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있는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을 말한다. 민간의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부른다. 사당은 사우(祠宇)·사(祠)·사묘(祠廟)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각(閣)이라 하여 격조를 높이려는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시고 있을 경우 영당(影堂...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있는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을 말한다. 민간의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부른다. 사당은 사우(祠宇)·사(祠)·사묘(祠廟)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각(閣)이라 하여 격조를 높이려는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시고 있을 경우 영당(影堂...
-
조선 후기와 개항기 하동 출신의 효자 3형제. 본관은 진양(晉陽). 감호(鑑湖) 정호신(鄭虎臣)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함(鄭檻)이며, 어머니는 강위찬(姜渭贊)의 딸 진주 강씨(晉州 姜氏)이다. 정치덕(鄭致德)의 자는 여실(汝實), 호는 사감헌(四感軒)으로, 1794년(정조 18) 6월에 태어나 1866년(고종 3) 7월에 사망했다. 정치도(鄭致道)의 자는 준보(俊甫), 호는 애당...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있는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을 말한다. 민간의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부른다. 사당은 사우(祠宇)·사(祠)·사묘(祠廟)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각(閣)이라 하여 격조를 높이려는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시고 있을 경우 영당(影堂...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있는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을 말한다. 민간의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부른다. 사당은 사우(祠宇)·사(祠)·사묘(祠廟)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각(閣)이라 하여 격조를 높이려는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시고 있을 경우 영당(影堂...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월횡리·안계리에 걸쳐 있는 산. 본디 이름은 가사산(佳士山)인데, 산의 형상이 아름다운 선비의 모습을 닮았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하동군 옥종면 안계리 출신으로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학풍을 이어받은 겸재(謙齋) 하홍도(河弘度)가 이 산기슭에 모한재(慕寒齋)를 지어 제자들을 가르친 이후 사림산(士林山)이라고 불렀다. 사림산[573.8m]~흰덤산[6...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하는 유희요. 「애정요」는 청춘 남녀가 이성을 그리워하고 연모하는 마음을 노래한 민요이다. 하동의 「애정요」에는 그네를 밀며 임과 사랑을 나누던 때를 그리는 「그네 노래」, 청춘의 한때 열정을 그리워하는 「청춘가」, 임을 그리워하며 타는 가슴을 노래한 「상사가」, 떠나간 임을 그리워하는 「임생각」 두 편, 처녀를 그리워하는 「연가」, 「...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있는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을 말한다. 민간의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부른다. 사당은 사우(祠宇)·사(祠)·사묘(祠廟)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각(閣)이라 하여 격조를 높이려는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시고 있을 경우 영당(影堂...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있는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을 말한다. 민간의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부른다. 사당은 사우(祠宇)·사(祠)·사묘(祠廟)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각(閣)이라 하여 격조를 높이려는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시고 있을 경우 영당(影堂...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파주(坡州). 자는 사빈(士彬), 호는 죽월(竹月). 고려 후기 재상을 지낸 충경공(忠敬公) 염제신(廉悌臣)의 후손이다. 염종환(廉宗煥)은 1742년(영조 18)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등창이 심해 병석에 누워 있을 때 입으로 고름을 빨아내고 똥의 맛을 보면서 병세를 살펴 등창을 낫게 하였다. 어느 해 여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암자. 본래 사시(獅嘶)는 지리산 사자봉 아래 있는 절터였다. 사자가 포효한다고 해서 이곳의 이름을 ‘사시’라고 불렀다고 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승려가 이 절터에서 공부를 하면 부처가 사자후(獅子吼)를 하듯이 설법을 자유자재로 하였다고 한다. 한편 본래 암자였던 이곳에 절이 폐사되자 사람들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는데, 이곳에서 공...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암자. 본래 사시(獅嘶)는 지리산 사자봉 아래 있는 절터였다. 사자가 포효한다고 해서 이곳의 이름을 ‘사시’라고 불렀다고 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승려가 이 절터에서 공부를 하면 부처가 사자후(獅子吼)를 하듯이 설법을 자유자재로 하였다고 한다. 한편 본래 암자였던 이곳에 절이 폐사되자 사람들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는데, 이곳에서 공...
-
근대 하동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희문(羲文), 호는 사와(士窩). 사직(司直)을 지낸 하진(河珍)의 후손이다. 겸재(謙齋) 하홍도(河弘度)[1593~1666]의 동생 낙와(樂窩) 하홍달(河弘達)[1603~1651]의 9세손이며, 설창(雪牕) 하철(河澈)[1635~1704]의 8세손이다. 5대조 국헌(菊軒) 하달성(河達聖)[1734~1791]은 ‘종천서원 원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있는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을 말한다. 민간의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부른다. 사당은 사우(祠宇)·사(祠)·사묘(祠廟)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각(閣)이라 하여 격조를 높이려는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시고 있을 경우 영당(影堂...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있는 조상의 신주를 모셔 놓은 집. 사당(祠堂)은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을 말한다. 민간의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고 부른다. 사당은 사우(祠宇)·사(祠)·사묘(祠廟) 등으로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 각(閣)이라 하여 격조를 높이려는 예도 있으며, 신주 대신 영정을 모시고 있을 경우 영당(影堂...
-
개항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사원(士元), 호는 청호(靑湖).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 이항복(李恒福)의 후손이다. 이규술(李奎述)[1860~?]은 천성이 매우 효성스러웠다. 어버이를 섬김에 뜻을 잘 받들었고 물질적 봉양도 잘하였다. 어버이가 여러 해 병중에 있을 때 변을 맛보며 병세를 살폈다. 병세가 위독해졌을 때는 자신이 대신 아프게 해 달라고 하늘에 빌...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절 터. 하동 지역의 사지로는 신흥사지(新興寺址), 봉상사지(奉常寺址), 이명산(理名山) 석불사지(石佛寺址), 청룡리 사지(寺址) 등이 전해 오고 있다. 이외에 유물은 전하지만 정확히 그 사지가 알려져 있지 않거나 사명을 잃어버린 경우도 있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 각종 지리...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카메라를 통해 표현해 내는 예술의 한 장르. 하동의 사진 예술은 지리산과 섬진강이라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었음에도 지방이라는 지역적 환경, 사진 예술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인해 거의 황무지나 다름없었다. 근세에 들어 사진 예술을 사랑하는 소규모의 순수 창작 동호회가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며 하동 지역 사진 예술의 역사를 유지해 왔지만, 현재는...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부처의 가르침을 배우고 따라서 생활하며 불법을 익히는 장소. 우리나라의 불교 전래는 북방 전래설(北方傳來說)과 남방 전래설(南方傳來說)이 있는데, 공식적으로는 북방 전래설이 정설로 되어 있다. 북방 전래설에 따르면 불교는 중국을 거쳐 고구려, 백제, 신라의 순으로 수용되었는데, 372년(소수림왕 2) 전진의 아도와 순도가 불상과 불경을 가지고 들어와 고구려에...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터가 모래 둑으로 이루어졌으므로 사평리(沙坪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북면 사평동·모동(牟洞)이 통합되어 사평리가 되었다. 이명산 북서 비탈면에서 갈라져 나온 산줄기와 천황산 남쪽으로 뻗은 지맥들이 둘러싼 작은 분지 동쪽 수구(水口) 부분에 자리 잡고 있다. 북천천이 방화리 상류에서 발원하여 사평리를 관통하고 동쪽으...
-
개항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사현(士見), 호는 귤은(橘隱). 안경공(安敬公) 김영정(金永貞)의 후손이다. 친아버지는 김성두(金星斗), 친어머니는 경주 이씨이며, 양아버지는 김문두(金文斗), 양어머니는 강성 문씨(江城 文氏)[남평 문씨]다. 김현주(金顯周)는 1858년(철종 9)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에서 태어나, 훗날 진교면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산업 사회가 심화되면서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욕구도 증대되고 있다. 사회복지는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에 관계하는 조직적인 개념이다. 즉 불행과 고통이 없는 이상적인 사회 상태, 환경, 조건 등을 만들기 위한 사회 보장, 보건의료, 주택, 교육, 고용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노인, 아동, 장애...
-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하동군 등에서 민족 해방과 계급 해방을 위해 전개되었던 민족 운동. 사회주의 운동은 노동자 중심의 사회 건설을 위한 계급 운동으로 출발하였지만, 식민지 민중에게는 민족 해방 운동으로서도 기능한 사회 변혁 운동이었다. 우리 사회에 사회주의 사상이 전래된 이후 민족 해방과 노동자 중심의 사회 건설을 위한 사회 변혁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1925년 조선공산당의 창립...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 분포하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하동군은 지리산지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옥종면~횡천면~고전면을 경계로 서쪽의 지리산지와 동쪽의 구릉성 산지로 구분된다. 하동군 북서부는 1,000m급의 산지가 발달해 있다. 그러나 지리산 영역 바깥에 해당되는 남동부의 산지들은 500~600m 이하의 산지들이며 하동군 금남면과 진교면 경계에 있는 금오산[849...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에서 매년 3월 말 개최되는 축제. 매년 3월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먹점마을 입구는 매화꽃과 배꽃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또한 하동군 하동읍~흥룡리~화개장터~쌍계사(雙磎寺)로 이어지는 도로 주변에 핀 벚꽃은 섬진강과 함께 최고의 풍광을 자랑한다. 산골 매화꽃 축제 한마당은 2004년 3월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먹점마을의 산골매실농원에서 먹점마을청년회...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에서 매년 3월 말 개최되는 축제. 매년 3월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먹점마을 입구는 매화꽃과 배꽃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또한 하동군 하동읍~흥룡리~화개장터~쌍계사(雙磎寺)로 이어지는 도로 주변에 핀 벚꽃은 섬진강과 함께 최고의 풍광을 자랑한다. 산골 매화꽃 축제 한마당은 2004년 3월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먹점마을의 산골매실농원에서 먹점마을청년회...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 금오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산불사는 승려 묘광(妙光)이 1979년부터 전라남도 영암군에 있는 월출산에서 기도하다가 관세음보살이 올라가는 모습을 보고 이상하게 여기던 중 이곳을 지나가다가 꿈에서 본 지형과 흡사한 것을 보고, 1981년 금오산 밑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 상촌으로 자리를 옮겨 기도를 하면서 불사를 하였다. 이곳은 금오...
-
경상남도 하동군 일대에서 주로 지리산 산나물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든 비빔밥. 비빔밥은 밥과 반찬을 한 그릇에 섞어 비벼 먹는 음식으로, 각종 나물과 고기볶음 등을 섞어서 만든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좋아하는 음식으로, 각 지방마다 고유의 특색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에서 전주비빔밥과 진주비빔밥이 가장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비빔밥은 식지 않은 백반 위에 쇠고기 볶음이나...
