(一圖), 「진학차제(進學次第)」 일도, 「성현언지(聖賢言志)」 일도, 「지인(知仁)」 일도, 「부동심(不動心)」 일도, 「동명(東銘)」 일도, 「계사제일장(繫辭第一章)」 일도, 「인륜일용통오상(人倫日用通五常)」 일도, 「경의례삼잠(敬義禮三箴)」 등이 수록되어 있어 성리학자로서의 면모를 잘 보여 준다.

[묘소]

묘소는 하동군 옥종면 두양리 대봉산(大鳳山) 동쪽 기슭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