-
조선 전기 하동의 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건중(楗仲), 호는 남명(南冥)·산해(山海)·방장산인(方丈山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생원 조안습(曺安習)이고, 할아버지는 봉사(奉事) 조영(曺永)[1428~1511]이며, 아버지는 승문원판교(承文院判校) 조언형(曺彦亨)[1469~1526]이다. 증조할머니는 강성 문씨(江城文氏)로 삼우당(三憂堂) 문익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함양군 마천면,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삼각고지는 3개도에 걸쳐 있는 산으로써, 북서쪽으로는 뱀사골, 북동쪽으로는 백무동 계곡, 남쪽으로는 지리산 불교문화의 요람인 화개천 계곡·대성계곡·의신계곡을 모두 조망할 수 있는 산이다. 삼도봉에서 삼각고지, 영신봉에 이르는 지리산 주능선은 혼성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1m 안팎까지 풍화...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는 신선 도장(神仙 道場). 삼성궁(三聖宮)의 ‘삼성’은 한배임[환인], 한배웅[환웅], 한배검[단군]이다. 배달민족의 고유 경전이라는 『천부경(天符經)』, 『삼일신고(三一神誥)』, 『참전계경(參全戒經)』의 삼화경과 삼륜(三輪), 오계(五戒), 팔조(八條), 구서(九誓) 덕목을 교리로 삼고 신선도를 수행한다. 국풍(國風)인 천지화랑(天指花郞) 정신...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는 민속 박물관. 청학동 박물관은 삼성궁(三聖宮)에 부속된 민속 박물관이다. 삼성궁은 현재 지리산 청학동이라 알려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으며 환인·환웅·단군을 모시는 배달겨레의 성전이자 수도장으로 알려져 있다. 지리산 삼신봉의 동쪽 800m 높이에 자리하고, 이곳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은 갱정유도(更定儒道)를 신봉하며 ‘도인촌(道人村)’이라고...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는 민속 박물관. 청학동 박물관은 삼성궁(三聖宮)에 부속된 민속 박물관이다. 삼성궁은 현재 지리산 청학동이라 알려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으며 환인·환웅·단군을 모시는 배달겨레의 성전이자 수도장으로 알려져 있다. 지리산 삼신봉의 동쪽 800m 높이에 자리하고, 이곳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은 갱정유도(更定儒道)를 신봉하며 ‘도인촌(道人村)’이라고...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부터 지리산을 삼신산이라 일컬었는데, 마을 뒤로 멀리 지리산 삼신봉과 봉래봉이 있으며, 삼신사(三神寺)라는 절이 있었으므로 삼신리라 하였다. 삼신리는 1632년(인조 10) 편찬된 『진양지(晉陽誌)』에 황전촌(黃田村)으로 기록된 유서 깊은 마을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삼신동·법하동(法下洞)·침점동(針店洞)이 통합되어 삼신리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아기가 생기기를 기원하며 삼신을 모시는 의례. 삼신은 아이를 점지하고 태어난 아이가 잘 자라도록 도와주는 신령이다. 삼신받기는 불임녀(不姙女)가 삼신을 받아 수태를 하고자 하는 의식이다. 이를 ‘삼신맞이’라고도 한다. 삼신받기는 넓은 의미에서 기자 의례(祈子儀禮)에 속하며, 삼신을 집안이나 불임녀에게 적극적인 방법으로 초치(招致)하여 임신하게 하려는 것이다....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아기가 생기기를 기원하며 삼신을 모시는 의례. 삼신은 아이를 점지하고 태어난 아이가 잘 자라도록 도와주는 신령이다. 삼신받기는 불임녀(不姙女)가 삼신을 받아 수태를 하고자 하는 의식이다. 이를 ‘삼신맞이’라고도 한다. 삼신받기는 넓은 의미에서 기자 의례(祈子儀禮)에 속하며, 삼신을 집안이나 불임녀에게 적극적인 방법으로 초치(招致)하여 임신하게 하려는 것이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청암면, 산청군 시천면에 걸쳐 있는 산. 삼신봉[1,284m]은 청학동에서 볼 때 서쪽의 내삼신봉[1,354m]과 중앙의 삼신봉, 동쪽의 외삼신봉[1,288m]으로 이루어진 산이다. 지리산 주능선의 전망대 구실을 하여, 악양으로 흘러내린 성제봉[일명 형제봉] 능선과 멀리 탁 트인 남해의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삼신봉 정상에 오르면 북쪽으로 천왕봉...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전해 내려오는 절기 풍속. 삼월 삼짇날은 봄철에 3이란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吉日)이다. 삼짇날이라 하거나 상사(上巳), 원사(元巳), 상제(上除) 등이라고도 한다. 이때쯤 산과 들에는 화사한 진달래꽃이 피어나 각 마을마다 봄놀이를 펼치며, 마을에 따라 동제(洞祭)를 지내기도 한다. 농사를 준비하던 머슴도 이날은 하루를 즐기며 쉬는 날이며...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고하리에 있는 3·1 독립 만세 기념비. 하동군 고전면과 금남면의 애국 청년들이 애국 애족의 뜻을 같이하여 일신단 33명을 조직하였는데, 이는 민족 대표 33인을 본받아 만든 항일 단체이다. 일신단은 1919년 4월 6일 고전면 주교리 일명 배다리장터에서 독립 만세 시위를 전개하였다. 일신단원들은 이튿날 아침 노약자들을 하동군 고전면의 지소마을 뒷산으로 피신...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정수리에 있는 천주교 공소.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 거주하는 천주교 신자들은 주일에 미사 예절에 참례하기 위해 인근 경상남도 진주시의 옥봉성당으로 가야 했다. 이에 옥봉성당에서 옥종면 신자들의 편의를 위해 가까운 거리에서 천주교 예절을 거행할 수 있도록 삼장공소를 설립하였다. 북방천을 가운데 두고 큰 곡(谷)이 있어 이곳을 대곡(大谷)이라 부른다. 이 지역...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전해 내려오는 절기 풍속. 삼월 삼짇날은 봄철에 3이란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吉日)이다. 삼짇날이라 하거나 상사(上巳), 원사(元巳), 상제(上除) 등이라고도 한다. 이때쯤 산과 들에는 화사한 진달래꽃이 피어나 각 마을마다 봄놀이를 펼치며, 마을에 따라 동제(洞祭)를 지내기도 한다. 농사를 준비하던 머슴도 이날은 하루를 즐기며 쉬는 날이며...
-
조선 후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 증조할아버지는 봉산군수를 역임한 백암(白巖) 김대명(金大鳴)[1536~1603]이며, 할아버지는 김용익(金龍翼)이다.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을 지낸 김충립(金忠立)이며, 어머니는 예조참판을 역임한 지족당(知足堂) 박명부(朴明榑)[1571~1639]의 딸인 밀양 박씨(密陽朴氏)다. 2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처는 익찬(翊贊)을 지낸 죽...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삼화교회는 하나님의 성전을 구축하여 기도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전도하여 모든 사람을 하나님의 나라로 인도함으로써 평화가 가득한 하나님의 나라를 만들고자 하는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1975년 4월 7일 삼화초등학교 교사 서성원 장로가 정권수의 집에서 예배를 보면서 교회가 시작되었으며, 1976년 10월 9일 현 예배당...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서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삼화저수지는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과 횡천면 일원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건립하였다. 1995년 착공하여 1997년 1월 1일 준공하였다. 소요된 사업비는 40억 원으로 전액 국비로 조성하였다. 제방, 여수토, 방수로로 형성된 제1종 시설물이며, 사통 형식의 취수 시설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삼...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통정리에 있는 정치덕(鄭致德)·정치도(鄭致道)·정치행(鄭致行) 삼형제의 효행을 기리는 비. 조선 순조 때의 진양 정씨 삼형제인 정치덕·정치도·정치행은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고, 아버지 묘소에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는 한편, 집에 빈소를 차려 매일 왕래하였다. 마을 사람들이 길을 닦아 효자로(孝子路)라 했고, 마을은 삼효동(三孝洞)이라 불렀다. 1891...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에 있는 최원추(崔元樞), 최상순(崔相淳) 및 창녕 성씨의 효행을 기리는 비. 최상순은 본관이 경주(慶州)이며, 최치원(崔致遠)의 후손이다. 1838년(헌종 4) 출생하였다. 타고난 성품이 너그럽고 후하며 인자하여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었으며, 일을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처리하였다. 부인 창녕 성씨(昌寧成氏)와 함께 병약한 노부모를 모시며 효도를 다하였...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에 있는 최원추(崔元樞), 최상순(崔相淳) 및 창녕 성씨의 효행을 기리는 비. 최상순은 본관이 경주(慶州)이며, 최치원(崔致遠)의 후손이다. 1838년(헌종 4) 출생하였다. 타고난 성품이 너그럽고 후하며 인자하여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었으며, 일을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처리하였다. 부인 창녕 성씨(昌寧成氏)와 함께 병약한 노부모를 모시며 효도를 다하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고려 후기 한유한이 은거하였던 바위. 삽암(鈒巖)은 섬진강 가에 솟아 있는 하나의 바위이다. 우리말로 ‘꽂힌 바위’라 부르는데, 하동군 악양면 사람들은 ‘섯바구’ 또는 ‘선바위’라 부르기도 한다. 예로부터 남해와 섬진강의 어선들이 정박하였고, 영호남을 연결하는 나룻배가 다니던 곳이었다. 삽암은 고려 말의 은자인 한유한(韓惟漢)이 난세를 피해...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10월에 가택신(家宅神)에게 올리는 고사. 도신(禱神)은 음력 10월에 말날[午日]이나 길일을 선택하여 집안에 탈이 없도록 지내는 고사(告祀)이다. 도신은 농경이 시작된 고대 이래 계속된 가신(家神)들에 대한 종합제(綜合祭)로 대상 신은 가신 전체이며 목적은 추수 감사이다. 이를 ‘상달 고사’, ‘안택’ 등이라고도 한다. 방법은 10월의 첫 말날이나 주...
-
근대 하동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상덕(尙德), 호는 청천(晴川). 고려조 통례문지후(通禮門祗侯) 정신(鄭侁)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정함수(鄭檻壽)이며, 할아버지는 애당(愛塘) 정치도(鄭致道)인데, 효성으로 인해 사헌부감찰에 증직되고 정려가 내려졌다. 이때 정치도의 형 정치덕(鄭致德)과 동생 정치행(鄭致行)도 동시에 증직과 정려가 내려져 ‘형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인간의 마지막 길에 예를 갖추어 보내드리는 절차를 말한다. 죽음이란 인간이라면 누구나 숙명적으로 겪지 않을 수 없는 엄연한 섭리이다. 따라서 상례는 한 인간으로 태어나서 부귀영화를 누렸거나 유리걸식(遊離乞食)을 했거나 비명횡사를 했거나 간에 일생 동안 함께 살아오던 가족, 친지, 그 외의 모든 반려자와 영원히 이별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하동 지역의 장례식에서 상여 앞에서 요령을 흔드는 선소리꾼과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또는 상여꾼이 부르던 장례의식요이다. 일명 만가, 향도가, 향두가, 행상 소리, 회심곡 옥설개, 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다르게 부르고 있다. 하지만 하동 지역에서는 보편적으로 만가, 상부 소리, 상여...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전해 내려오는 절기 풍속. 삼월 삼짇날은 봄철에 3이란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吉日)이다. 삼짇날이라 하거나 상사(上巳), 원사(元巳), 상제(上除) 등이라고도 한다. 이때쯤 산과 들에는 화사한 진달래꽃이 피어나 각 마을마다 봄놀이를 펼치며, 마을에 따라 동제(洞祭)를 지내기도 한다. 농사를 준비하던 머슴도 이날은 하루를 즐기며 쉬는 날이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하는 유희요. 「애정요」는 청춘 남녀가 이성을 그리워하고 연모하는 마음을 노래한 민요이다. 하동의 「애정요」에는 그네를 밀며 임과 사랑을 나누던 때를 그리는 「그네 노래」, 청춘의 한때 열정을 그리워하는 「청춘가」, 임을 그리워하며 타는 가슴을 노래한 「상사가」, 떠나간 임을 그리워하는 「임생각」 두 편, 처녀를 그리워하는 「연가」, 「...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무신. 본관은 공주(公州). 자는 상서(祥瑞)·서백(瑞伯), 호는 석계(石溪). 공산부원군(公山府院君) 문무공(文武公) 이천일(李天一)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공필(李公弼)로 통정대부 철산부사(通政大夫鐵山府使)를 지냈으며, 할아버지는 이교(李嶠)로 맹산· 익산· 화순 현감을 지내고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지냈다. 아버지는 이시준(李時俊)으로 통정대부 이...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 상신대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상신대마을 당산제는 음력 사월 초파일에 신대리 상신대마을에 있는 ‘고속정 느티나무’, ‘방계 팽나무’, ‘농바구 소나무’ 등의 당산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지금은 ‘구제산계 회취’에 흡수된 마을 제의이다. 상신대마을은 소설 『토지』의 무대로 잘 알려진 악양면 평사리와 마주 보...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은 예로부터 민중의 일상생활 경험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물이다. 간결하고 비유적인 수법으로 보편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기능을 가진 세련된 말이다. 속담의 의미로 옛말, 속언(俗言) 등의 말을 쓰기도 한다. 속담에서의 ‘속’은 일상생활 공간에서 얻어진 삶의 지혜나 예지가 응축된 것이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하동 지역의 장례식에서 상여 앞에서 요령을 흔드는 선소리꾼과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또는 상여꾼이 부르던 장례의식요이다. 일명 만가, 향도가, 향두가, 행상 소리, 회심곡 옥설개, 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다르게 부르고 있다. 하지만 하동 지역에서는 보편적으로 만가, 상부 소리, 상여...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하동 지역의 장례식에서 상여 앞에서 요령을 흔드는 선소리꾼과 상여를 메고 가는 향도꾼 또는 상여꾼이 부르던 장례의식요이다. 일명 만가, 향도가, 향두가, 행상 소리, 회심곡 옥설개, 설소리 등 지역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다르게 부르고 있다. 하지만 하동 지역에서는 보편적으로 만가, 상부 소리, 상여...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을 전후하여 전해 내려오는 명절 풍습. 대보름은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으로 음력 정월 보름께에 지내는 명절이다. 이때에 일 년 중 가장 많은 의례와 놀이를 펼치는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고 구성원들의 단결과 화목을 조성한다. 오늘날 하동 지역에서는 세시 풍속이 많이 중단되었지만 대보름과 관련된 민속은 대체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대보름은 새해 첫...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이리라는 명칭은 상이동(上梨洞)에서 유래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청암면 상이동(上梨洞)과 답동(畓洞)이 통합되어 상이리가 되었다. 서북쪽으로 지리산 삼신봉에서 발원하여 관음봉·시루봉을 거쳐 732m 높이의 봉우리가 뻗어 내려오고, 동남쪽으로는 하동호가 펼쳐져 있다. 이들 지맥과 주산의 연맥 사이로 골짜기가 형성되었으며, 그 사...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에 전해 내려오는 절기 풍속. 삼월 삼짇날은 봄철에 3이란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吉日)이다. 삼짇날이라 하거나 상사(上巳), 원사(元巳), 상제(上除) 등이라고도 한다. 이때쯤 산과 들에는 화사한 진달래꽃이 피어나 각 마을마다 봄놀이를 펼치며, 마을에 따라 동제(洞祭)를 지내기도 한다. 농사를 준비하던 머슴도 이날은 하루를 즐기며 쉬는 날이며...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 473m 고지에서 발원하여 호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에 있는 하천이므로 흔히 청룡천이라 불린다.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는 본디 진주군 운곡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풍수지리상 청룡에 해당하는 왼쪽 산줄기가 마을을 싸고 있는 형국이므로 붙인 이름이다.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에서 발원한 상촌천은 골짜기를 따라 동쪽으로 흐르다가 청룡제를 지나면...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하동군 지회. 새마을 운동은 1970년대 말과 1971년 초에 거쳐 내무부가 중심이 되어 환경 개선 사업에 중점을 두고 행정 지도와 지원을 하여 시험적으로 실시한 이후, 청와대 비서실이 본격적으로 관장하여 추진되었다. 그러다가 1980년 12월 1일에 새마을운동중앙본부가 창립되면서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로 완전 전환되었다. 새마을...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하동군 지회. 새마을 운동은 1970년대 말과 1971년 초에 거쳐 내무부가 중심이 되어 환경 개선 사업에 중점을 두고 행정 지도와 지원을 하여 시험적으로 실시한 이후, 청와대 비서실이 본격적으로 관장하여 추진되었다. 그러다가 1980년 12월 1일에 새마을운동중앙본부가 창립되면서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로 완전 전환되었다. 새마을...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하동군 지회. 새마을 운동은 1970년대 말과 1971년 초에 거쳐 내무부가 중심이 되어 환경 개선 사업에 중점을 두고 행정 지도와 지원을 하여 시험적으로 실시한 이후, 청와대 비서실이 본격적으로 관장하여 추진되었다. 그러다가 1980년 12월 1일에 새마을운동중앙본부가 창립되면서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로 완전 전환되었다. 새마을...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소속의 하동군 지회. 새마을 운동은 1970년대 말과 1971년 초에 거쳐 내무부가 중심이 되어 환경 개선 사업에 중점을 두고 행정 지도와 지원을 하여 시험적으로 실시한 이후, 청와대 비서실이 본격적으로 관장하여 추진되었다. 그러다가 1980년 12월 1일에 새마을운동중앙본부가 창립되면서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로 완전 전환되었다. 새마을...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 있는 미술관. 새미골 도요지는 16~17세기 조선 도자기의 본류인 분청·상감·철화백자를 굽던 곳으로, 전통 막사발의 본고장이자 일본 국보 찻잔인 이도다완[井戶茶碗] 생산지로서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새미골은 옛날 ‘사기마을’이라 불릴 정도로 막사발의 장인이 많이 배출된 곳이다. 도예가 장금정이 막사발을 대중화하고 면 단위에서도 도예 작품을 자유롭게...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 있는 미술관. 새미골 도요지는 16~17세기 조선 도자기의 본류인 분청·상감·철화백자를 굽던 곳으로, 전통 막사발의 본고장이자 일본 국보 찻잔인 이도다완[井戶茶碗] 생산지로서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새미골은 옛날 ‘사기마을’이라 불릴 정도로 막사발의 장인이 많이 배출된 곳이다. 도예가 장금정이 막사발을 대중화하고 면 단위에서도 도예 작품을 자유롭게...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 있는 가마. 새미골요는 도예가 장금정이 운영하는 도요이다. 장금정은 30대 초반부터 일본의 국보로 정해진 조선 막사발을 재현하기 위해, 고대 문헌을 연구하고 분석하며 옛 사발의 파편을 모으고 토질과 유약을 연구하여 이를 성공시켰다. 장금정이 조선 막사발의 재현을 위해 조성한 것이 새미골요이다. 1974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 새미골에 도예가 장금정이...
-
경상남도 하동군 일대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 하동군의 13개 읍·면에서 생산되는 벼는 금남농협과 옥종농협의 미곡종합처리장[RPC, Rice Processing Complex] 및 개인 도정 공장에서 산물 벼로 매입하여 쌀로 생산되고 있다. 최신 시설 완비로 쌀의 미질이 좋아 고정 고객이 많으며, 시세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2009년 9월부터 금남농협과 옥종농협의 RPC...
-
* [개설]다음에는 소표제를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집필하시면 됩니다.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붓을 사용하여 글씨를 심미적으로 쓰는 행위나 그 결과물. 서예는 동양의 독특한 필기도구인 붓을 사용하여 글씨를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행위로, 서(書)·서도(書道)라고도 불린다. 문자의 선질(線質)과 점(點) 그리고 획(劃)을 중요시한다는 측면에서 서각이 서예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하동의...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서동(上西洞)·중서동(中西洞)·하서동(下西洞)의 공통 음절인 ‘서’자를 따서 서리(西里)라 하였다. 적량면 동쪽에 있는 동리(東里)에 대해 서쪽에 자리 잡고 있어 붙인 이름으로 여겨진다.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삼서촌(三西村)이라는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 진주목(晉州牧) 관할이었다가 1702년(숙종 28) 하동군 적량면에 속하...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공신. 본관은 달성(達城). 달성군(達城君) 서영(徐穎)의 11세손이다. 숙종 말년 소론은 세자[훗날의 경종]의 왕위 계승을 지지한 반면, 노론은 경종이 즉위한 뒤 숙종의 유명(遺命)이라는 이유로 경종의 뒤를 이을 인물로 연잉군[훗날의 영조]을 지지하였다. 특히 경종이 젊은데도 노론 측이 경종이 병이 많고 아들이 없다는 이유로 연잉군의 세제 책봉과 대리 청정...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서문(瑞文), 호는 오헌(鰲軒). 아버지는 정국원(鄭國元)이고, 어머니는 권임형(權任亨)의 딸인 안동 권씨(安東 權氏)이다. 부인은 유태영(柳泰泳)의 딸인 문화 유씨(文化 柳氏)이다. 정달진(鄭達晉)·정규진(鄭逵晉) 두 아들을 두었는데, 정달진은 효행으로 호조좌랑에 증직되고 정려가 섰다. 정태구(鄭泰龜)는 1703년(숙종 2...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무신. 본관은 공주(公州). 자는 상서(祥瑞)·서백(瑞伯), 호는 석계(石溪). 공산부원군(公山府院君) 문무공(文武公) 이천일(李天一)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공필(李公弼)로 통정대부 철산부사(通政大夫鐵山府使)를 지냈으며, 할아버지는 이교(李嶠)로 맹산· 익산· 화순 현감을 지내고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지냈다. 아버지는 이시준(李時俊)으로 통정대부 이...
-
* [개설]다음에는 소표제를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집필하시면 됩니다.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붓을 사용하여 글씨를 심미적으로 쓰는 행위나 그 결과물. 서예는 동양의 독특한 필기도구인 붓을 사용하여 글씨를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행위로, 서(書)·서도(書道)라고도 불린다. 문자의 선질(線質)과 점(點) 그리고 획(劃)을 중요시한다는 측면에서 서각이 서예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하동의...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공신.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이경(而卿). 정평공(貞平公) 서균형(徐鈞衡)[?~1391)의 후손이다. 서균형은 고려 후기의 관리로 우정언(右正言)과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거쳐 1390년(공양왕 2) 예문관대제학으로서 조준(趙浚)·이지(李至) 등과 함께 공양왕의 세자 왕석(王奭)의 사부로 활동했다. 1391년(공양왕 3) 사망하였다. 숙종 말년 소론은...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에 있는 효자 서석진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서석진(徐錫瑨)은 본관이 달성(達城)이며, 구계공(龜溪公) 서항(徐沆)의 후손이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으나, 하루하루 나무를 하여 팔아 생계를 꾸리며 홀로 된 병든 노모를 모셔야 하는 극빈(極貧)한 가정이었다. 온갖 정성을 다하여도 노모의 병이 낫지 않았고, 점점 심해지기만 하였다. 병구완을 하느라 장...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에 있는 효자 서석진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서석진(徐錫瑨)은 본관이 달성(達城)이며, 구계공(龜溪公) 서항(徐沆)의 후손이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웠으나, 하루하루 나무를 하여 팔아 생계를 꾸리며 홀로 된 병든 노모를 모셔야 하는 극빈(極貧)한 가정이었다. 온갖 정성을 다하여도 노모의 병이 낫지 않았고, 점점 심해지기만 하였다. 병구완을 하느라 장...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공신. 숙종 말년 소론은 세자[훗날의 경종]의 왕위 계승을 지지한 반면, 노론은 경종이 즉위한 뒤 숙종의 유명(遺命)이라는 이유로 경종의 뒤를 이을 인물로 연잉군[훗날의 영조]을 지지하였다. 특히 경종이 젊은데도 노론 측이 경종이 병이 많고 아들이 없다는 이유로 연잉군의 세제 책봉과 대리 청정을 서두르자, 소론은 경종의 보호를 명분으로 신임사화를 일으켰다....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조공근(曺公根) 이하 4대를 모시기 위해 세운 재실. 하동군 횡천면의 창녕 조씨(昌寧曺氏)는 대부분 조선 초기에 평양감사와 이조판서를 지낸 충익공 조문택의 후예이다. 충익공의 후예인 조숙(曺淑)은 홍문관응교를 지낸 뒤 회양부사 등 다섯 고을을 거치면서 치적이 매우 높았으며, 조숙의 작은아들 조원우(曺元佑)가 하동의 입향조로서 400...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조공근(曺公根) 이하 4대를 모시기 위해 세운 재실. 하동군 횡천면의 창녕 조씨(昌寧曺氏)는 대부분 조선 초기에 평양감사와 이조판서를 지낸 충익공 조문택의 후예이다. 충익공의 후예인 조숙(曺淑)은 홍문관응교를 지낸 뒤 회양부사 등 다섯 고을을 거치면서 치적이 매우 높았으며, 조숙의 작은아들 조원우(曺元佑)가 하동의 입향조로서 400...
-
* [개설]다음에는 소표제를 합리적으로 설정하여 집필하시면 됩니다.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붓을 사용하여 글씨를 심미적으로 쓰는 행위나 그 결과물. 서예는 동양의 독특한 필기도구인 붓을 사용하여 글씨를 심미적으로 표현하는 행위로, 서(書)·서도(書道)라고도 불린다. 문자의 선질(線質)과 점(點) 그리고 획(劃)을 중요시한다는 측면에서 서각이 서예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하동의...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에 있는 서용순(徐龍順)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서용순은 개항기 사람으로 초명은 서애혁(徐璦赫)이며, 아버지는 서지순(徐智淳)이다. 13세에 손가락 피를 내어 어버이를 소생하게 하는 등 효를 행하였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중년에 아버지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당시 유림에서 정려를 받으려고 통문을 돌리고 장계를 올렸으나 시대가 달라져 뜻을 이루지...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에 있는 서용순(徐龍順)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서용순은 개항기 사람으로 초명은 서애혁(徐璦赫)이며, 아버지는 서지순(徐智淳)이다. 13세에 손가락 피를 내어 어버이를 소생하게 하는 등 효를 행하였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중년에 아버지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당시 유림에서 정려를 받으려고 통문을 돌리고 장계를 올렸으나 시대가 달라져 뜻을 이루지...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대곡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지리산 쌍계사의 말사. 서운암(瑞雲庵)은 멀리 옥산(玉山)을 바라보며 좌우로 산자락이 감싸고 있는 야트막한 산기슭에 있다. 1950년 6·25 전쟁 이후 대곡리 마을에 살던 장경순 보살이 창건하였다. 처음에는 장경순의 어머니가 기도나 치성을 드리던 곳이었으나, 장경순이 대웅전과 산신각을 지었다. 1982년에는 종각을...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과 옥종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가짓과의 채소. 하동에서 생산되는 토마토는 농장에서 직접 품종을 선정하여 묘목을 생산할 뿐 아니라 인공 수정을 하지 않고 벌을 이용해 수정하여 병충해에 강한 질 좋은 토마토를 생산한다. 또한 지리산의 맑은 물을 이용해 유리 온실에서 양액 재배를 하여 1년에 8개월 이상 질 좋은 토마토를 생산, 공급하고 있다. 좋은 토마토는 품종 고...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황기들 서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서황리(西黃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대야면 중촌동(中村洞)·서황동이 통합되어 서황리가 되었다. 옥산과 백마산에서 이어진 천황봉을 중심으로 뻗어 나온 나지막한 지맥들을 등지고, 앞으로는 계명산·봉명산·이명산을 마주하고 둘러싸인 분지 가운데 자리 잡은 마을이다. 화정리 상류에서 흘러나온 곤양...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서황리 중촌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하동군 북천면 서황리에는 고인돌 3기가 분포하고 있는데, 이 중 2기는 중촌마을 서편 구릉의 정상부에 있으며, 나머지 1기는 동북쪽의 논둑에 위치한다. 고인돌 3기는 덮개돌[上石]과 고임돌[支石]을 갖춘 기반식 구조로, 남아 있는 상태가 비교적 좋은 편이다. 덮개돌은 윗면이 편평한 장방형을 이루며, 재질은 화강암이...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무신. 본관은 공주(公州). 자는 상서(祥瑞)·서백(瑞伯), 호는 석계(石溪). 공산부원군(公山府院君) 문무공(文武公) 이천일(李天一)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공필(李公弼)로 통정대부 철산부사(通政大夫鐵山府使)를 지냈으며, 할아버지는 이교(李嶠)로 맹산· 익산· 화순 현감을 지내고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지냈다. 아버지는 이시준(李時俊)으로 통정대부 이...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 대한불교 천태종 소속의 사찰. 금오산 너덜겅에 돌을 쌓아 만든 사찰로, 일명 ‘돌절’이라고 불리는 암자이다. 석굴암에서 내려다보면 한려수도(閑麗水道)의 아름다운 정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고려 말 1149년(의종 3)에 하동 금오산 봉수대를 축조할 때 그 당시 봉화군(烽火軍)이 기거하는 곳으로 축성되었다고 전해진다. 이곳 봉수대는 충무공 이순신이 순직...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석문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문마을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운수리 석문마을의 ‘아랫당산’과 ‘윗당산’에서 마을의 무탈함을 빌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석문마을은 신라 천년 고찰 쌍계사 인근에 위치한 마을이다. 마을 아래쪽에 우리나라 최초의 차 시배지가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따르면...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강성(江城). 초명은 문석호(文碩鎬), 자는 국원(國元), 호는 석전(石田). 의안공(毅安公) 문득준(文得俊)의 후손으로, 연강재(練江齋) 문후(文後)[1574~1644]의 8세손이다. 6대조 직하재(稷下齋) 문헌상(文憲商) 때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에 이거하였다. 고조할아버지는 사암(思菴) 문기팔(文起八)이고, 증조할아버지는 회당(晦堂) 문종익(...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상정(鄭相正)의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선중(善中), 호는 석정(石亭)이다. 1878년(고종 15) 10월 10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1103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한학을 공부하던 정상정은 지리산에서 의병 활동을 하던 중 의병대장 유명국(柳明國)의 명으로 노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귀향하였다. 1919년 3월 박영묵...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성천(聖天), 호는 석천(石川).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이다. 김국성(金國成)은 아버지가 병들어 누운 3년간 한결같이 탕약을 지어 올리고, 아버지의 똥을 맛보아 아픈 상태를 진단했으며, 아버지 대신 아프게 해 달라고 하늘에 기도하였다고 전한다. 1829년(순조 29) 공조참판에 증직되었다....
-
개항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문약(文若), 호는 석촌(石村). 판관(判官)을 지낸 여수희(余壽禧)의 9세손이다. 여수엽(余守燁)은 1862년(철종 13)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에서 태어났다. 천성이 무척이나 효성스러워서 평소에 부모님께 맛있는 음식을 한 번도 빠트리지 않고 올렸다. 아버지가 4년간 병으로 누워 있었는데, 의원이 개의 쓸개를 쓰면 병을...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지역 주민이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직접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 선거는 ‘일정한 조직이나 집단에 있어서 특정의 지위에 취임할 사람을 그 조직이나 집단 구성원들이 집합적인 의사 표시를 통하여 선정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수인이 일정한 직에 취임할 사람을 선출하는 행위인 것이다. 따라서 선거는 반드시 국가 기관의 선임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노동조합,...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우계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구자산 아래 미륵계곡에 미륵이 나와 선동사(仙洞寺)를 건립하였다고 하여 ‘미륵도량’이라 한다는 전설이 있다. 『적량면지』에 의하면 선동사는 1967년 3월 25일보살 마하심이 창건하였으며, 1990년 5월에 적량면 우계리 1985번지에 이전 건립하였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법회를 연다. 선동사에는 인법당을 겸한...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중기(鄭仲基)의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선명(宣明), 호는 제천(齊川)이다. 성질이 곧고 두뇌가 명석하며 정직했다. 경술국치 이후 비분강개하여 항상 망국의 한을 품고 있다가, 기미독립운동 때 동지를 규합하여 하동 장날인 1919년 3월 13일 시위행진을 하다가 체포되어 5개월간 징역을 살았다....
-
경상남도 하동군에 서식하는 잉엇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잉어에 대해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리어(鯉魚)’로,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와 『전어지(佃漁志)』에는 ‘리어(鯉魚)’로 표기되어 있다. 동양에서 잉어를 ‘니어’ 또는 ‘리어’로 명명한 것은 비늘에 십(十) 자 무늬, 즉 문리(文理)가 있어 ‘이(理)’자에서 리(里)를 취하고 ‘어(魚)’자를 붙여 ‘리(鯉)’자로 합성하였...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선민(善敏). 호는 창정(滄亭). 문민공(文敏公) 수은(樹隱) 김충한(金沖漢)의 후손이다. 김세규(金世奎)[1862~?]는 1862년(철종 13)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에서 태어났다. 천성이 순수하고 타고난 자질이 똑똑하여 문리를 일찍 깨쳤다. 부모를 모심에 효를 다하였는데, 아버지와 어머니가 병이 나면 다른 사람에게...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전개된 역사 이전의 시대. 지구상에 인류가 등장한 것은 200~300만 년 전부터이며, 그때부터 문자로 된 기록을 남기기 이전까지의 시기를 선사라 한다. 선사 또는 선사 시대를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는 다르게 나누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초기 철기 시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경상남도 남서부에 위치한 하동군...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있는 계곡. 지리산이 갖는 특성 가운데 하나는 신선설과 이상향에 대한 인간의 갈망이 곳곳에 배어 있다는 점이다. 지리산에서 유독 신선과 이상향의 전설이 많이 전해져 오는 골짜기는 단연 화개천 언저리이다. 특히 화개천의 선유동 계곡과 신흥마을이 그러하다. 신흥마을은 최치원(崔致遠)이 삼신동(三神洞)으로 이름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선유동(仙遊洞...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있는 계곡. 지리산이 갖는 특성 가운데 하나는 신선설과 이상향에 대한 인간의 갈망이 곳곳에 배어 있다는 점이다. 지리산에서 유독 신선과 이상향의 전설이 많이 전해져 오는 골짜기는 단연 화개천 언저리이다. 특히 화개천의 선유동 계곡과 신흥마을이 그러하다. 신흥마을은 최치원(崔致遠)이 삼신동(三神洞)으로 이름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선유동(仙遊洞...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상정(鄭相正)의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선중(善中), 호는 석정(石亭)이다. 1878년(고종 15) 10월 10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1103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한학을 공부하던 정상정은 지리산에서 의병 활동을 하던 중 의병대장 유명국(柳明國)의 명으로 노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귀향하였다. 1919년 3월 박영묵...
-
개항기 하동 출신의 무신. 여경규(余璟奎)의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선진(善珍), 호는 금산(錦汕). 호조판서를 지낸 여중부(余仲富)의 후손으로, 가선대부 여호철(余好哲)의 현손이다. 1893년(고종 30) 무과에 등제하여 그 해 12월 선전관이 되었다. 하동 송림 내에 여러 벼슬아치와 선비들이 무예를 닦고 회합하던 사정(射亭)인 하상정이 있었는데, 1880년에 세워져 많이 퇴...
-
남주헌(南周獻)[1769~1821]은 함양군수로 재직하던 1807년(순조 7) 3월, 당시 경상관찰사 윤광안(尹光顔), 진주목사 이낙수(李洛秀), 산청현감 정유순(鄭有淳)과 함께 하동의 쌍계동(雙溪洞)과 삼신동(三神洞)을 유람하였다. 경상감사의 행차였던 만큼 유람 행렬이나 그들을 접대하는 관할 지역의 예우 또한 극치를 이루었다. 그의 유람은 아마도 현재까지 발굴된 100여 편의 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12월 30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섣달’은 한 해를 다 보내면서 새해의 설날을 맞이하기 위한 ‘서웃달’의 준말이며, ‘그믐’은 만월의 보름달이 날마다 줄어들어 눈썹같이 가늘게 되다가 이윽고 모두 소진하여 없어진다는 순 우리말 ‘그믈다’의 명사형이다. 따라서 섣달그믐은 한 해를 다 보내는 마지막 달의 마지막 날을 가리키는 것이다. 섣달그믐을 세밑,...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지내는 명절 풍속. 설날은 새해의 첫날을 기리는 명절이다. 설날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로서 일 년 중 가장 큰 명절로 친다. 설날은 설,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등이라고도 한다. 이날만큼은 복되고 탈 없는 한 해를 기원하는 의미로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가 행해진다.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으로 설날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지내는 명절 풍속. 설날은 새해의 첫날을 기리는 명절이다. 설날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로서 일 년 중 가장 큰 명절로 친다. 설날은 설,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등이라고도 한다. 이날만큼은 복되고 탈 없는 한 해를 기원하는 의미로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가 행해진다.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으로 설날은...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백응(伯應), 호는 설창(雪牕)이다. 고려 시대 사직(司直)을 지낸 하진(河珍)의 후손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참봉(參奉) 하철부(河哲夫)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봉직랑(奉直郞) 하무제(河無際)이며, 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에 증직된 하광국(河光國)이다. 아버지는 낙와(樂窩) 하홍달(河弘達)[1603~1651]이며, 어머니는 유수창(...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옛날부터 구전되어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설화는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 형태의 민간 서사를 가리키는 말로 통상 그 갈래를 신화, 전설, 민담 등으로 삼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지역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이 전설이다. 하동 지역에서 전해 오는 전설들은 주로 지형·지명 유래담, 풍수담, 이인 고승과 관련된 이야기,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아기장수와 우렁이 각시 이야...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금성면을 지나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하천. 섬진강은 총 길이 212.3㎞, 유역 면적 4,896.5㎢로 남한에서는 한강, 낙동강, 금강에 이어 네 번째로 긴 강이다. 국가 하천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하동군 내 섬진강의 시점은 화개면 탑리, 종점은 금성면 갈사리이다. 섬진강은 노령산맥 동쪽 비탈면과 소백산맥 서쪽 비탈면...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두곡리에 있는 중증 장애인 요양 시설. 섬진강 사랑의 집은 「장애인복지법」 제48조 1항의 규정에 의하여 중증 장애인을 위한 요양 사업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6년 1월 1일 설립되어 2006년 1월 18일 개원하였으며 2007년 4월 기숙사를 증축하였다. 2008년에서 2010년에 걸쳐 소강당을 증축하였고, 2009년에서 2010년에...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두곡리에 있는 중증 장애인 요양 시설. 섬진강 사랑의 집은 「장애인복지법」 제48조 1항의 규정에 의하여 중증 장애인을 위한 요양 사업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6년 1월 1일 설립되어 2006년 1월 18일 개원하였으며 2007년 4월 기숙사를 증축하였다. 2008년에서 2010년에 걸쳐 소강당을 증축하였고, 2009년에서 2010년에...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매년 4~12월에 실시되는 생태 체험 프로그램. 섬진강 생태 학교는 경상남도 하동군이 총괄, 지원하고 경상남도 하동교육지원청과 위탁 업체가 운영 주체가 되어 관내 초등학생 및 자매결연 도시 학생, 관외 주민, 네트워크 회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생태 체험 학습 프로그램이다. 섬진강에 관한 환경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역 특산품 및 하동을 홍보하고, 이...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와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선소리를 연결하는 다리. 총길이 760m, 총폭 12m, 유효폭 11.2m, 높이 8m이며, 경간 수 13개, 최대 경간장 80m이다. 상부구조는 PCS 상자형교이며, 하부구조는 구주식 교각, 설계하중 DB-24이다. 고속국도 10호선 제 2의 대교로서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여 상호 교류와 균형적인 지역 발전에 일조하기 위하여...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와 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선소리를 연결하는 다리. 총길이 760m, 총폭 12m, 유효폭 11.2m, 높이 8m이며, 경간 수 13개, 최대 경간장 80m이다. 상부구조는 PCS 상자형교이며, 하부구조는 구주식 교각, 설계하중 DB-24이다. 고속국도 10호선 제 2의 대교로서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여 상호 교류와 균형적인 지역 발전에 일조하기 위하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와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신원리를 연결하는 다리. 섬진강을 가로질러 놓인 다리라는 점에 착안하여 섬진교로 명명되었다. 총길이 420m, 총폭 15.5m, 유효폭 10.2m, 높이 16m이며, 경간 수 10개, 최대 경간장 60m이다. 상부구조는 강상자형교이며, 하부구조는 T형교각, 설계하중 DB-24이다. 철제 박스 거어더교[Steel Box Gird...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와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을 연결하는 다리. 총길이 700.4m, 총폭 18.5m, 유효폭 17.2m, 높이 9.5m이며, 경간 수 14개, 최대 경간장 50m이다. 상부구조는 PCS 상자형교이며, 하부구조는 T형 교각, 설계하중 DB-24이다. 하동화력발전소가 있는 금성면과 세계 최대 제철소인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있는 광양시와의 연결을 통해 양 도의...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와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월길리를 연결했던 경전선 철로상의 철교. 섬진강을 건너는 철도 교량이란 의미에서 ‘섬진철교’로 명명되었다. 연장 442.1m, 폭 1.5m, 높이 9.14m, 경간 12m이며 트러스 구조이다. 1968년 경전선 개통과 함께 섬진강을 가로질러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여 상호 교류와 균형적인 지역 발전에 일조하고자 건립되었다. 『경향...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에 있는 개항기 때의 2층 정자. 하동공원은 하동향교(河東鄕校)가 위치한 갈마산 정상을 주위로 조성된 하동군민들의 문화 체육 공간이다. 그 정상에 있는 2층 누각이 바로 섬호정(蟾湖亭)이다. 섬호정을 중심으로 정상에 올라서서 사방을 조망해 보면 동향으로 하동 읍내가 훤히 내려다보이고, 남향으로는 섬진강이 유유히 흐르는 절경을 연출한다. 하동공원에는 등산...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에 있는 개항기 때의 2층 정자. 하동공원은 하동향교(河東鄕校)가 위치한 갈마산 정상을 주위로 조성된 하동군민들의 문화 체육 공간이다. 그 정상에 있는 2층 누각이 바로 섬호정(蟾湖亭)이다. 섬호정을 중심으로 정상에 올라서서 사방을 조망해 보면 동향으로 하동 읍내가 훤히 내려다보이고, 남향으로는 섬진강이 유유히 흐르는 절경을 연출한다. 하동공원에는 등산...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흙이나 돌로 축조한 방어 시설. 성은 집단의 공동 목적과 더불어 소수의 수비군이 다수의 침략군을 효과적으로 격퇴하거나 침공 속도를 늦추어 후방이 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얻기 위한 방어용 건축물이다. 따라서 성은 인류 역사에서 지배와 피지배 관계가 발생하고, 국가가 성립하면서 나타나는 환호(環濠)와 목책과 같은 방어 시설, 습지에서 발달한 환호취락(環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성광교회는 명칭대로 지역 내에 빛을 비추는 교회로서 사명과 비전을 가지고 지역의 기독교 복음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8년 12월 5일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초가집에서 시작하여 현재 신성리 931-9번지 1,421㎡ 대지 위에 교회와 사택을 건축하였다. 초대 이윤정 전도사가 시무하였다. 추수절(秋收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성광교회는 명칭대로 지역 내에 빛을 비추는 교회로서 사명과 비전을 가지고 지역의 기독교 복음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8년 12월 5일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초가집에서 시작하여 현재 신성리 931-9번지 1,421㎡ 대지 위에 교회와 사택을 건축하였다. 초대 이윤정 전도사가 시무하였다. 추수절(秋收節...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사(義士).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성국(聲國), 호는 죽교(竹橋). 안경공(安敬公) 김영정(金永貞)의 후손이다. 김영수(金瀯秀)의 생년이 『하동군지』와 『하동지속수(河東誌續修)』에는 헌종 갑신년(甲申年)[1824]으로 나와 있으나, 헌종 때에는 갑신년이 없고 갑진년(甲辰年)[1844]이 있다. 또한 고종 경진년(庚辰年)[1880] 증광시(增廣試)에서 1등...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아이가 커서 성인이 되었음을 인정해 주는 성년식. 관례는 예전에 남자나 여자가 성년에 이르면 성인(成人)이 된다는 의미로 행하던 의례이다. 이를 성년례(成年禮), 성인 의례 등이라고도 한다. 이때 남자는 땋은 머리를 올려 상투를 틀고 갓을 쓰게 하며, 여자는 귀밑머리를 한 그대로 쪽을 쪄서 비녀를 꽂는 계례(筓禮)를 행하였다. 원래 유교에서는 스무 살에 관례...
-
조선 후기와 개항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성능(性能), 호는 죽포(竹圃). 애일당(愛日堂) 정분(鄭苯)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경모(鄭敬模)이고, 어머니는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부인은 문종길(文宗吉)의 딸 남평 문씨(南平 文氏)이다. 정응권(鄭應權)은 1824년(순조 24) 3월에 태어났다. 어머니의 병환에 대소변의 맛을 보아 병의 차도를 확인하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 성두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성두마을 동제는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성두마을 입구와 뒤쪽에 자리하고 있는 당산나무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2011년 3월에 성두마을로 현장 조사를 나갔으나 동신제의 연원에 대해 알고 있는 제보자를 만나지 못하였다. 마을의 동신제는 10여 년 전쯤 없어졌다. 마을에서 동신...
-
757년부터 고려 전기까지 경상남도 하동군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 지리지에 의하면 “하동군은 본시 한다사군으로, 경덕왕이 [하동으로] 이름을 고쳐 지금도 그대로 되어 있는데, 영현(領縣)이 셋이다. 성량현은 지금 금양부곡(金良部曲)[지금 하동군 금남면]이요, 악양현(嶽陽縣)은 본시 소다사현인데 경덕왕이 [악양으로] 개명하여 지금도 그대로 되어 있다[지금...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는 조선 시대 밀양 손씨 문중의 재실.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소축마을 입구에서 오른쪽 하신대길로 약 300m쯤 오르면 마을 상단에 감나무 밭이 나오는데, 성모재(省慕齋)는 감나무 밭 사이에 위치한다. 또는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소축마을 입구에서 왼쪽 길로 오르면 마을 회관이 나오는데, 마을 회관을 지나 위쪽으로 약 300m쯤 가면 찾을 수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는 조선 시대 밀양 손씨 문중의 재실.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소축마을 입구에서 오른쪽 하신대길로 약 300m쯤 오르면 마을 상단에 감나무 밭이 나오는데, 성모재(省慕齋)는 감나무 밭 사이에 위치한다. 또는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소축마을 입구에서 왼쪽 길로 오르면 마을 회관이 나오는데, 마을 회관을 지나 위쪽으로 약 300m쯤 가면 찾을 수 있다....
-
조선 전기 하동 출신의 관인(官人).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성보(聖輔), 호는 해산(海山). 남명(南冥) 조식(曺植)[1501~1572]의 후손이다. 조원우(曺元佑)는 태어난 해가 경인년(庚寅年)이라고만 되어 있어 어느 해인지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조식이 1558년에 지은 「유두류록(遊頭流錄)」에 “수재(秀才) 조원우가 와서 보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1530년생으...
-
조선 후기 하동에서 활동한 학자.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성숙(聖叔), 호는 중은(重隱). 은열공(殷烈公) 강민첨(姜民瞻)의 후손이다. 7대조 강인보(姜仁輔)는 하양현감(河陽縣監)을 지냈으며, 6대조 만송(晩松) 강렴(姜濂)은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이었다. 고조할아버지는 찰방을 지낸 강림(姜琳)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강동열(姜東悅)이고, 할아버지는 강주세(姜胄世)이다....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용궁(龍宮). 자는 중빈(仲賓), 호는 성와(省窩). 김재주(金載周)는 1756년(영조 32)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우복리에서 태어났다. 천성이 효성스러워서 어릴 때부터 혼정신성(昏定晨省)하는 효를 어김없이 다하였다. 7년간 병든 아버지를 모시면서 약이란 약은 다 구해서 올렸으며, 아버지를 대신하여 죽게 해 달라고 빌었다. 아버지가 돌...
-
조선 시대 창녕 성씨(昌寧 成氏)의 하동 입향조 및 의사(義士). 성익(成翼)의 자는 운장(雲長)이다. 본래 함양(咸陽)에서 살다가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명석촌으로 옮겨 와서 하동에 세거하는 창녕 성씨 입향조가 되었다. 이후 후손들은 진암(陣巖)으로 옮겨 거주하였다. 통훈대부로서 훈련첨정의 관직을 지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집안의 노비 수백 명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아이가 커서 성인이 되었음을 인정해 주는 성년식. 관례는 예전에 남자나 여자가 성년에 이르면 성인(成人)이 된다는 의미로 행하던 의례이다. 이를 성년례(成年禮), 성인 의례 등이라고도 한다. 이때 남자는 땋은 머리를 올려 상투를 틀고 갓을 쓰게 하며, 여자는 귀밑머리를 한 그대로 쪽을 쪄서 비녀를 꽂는 계례(筓禮)를 행하였다. 원래 유교에서는 스무 살에 관례...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경호(李璟鎬)[혹은 李敬鎬로도 씀]는 1890년(고종 27) 6월 17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291번지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한학을 공부했던 이경호는 1910년 경술국치의 비보를 듣고 3일간 식음을 전폐하였다. 그리고 붉은 글씨로 ‘항일 투쟁’, ‘일본 타도’를 써서 벽에 붙여두고 항일 투쟁의 의지를 다졌다. 이후 성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과 화개면에 걸쳐 있는 산. 하동군 악양면 성제봉은 높이 1,115.2m로 세석고원에서 남쪽 삼신봉으로 뻗어 내린 지리산 남부 능선 끝에 솟아 있다. 성제봉에는 옛 산성을 비롯해 신선대, 통천문 등 기암들이 있고, 섬진강을 바라보는 조망점으로 그 위치가 탁월하다. 성제봉은 우뚝 솟은 봉우리가 우애 깊은 형제와 같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성제는 형제의 경상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집안의 길흉화복 및 부엌과 불을 관장하는 가신. 성주는 집안 전체를 관장하며, 가신(家神) 중에서 최고신이다. 이를 성주대감, 성주, 성조(成造) 등이라고도 한다. 독립적으로 집을 가진 사람만이 성주를 가질 수 있다. 조왕은 조왕님 등으로 불리며 화신(火神), 재물신으로 인식된다. 조왕신은 부엌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 기원은 불을 다루는 데서 비롯되었으며, 주...
-
이순유를 시조로 하고 이구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남도 하동군의 세거 성씨. 성주 이씨의 시조는 신라 말의 명재상 이순유(李純由)이다. 성주 이씨는 고려 말에 크게 번성하였다. 시조 이순유로부터 12세인 농서군공 이장경(李長庚)은 이득희(李得禧)의 아들로 슬하에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다섯째 이조년(李兆年)[1269~1343]의 증손인 이제(李濟)[?~1398]가 하동 지역의 입향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집안의 길흉화복 및 부엌과 불을 관장하는 가신. 성주는 집안 전체를 관장하며, 가신(家神) 중에서 최고신이다. 이를 성주대감, 성주, 성조(成造) 등이라고도 한다. 독립적으로 집을 가진 사람만이 성주를 가질 수 있다. 조왕은 조왕님 등으로 불리며 화신(火神), 재물신으로 인식된다. 조왕신은 부엌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 기원은 불을 다루는 데서 비롯되었으며, 주...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함창(咸昌). 자는 성지(聲之), 호는 구정(龜亭). 형조판서(刑曹判書) 김남중(金南重)의 후손이다. 김시복(金始復)[1778~1847]은 천성이 순후하고 지기(志氣)가 강직하였다. 효를 다해 부모님을 모셨고,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슬픔으로 예를 다하였다. 장례를 치를 때 권세가에서 소송을 걸어 무려 10년 동안 시달렸는데, 결국 주인이 보석금을...
-
개항기 하동 출신의 무신. 정한영(鄭翰榮)의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성천(聖天)이다. 1852년(철종 3)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에서 태어났다. 성품이 넓고 굳세며 절개가 뛰어났다. 1887년(고종 24) 무과에 등제하였으며, 1900년 궁내부 통신사주사를 역임하였다. 1894년(고종 31)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났을 때 거듭 흉년이 들어 궁핍한 백성들을 널리 구...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성천(聖天), 호는 석천(石川).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의 후손이다. 김국성(金國成)은 아버지가 병들어 누운 3년간 한결같이 탕약을 지어 올리고, 아버지의 똥을 맛보아 아픈 상태를 진단했으며, 아버지 대신 아프게 해 달라고 하늘에 기도하였다고 전한다. 1829년(순조 29) 공조참판에 증직되었다....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에 속하는 법정리. 고려 중기 정안(鄭晏)이 쌓았다는 정안봉 산성 남쪽에 있는 마을이므로 남성(南城)·성내·성천(城川)이라 하였다. 마을 주변에 있는 여섯 개 고개 안에 자리 잡은 마을이므로 재내라 하였다가 잔내로 바뀌었다고도 한다. 재내의 ‘재’가 보통 성(城) 또는 고개[峴]를 의미하기에 정안성 또는 여섯 고개와 관련된 지명 유래가 전해 오는 듯하다. 『조...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지소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성천리 고인돌군은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지소마을 입구 삼일 독립운동 의거 기념비(三一獨立運動義擧紀念碑) 주변에 위치한다. 마을 사람들에 의하면 고전천 제방 공사를 할 때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남성마을에서 이곳으로 옮겨 왔다고 한다.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에는 7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남아 있는 덮개돌[上石]...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상성에 있는 영일 정씨 동성 마을. 상성은 성천리에서 가장 윗동네이므로 붙인 이름이다. 성천리는 본디 산이 사방을 둘러싸고 외부로 통하는 여섯 개의 고개가 있어, 고개 안의 마을이라는 뜻에서 재내[峙內] 또는 잔내라 하였는데 일제 강점기에 한자로 표기할 때 행정 공무원이 재내에 해당하는 한자를 고른 끝에 ‘재 성(城)’자와 ‘내 천(川)’자를 써서 붙...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베리[벼랑]가 있어 베리대 또는 성평(星坪)이라 하였다. 『호구총수(戶口總數)』와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성평촌이라는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조선지지자료』에는 ‘당밋’이라는 한글 이름도 있는데, 당집이 있어 남당(南堂)이라 불리던 산 아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조선 시대 하동군 고현면에 속했던 지역으...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평리 성평에 있는 하동 정씨 동성 마을. 가야 시대에 마을이 형성되어 별아대 또는 별벌이라 하였는데 정확한 뜻은 알 길이 없다. 훗날 마을 명칭을 한자로 고쳐 표기할 때 ‘별 성(星)’자와 ‘들 평(坪)’자를 써서 성평이라 하였다. 1600년경 처사 정홍장(鄭泓長)의 후손들이 성평에 영모재(永慕齋)를 세우고 대대로 세거하면서 하동 정씨 집성촌을 이루었다....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평리 성평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성평마을 당산제는 매년 양력 1월 1일 아침 고전면 성평리 성평마을 어귀에 있는 느티나무에서 천룡사 스님의 주도하에 불교식으로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성평마을은 주교천을 끼고 발달한 마을이다. 예전에는 마을 담이 모두 돌로 되어 있다고 해서 돌담마을이라 불렸다. 성평마을은 시인이자...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여러 대(代)에 걸쳐 계속해서 살아오고 있는 성씨. 성씨의 연원은 태조 왕건(王建)이 후삼국을 통일한 다음 전국의 군·현의 이름을 개정하고 개국 공신을 책봉했던 940년(태조 23)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 이전 고대 국가에서 성씨는 왕족과 극히 일부 중앙 귀족들만의 전유물이었다. 후삼국 시대 성주, 장군, 촌주 등의 신분을 지니면서 지방 세력을 대표하던 지방...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12월 30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섣달’은 한 해를 다 보내면서 새해의 설날을 맞이하기 위한 ‘서웃달’의 준말이며, ‘그믐’은 만월의 보름달이 날마다 줄어들어 눈썹같이 가늘게 되다가 이윽고 모두 소진하여 없어진다는 순 우리말 ‘그믈다’의 명사형이다. 따라서 섣달그믐은 한 해를 다 보내는 마지막 달의 마지막 날을 가리키는 것이다. 섣달그믐을 세밑,...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지내는 명절 풍속. 설날은 새해의 첫날을 기리는 명절이다. 설날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로서 일 년 중 가장 큰 명절로 친다. 설날은 설,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 등이라고도 한다. 이날만큼은 복되고 탈 없는 한 해를 기원하는 의미로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가 행해진다. 설이란 새해의 첫머리란 뜻으로 설날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계절에 따라 관습적·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생활 의식. 세시라는 말은 해[年]와 때[時]의 합성어로서 사시절, 시절, 절후, 명절 등의 뜻을 지닌다. 세시 풍속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시기에 반복해서 거행되는 주기 전승의 의례적 행위로써 농사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반복해서 행해지는 세시 풍속은 주기성(週期性)을 주 특징으...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연중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세시 행사에서 불리는 노래. 세시요[歲時謠]는 세시 풍속에 따라 민중들이 즐겨 부르던 민요이다. 이를 세시의례요, 세시놀이요 등이라고도 한다. 세시 풍속은 1월에서부터 12월에 이르기까지 1년 동안 흐름에 맞추어 반복되어 온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다양한 연래 민속을 뜻한다. 연중 행해지는 세시 행사에서 각종 의례와 놀이가 행해졌는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연중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세시 행사에서 불리는 노래. 세시요[歲時謠]는 세시 풍속에 따라 민중들이 즐겨 부르던 민요이다. 이를 세시의례요, 세시놀이요 등이라고도 한다. 세시 풍속은 1월에서부터 12월에 이르기까지 1년 동안 흐름에 맞추어 반복되어 온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다양한 연래 민속을 뜻한다. 연중 행해지는 세시 행사에서 각종 의례와 놀이가 행해졌는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연중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세시 행사에서 불리는 노래. 세시요[歲時謠]는 세시 풍속에 따라 민중들이 즐겨 부르던 민요이다. 이를 세시의례요, 세시놀이요 등이라고도 한다. 세시 풍속은 1월에서부터 12월에 이르기까지 1년 동안 흐름에 맞추어 반복되어 온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다양한 연래 민속을 뜻한다. 연중 행해지는 세시 행사에서 각종 의례와 놀이가 행해졌는데...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신흥마을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수중 자연 암반 비석. 세이암(洗耳嵒)은 신라 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이 쓰고 새겼다고 하는 수중 자연 비석이다. 수중 비석 말고도 바로 그 건너편 절벽에 각자된 것도 있다. 세이암 석각이라 하면 수중 석각이 원 석각이고, 절벽 석각은 후세 사람이 새겼으리라 추측된다. 그러나 원 석각도 최치원이 새겼...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12월 30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섣달’은 한 해를 다 보내면서 새해의 설날을 맞이하기 위한 ‘서웃달’의 준말이며, ‘그믐’은 만월의 보름달이 날마다 줄어들어 눈썹같이 가늘게 되다가 이윽고 모두 소진하여 없어진다는 순 우리말 ‘그믈다’의 명사형이다. 따라서 섣달그믐은 한 해를 다 보내는 마지막 달의 마지막 날을 가리키는 것이다. 섣달그믐을 세밑,...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12월 30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섣달’은 한 해를 다 보내면서 새해의 설날을 맞이하기 위한 ‘서웃달’의 준말이며, ‘그믐’은 만월의 보름달이 날마다 줄어들어 눈썹같이 가늘게 되다가 이윽고 모두 소진하여 없어진다는 순 우리말 ‘그믈다’의 명사형이다. 따라서 섣달그믐은 한 해를 다 보내는 마지막 달의 마지막 날을 가리키는 것이다. 섣달그믐을 세밑,...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소꼬리의 털 한 가닥을 이용하여 잠자리를 잡거나 닭서리를 하는 놀이. 소꼬리낚시와 같이 미끼를 꿰어 날아다니는 곤충이나 걸어 다니는 가축을 잡는다는 것은 물고기를 낚는 방법에서 응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낚시는 낚싯감이 미끼를 덥석 물듯 안 물듯 할 때 기다리는 설레임과 물었을 때 느껴지는 손맛이 아주 짜릿한 놀이라 할 수 있다. 여기다가 ‘서리’라는 것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6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유두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는 뜻이다. 이를 소두(梳頭), 수두(水頭) 등이라고도 한다. 유두에는 액을 면하고 더위를 잊기 위해 맑은 시내나 산간 폭포에서 머리 감기, 몸 씻기를 하고 술과 음식을 먹으면서 하루를 즐긴다. 유두에 탁족(濯足) 놀이도 즐기는...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에 있는 고려 후기 토성. 소란산성(小卵山城)은 고려 후기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성하였다고 전한다.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 신방마을에 있는 소란산 정상부에 위치하며, 하동읍성(河東邑城)에 인접해 있는 관방성이다. 하동군 고전면 범아리와 전도리의 경계에 자리하고, 섬진강에 임해 있다. 부(府)의 남쪽 30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군(郡)의 남쪽에...
-
구재봉 줄기는 공드림재 정상에서 잠시 쉬었다가 두 갈래로 나뉘어, 한 줄기는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상동산마을 쪽으로, 또 한 줄기는 관리 쪽으로 뻗어 간다.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영신마을은 바로 그 사이에 형성된 자연 마을이다. 북쪽으로는 하동군 적량면 동리 명천마을과, 동쪽으로는 횡천면 남산리 남산마을[하남, 상남] 및 동산리 하동산마을과 접해 있다. 서쪽으로는 하동군 적량면 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은 예로부터 민중의 일상생활 경험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물이다. 간결하고 비유적인 수법으로 보편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기능을 가진 세련된 말이다. 속담의 의미로 옛말, 속언(俗言) 등의 말을 쓰기도 한다. 속담에서의 ‘속’은 일상생활 공간에서 얻어진 삶의 지혜나 예지가 응축된 것이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삶의 지혜를 드러내는 짧은 문장의 격언. 속담은 예로부터 민중의 일상생활 경험 속에서 생성된 관용적 표현물이다. 간결하고 비유적인 수법으로 보편적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정한 기능을 가진 세련된 말이다. 속담의 의미로 옛말, 속언(俗言) 등의 말을 쓰기도 한다. 속담에서의 ‘속’은 일상생활 공간에서 얻어진 삶의 지혜나 예지가 응축된 것이란...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손기혁(孫琪赫)은 1878년(고종 15) 4월 22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원계리 199번지에서 태어났다. 손태옥(孫太玉) 또는 손태옥(孫泰玉)이라고도 부른다. 1907년(순종 1)은 헤이그 밀사 사건과 그에 따른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일명 한일신협약]에 의한 한국의 통치권 약화, 한국군 강제 해산 등으로 각지에서 의병 운동이 활발하게...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손몽상(孫夢尙)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1878년(고종 15)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정자촌에서 태어났다. 신몽상으로도 불렸다. 1907년(순종 1) 8월부터 1908년(순종 2) 10월까지 지리산 기슭인 하동, 구례, 진주, 산청 등지에서 박매지(朴每之), 이성로(李成魯) 등과 함께 항일 의병 활동을 벌였다. 1908년 10월 5일 청...
-
조선 시대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효부이자 열녀. 본관은 합천(陜川). 남편은 손임식(孫任植)으로,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손임식 처 합천 이씨는 천성(天性)이 유순하고 부덕(婦德)을 겸비하여, 시부모를 효성으로 봉양하고 남편을 잘 섬겼다. 남편이 병들어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했으나 효험이 없이 죽자 남편을 따라 목숨을 끊으려 했다. 하지만 늙은 시부모와 어린 두...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손기혁(孫琪赫)은 1878년(고종 15) 4월 22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원계리 199번지에서 태어났다. 손태옥(孫太玉) 또는 손태옥(孫泰玉)이라고도 부른다. 1907년(순종 1)은 헤이그 밀사 사건과 그에 따른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일명 한일신협약]에 의한 한국의 통치권 약화, 한국군 강제 해산 등으로 각지에서 의병 운동이 활발하게...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손기혁(孫琪赫)은 1878년(고종 15) 4월 22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원계리 199번지에서 태어났다. 손태옥(孫太玉) 또는 손태옥(孫泰玉)이라고도 부른다. 1907년(순종 1)은 헤이그 밀사 사건과 그에 따른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일명 한일신협약]에 의한 한국의 통치권 약화, 한국군 강제 해산 등으로 각지에서 의병 운동이 활발하게...
-
경상남도 하동군 일대에서 솔잎 생균제를 첨가한 사료를 먹고 자란 한우. 하동 솔잎한우는 솔잎한우 작목반[회장 최태경] 회원 농가들이 28개월 이상 충분히 장기 숙성 비육하여 최고의 등급을 받은 1등급 한우이다. 전 두수에 대하여 출생 시부터 출하 시까지 전 단계에 걸쳐 전산 관리를 통하여 생산 및 출하 조정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생산·도축·가공·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홍식(李弘植)은 1896년(고종 33) 3월 28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월운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29일, 이원태(李源泰)·정재백(鄭在伯)·정재운(鄭在雲) 등과 하동군 진교면 장날 군중 1천여 명에게 태극기를 나눠 주고는 선두에서 군중을 이끌며 진교의 경찰관주재소까지 진출하였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에 분노한 시위...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곤양군 서면 소송동(小松洞)의 ‘송’자와 수문동(水門洞)의 ‘문’자를 따서 송문리(松門里)라 하였다. 『호구총수(戶口總數)』에 곤양군 서면의 소송포촌(小松浦村)·수문포촌(水門浦村),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옹기점[일명 수문동]이라는 한글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 말 곤양군 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송문리 수문마을에 있는 선사 시대 화석 유적. 하동군 금남면 송문리는 송문천이 흐르는 평야 지대에 자리하며, 소송교차로가 지나는 곳이다. 자연 마을로는 수문마을, 가마덩굴, 새터, 소송마을, 양달마을 등이 있다. 송문리 화석 유적(1)이 있는 하동군 금남면 송문리의 수문마을은 바닷가 바로 앞의 마을이라 하여 ‘수문(水門)’이라는 지명이 붙었다. 송문리 화석...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에 있는 선사 시대 화석 유적.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는 산촌 마을로, 구노량, 신노량, 백도마을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덕천천이 흐르며, 샘골소류지와 뒤터소류지가 자리한다. 송문리 화석 유적(2)은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와 송문리 수문마을 사이에 있는 구릉의 해안가에 위치한다. 노량초등학교에서 서남쪽으로 약 800m 떨어져 있다. 최하부층은 주...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호암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송암정(松庵亭)은 송암(松庵) 최상렬(崔相烈)이 벗들과 시를 지어 읊으며 즐기던 곳이다. 최상렬은 19세기 말~20세기를 살다 간 인물로 보이는데, 강정환(姜貞煥)[1875~1952]의 『만전유집(晩田遺輯)』에 최상렬이 차운한 시가 전한다. 섬진강을 따라 하동군 하동읍에서 지방도 19호선을 타고 7㎞ 정도 가면 흥룡리...
-
경상남도 하동군 일대에서 솔잎 생균제를 첨가한 사료를 먹고 자란 한우. 하동 솔잎한우는 솔잎한우 작목반[회장 최태경] 회원 농가들이 28개월 이상 충분히 장기 숙성 비육하여 최고의 등급을 받은 1등급 한우이다. 전 두수에 대하여 출생 시부터 출하 시까지 전 단계에 걸쳐 전산 관리를 통하여 생산 및 출하 조정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생산·도축·가공·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인 송외(松外)의 ‘송(松)’자와 율원의 ‘원(院)’자를 따서 송원리라 하였다. 조선 말 하동군 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동면 역동(驛洞)·송내동(松內洞)·송외동·화포동(花浦洞)이 통합되어 하동군 동면 송원리가 되었고, 1918년 동면이 진교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가 되었다. 봉명산과...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 율원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에서 삼국 시대에 이르는 유물 산포지.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는 송외마을, 율원마을, 화포마을, 송내마을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으로, ‘송외’와 ‘율원’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 율원마을은 마을 앞에 있는 밤나무 숲과, 과거 역원(驛院)이 있던 곳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지명이라고 한다. 4...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 송외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유적.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는 관곡천 변의 평지에 자리한 마을로, 송원저수지가 자리한다.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의 자연 마을로는 율원마을, 송징이마을, 송외마을, 송내마을 등이 있다. 송외마을은 송내마을과 함께 각각 송징이마을의 바깥쪽과 안쪽에 자리한다 하여 지어진 지명이다. 송원리 유적은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 송외마을 서쪽...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송원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송원저수지는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일대의 한해 상습지에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57년 착공하여 1959년 1월 1일 준공하였다. 제방, 여수토, 방수로로 형성된 제2종 시설물이며, 사통 형식의 취수 시설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송원저수지 제방 형식은 필댐(fill dam)이고, 제방 길이...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등촌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수곡사(水谷寺)는 1960년 4월 8일 승려 법인이 건립한 절이다. 산신각만 있던 것을 15년 전에 법인이 거처하면서 기도하고 정진하여 2007년에 법당을 완성하였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정기 법회를 열고 있다. 승려 법인은 기도를 계속할 뿐 아니라 신도와 상담 등을 하면서 포교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수곡...
-
근대 하동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영호(永好), 호는 수당(修堂). 처음에는 호를 ‘신계(新溪)’라고 하였다가, 자신을 수양하는 데 더욱 힘쓰겠다는 뜻을 담아 수당이라 하였다. 태안군수(泰安郡守) 모산(茅山) 최기필(崔琦弼)[1562~1593]의 10세손이며, 익찬(翊贊) 죽당(竹塘) 최탁(崔濯)[1598~1645]의 9세손이다. 5대조는 경암(景菴) 최동욱(崔...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6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유두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는 뜻이다. 이를 소두(梳頭), 수두(水頭) 등이라고도 한다. 유두에는 액을 면하고 더위를 잊기 위해 맑은 시내나 산간 폭포에서 머리 감기, 몸 씻기를 하고 술과 음식을 먹으면서 하루를 즐긴다. 유두에 탁족(濯足) 놀이도 즐기는...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풍습.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일 년 중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 왔다. 우리말로 ‘수리’라 하고 한자로 천중절(天中節)이라고 한다. 단오는 설날·대보름·추석 등과 함께 연중 4대 명절의 하나로 단오 제례(端午祭禮)를 드리고 남녀 모두가 하루를 즐긴다. 단오는 중국 형초(荊楚)의 풍속으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풍습. 단오는 양의 수가 겹치는 날로서 일 년 중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큰 명절로 여겨 왔다. 우리말로 ‘수리’라 하고 한자로 천중절(天中節)이라고 한다. 단오는 설날·대보름·추석 등과 함께 연중 4대 명절의 하나로 단오 제례(端午祭禮)를 드리고 남녀 모두가 하루를 즐긴다. 단오는 중국 형초(荊楚)의 풍속으로...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횡천면, 적량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박과의 채소. 수박은 91%가 수분이며 그 밖에 당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당질 중에서도 과당과 포도당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수박은 갈증을 풀어 주고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여름철에 가장 많이 찾는 과일이다. 수박은 수박 잼, 수박 차, 수박 셰이크, 수박화채 등으로 먹을 수 있으며, 수박 껍질을 이용한 팩으로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어업 활동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어업 노동요는 어민들이 노 젓기, 그물 당기기, 해물 채취하기 등의 어업 활동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이다. 이를 어요, 수산 노동요, 어로요 등이라고도 한다. 어업 노동요는 고기 잡을 때 부르는 노래와 해물을 채취할 때 부르는 노래, 염전 작업을 할 때 부르는 노래로 구분할 수 있다. 고기 잡을 때 부르는 노래는 「슬비 소...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빗대어 묻고 그것을 알아맞히는 말놀이. 수수께끼는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물으면 상대방이 그 답을 알아맞히는 놀이이다. 즉 수수께끼는 주어진 설문에 응답을 하는 언어유희이다. 누구나 알고 있는 객관적인 사실을 설문으로 낸다면 수수께끼가 존재할 수 없으므로 표현은 주로 은유와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언어유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
조선 전기 하동 출신의 문신이자 유학자.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백욱(伯勗), 호는 일두(一蠹)·수옹(睡翁), 시호는 문헌(文獻)이며, 함양에서 출생하였다. 증조할아버지 정지의(鄭之義)는 고려 왕실의 족보 관리 기관장인 판종부시정(判宗簿寺正)을 역임하였다. 할아버지 정복주(鄭復周)는 고려 후기 벼슬이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에 이르렀는데, 조선 건국 후 전라도 경력(全羅道經歷)에...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연일(延日). 초명은 정효기(鄭孝基), 자는 응선(應善). 호는 수재(守齋). 처음에는 호를 회계(晦溪)라 하였다가, 만년에 『논어(論語)』의 “목숨을 걸고 지키며 도를 선하게 한다[守死善道]”라는 구절에서 취하여 수재라 하였다. 고조할아버지는 송죽헌(松竹軒) 정도관(鄭道貫)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청계(淸溪) 정국제(鄭國濟)이며, 할아버지는 통덕랑...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의 하동 전통 수제 녹차 제조 명인. 전통식품의 명인 제도는 조상으로부터 전해내려 오는 고유한 조리·가공 방법을 원형대로 보존하여 전통 식품의 맛과 향·색깔 등을 그대로 실현할 수 있는 자를 보호·육성하기 위해 1994년부터 운영되어 오고 있다. 농림식품부는 1999년 5월 15일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거주하는 박수근(朴秀根)을 국내 최초로 전통 수제...
-
하동 지역은 남해와 섬진강을 끼고 있어 해상 교통이 편리할 뿐 아니라 경상도와 전라도의 접경지대로 오랜 옛날부터 지리적 요충지로서 주목 받았다. 이 때문에 일찍부터 도로와 시장이 발달하고 물산이 풍부했던 반면에 침략을 받기도 쉬운 이중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고려 후기에는 왜구의 잦은 침략을, 조선 시대에는 임진왜란을 겪었다. 그러나 정유(鄭愈)나 정기룡(鄭起龍) 같은 이들에 의...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 있는 가마. 춘강요는 춘강 박종환이 운영하고 있는 가마이다. 본래 춘강요는 박종환의 부친인 박정수가 경기도에서 운영하던 가마였다. ‘춘강’이라는 가마의 이름은 박종환의 부친인 박정수의 호이며, 이 호를 아들인 박종환도 같이 사용하고 있다. 박정수는 경기도에서 경상남도 김해시를 거쳐, 1986년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 마을의 토질이 도자기를 빚...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숙박 서비스 제공 시설. 숙박 시설은 일반적으로 호텔·여관·여인숙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즉 수면을 위한 기본 시설뿐만 아니라 세면이나 휴식 공간은 물론 식사 기능까지 겸하는 숙식을 여행객들에게 제공하는 형태의 시설을 의미한다. 현재 하동군에는 호텔, 모텔, 여관, 민박 등 모두 포함하여 111곳의 숙박 시설이 있으며, 이중 하동군에서는 72곳의...
-
개항기 하동 출신의 무신. 정찬건(鄭燦健)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문성공(文成公) 정인지(鄭麟趾)의 후손이다. 1891년(고종 28) 무과에 등제하여 절충장군 첨지중추부사, 오위장 전라감영중군(五衛將全羅監營中軍) 등을 역임하였다....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에서 매년 8월 개최되는 전어 축제. 하동군 진교면 술상리 마을 앞바다는 남강과 남해 바다가 마주치는 곳으로, 특히 사천만과 강진만은 오염되지 않은 데다가 조수 간만의 차가 커 술상리에서 잡히는 전어는 다른 지역의 전어와 차별화를 이룬다. 이에 전국의 미식가들이 많이 찾게 되자 하동군은 전국의 전어 애호가들을 위하여 2003년부터 진교면 술상어촌계가 주...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에 속하는 법정리. 술상리의 명칭은 자연마을인 술상에서 유래하였다. 술상은 술포라는 옛 이름에서 비롯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 말 곤양군 금양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하동군 금양면 술상리가 되었다. 1933년 하동군 금남면 술상리가 되었으며, 1989년 진교면 술상리가 되었다. 금오산(金鰲山)[849m]에서 남동쪽으로 이어진 지맥...
-
국제슬로시티연맹이 국제 슬로시티의 하나로 지정한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지역. 슬로시티(Slow City)는 느리게 살기 미학을 추구하는 도시를 가리키며 ‘치따쓸로(Cittaslow)’라고도 한다. 빠른 속도와 생산성만을 강요하는 빠른 사회(Fast City)에서 벗어나 자연·환경·인간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여유 있고 즐겁게 살자는 취지로 시작되었으며 전통 보존, 지역민 중심,...
-
개항기 하동 지역에 은거했던 의병. 최제학(崔濟學)은 1906년부터 최익현(崔益鉉)[1833~1906] 막하의 12의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항일 의병 활동을 하였다. 최익현은 이항로(李恒老)[1792~1868]의 문인으로 개항기의 대표적인 위정 척사론자이다. 최제학은 1882년(고종 19) 전라북도 진안군 목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탐진(耽津). 자는 중열(仲悅), 호는 습재(習齋...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장소. 우리나라 재래시장은 일반적으로 보부상과 행상 중심의 삼일장 내지는 오일장 형식으로 출발하여 오늘의 정기 시장 및 상설 시장으로까지 발전해 왔다. 이렇게 형성된 시장은 주로 교통이 편리하거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중심으로 형성이 되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전통적인 재래시장의 규모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상설 가게와 같은...
-
근대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시중(時仲), 호는 신암(愼庵).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최천로(崔天老)가 시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윤진(崔允鎭)이며, 할아버지는 최익상(崔益祥)이다. 아버지는 수정(洙亭) 최효근(崔孝根)이고, 어머니는 정도인(鄭道仁)의 딸 진양 정씨(晉陽鄭氏)이다. 부인은 한진완(韓鎭完)의 딸 청주 한씨(淸州韓氏)이며, 그...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시징(時徵). 태조 이성계의 사위인 경무공(景武公) 이제(李濟)의 후손이다. 이기서(李麒瑞)는 1699년(숙종 25)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박달리 원박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느 해 할머니가 화상창(火傷瘡)으로 고통을 받자 입으로 빨아서 치료하였다. 또 어느 땐가 어머니가 병환 중에 꿩고기를 먹고 싶어 하자 하늘을 향해...
-
경상남도 하동군의 특정 지역이나 수역(水域)에 사는 식물. 경상남도 하동군은 북서쪽으로는 지리산 동남사면, 남쪽으로는 남해안과 접하며, 섬진강이 흐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평야 지대도 고루 분포되어 있어 식물상이 다양하다. 특히 서북쪽의 산과 남쪽의 바다는 국립 공원[지리산 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자연환경이 보호되고 있으며, 서북쪽에는 토끼봉[1,533m], 영신봉[1,6...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행해지는 식품과 음식에 관련된 모든 활동. 식생활이란 식품의 산출과 조리, 가공 및 유통, 상차림의 규범, 의례와 음식의 관행, 용구와 식기, 식품의 금기 및 풍습, 기호 등 음식물 섭취 행위와 관련된 생명 유지의 모든 활동을 포함한다. 하동 지역은 주곡 농업 외에 근교 농업으로 무, 배추, 오이 등의 채소가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양계, 한우, 젖소의 사육도...
-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에 있었던 신간회의 하동 지회. 신간회는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세력이 합작하여 결성된 전국적인 민족 운동 단체로서, 안재홍(安在鴻)·이상재(李尙載)·백관수(白寬洙)·신채호(申采浩)·신석우(申錫雨)·유억겸(兪億兼) 등 34인이 발기했다. 진주·하동 지역에서 많은 제자를 길러냈던 두 학자 하재화와 정태석 등이 발기인과 중앙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신...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공신. 숙종 말년 소론은 세자[훗날의 경종]의 왕위 계승을 지지한 반면, 노론은 경종이 즉위한 뒤 숙종의 유명(遺命)이라는 이유로 경종의 뒤를 이을 인물로 연잉군[훗날의 영조]을 지지하였다. 특히 경종이 젊은데도 노론 측이 경종이 병이 많고 아들이 없다는 이유로 연잉군의 세제 책봉과 대리 청정을 서두르자, 소론은 경종의 보호를 명분으로 신임사화를 일으켰다....
-
근대 하동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영호(永好), 호는 수당(修堂). 처음에는 호를 ‘신계(新溪)’라고 하였다가, 자신을 수양하는 데 더욱 힘쓰겠다는 뜻을 담아 수당이라 하였다. 태안군수(泰安郡守) 모산(茅山) 최기필(崔琦弼)[1562~1593]의 10세손이며, 익찬(翊贊) 죽당(竹塘) 최탁(崔濯)[1598~1645]의 9세손이다. 5대조는 경암(景菴) 최동욱(崔...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에 속하는 법정리. 1926년 비파제방이 완공된 후 수해가 없어지고 농경지로 개간되면서 새로 터를 잡은 마을이므로 신기리(新基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팔조면의 궁항동(弓項洞)·토덕동(土德洞)·신기동·상저동(上猪洞)이 통합되어 덕양면 신기리가 되었다. 1938년 하동읍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섬진강이 마을의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흐르고 연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대리의 명칭은 신대마을에서 유래되었는데, 새로 터를 잡아 이루어진 마을이므로 신대리(新垈里)라 하였다. 조선 시대 진주목 악양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702년(숙종 28) 하동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중동(新中洞)·신대동이 통합되어 신대리가 되었다. 악양분지 왼쪽 지맥인 구재봉과 칠성봉 서쪽 산기슭에 형성된 분지에...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 1118번지와 상신대마을 입구에 각각 1기가 위치하는데, 신대리 도로변에서 약 10m 떨어진 곳에 있다. 인근 가정집 담장과 마당에도 2기가 있다. 고인돌의 형식은 기반식 또는 개석식[뚜껑식]으로 추정된다. 덮개돌[上石]의 크기는 대략 길이 300㎝, 높이 50㎝정도이다. 2011년 현재 고인돌 4기...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신만중(愼萬重)은 1912년 3월 19일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604번지에서 태어났다. 만 17세 되던 1929년 6월 김계영(金桂榮), 우용현(禹鎔鉉), 문태규(文泰奎), 김홍근(金洪根) 등이 1927년 8월 20일 발족시킨 하동청년동맹에 가입하여 집행위원으로 선출된 후 본격적으로 사회 운동에 투신하였다. 당시 전국적 조직인 신간회...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손몽상(孫夢尙)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1878년(고종 15)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정자촌에서 태어났다. 신몽상으로도 불렸다. 1907년(순종 1) 8월부터 1908년(순종 2) 10월까지 지리산 기슭인 하동, 구례, 진주, 산청 등지에서 박매지(朴每之), 이성로(李成魯) 등과 함께 항일 의병 활동을 벌였다. 1908년 10월 5일 청...
-
경상남도 하동군 지역 주민에게 다양한 소식과 정보를 전달해 주는 정기 간행물의 한 종류. 신문은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의 하나인 신문지를 매체로 하는 언론 현상으로, 신문사라는 조직체가 뉴스나 정보를 수집·처리·제작하여 독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제공하면서 독자의 정신적 욕구를 만족시키고 그 대가를 받는 공공성과 기업성을 함께 지닌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현재 하동 지역에서 발간되고 있는...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전도리에 있는 나루. 신방나루는 남해고속도로 하동나들목에서 고남교를 건너 하동포구터널을 지나면 숨은 듯이 있다. 국도 19호선이 4차선으로 이전 확장되기 이전 옛길로 접어들면 나오는 강촌 나루터인 신방나루는 과거에는 지역 교통의 요지였으나 현재는 재첩 잡이 배들만이 남아있는 고즈넉한 어촌 마을 나루이다. 과거 육상 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절 하동군 하동읍으...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마을인 신덕(新德)마을의 ‘신’자와 성두(星斗)마을의 ‘성’자를 따서 신성리라 하였다. 성두는 마을 앞들에 고인돌이 북두칠성 모양으로 놓여 있었다고 하여 붙은 지명으로 여겨진다. 조선 시대 진주목 악양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702년(숙종 28) 하동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덕동과 성두동이 통합되어 신성리가 되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 성두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 성두마을 입구 앞을 지나는 지방도 4호선 도로변에 고인돌 3기가 분포해 있다. 또한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 성두마을의 구릉 일대에 수십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의 형식은 기반식 또는 개석식[뚜껑식]으로 추정된다. 덮개돌[上石]은 윗면이 편평한 마름모형이거나 장방형이고, 재질은 화강암...
-
근대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유학자. 본관은 삭녕(朔寧). 자는 시중(時仲), 호는 신암(愼庵).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최천로(崔天老)가 시조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윤진(崔允鎭)이며, 할아버지는 최익상(崔益祥)이다. 아버지는 수정(洙亭) 최효근(崔孝根)이고, 어머니는 정도인(鄭道仁)의 딸 진양 정씨(晉陽鄭氏)이다. 부인은 한진완(韓鎭完)의 딸 청주 한씨(淸州韓氏)이며, 그...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들. 본관은 거창(居昌). 유경신(劉景新)은 자가 대유(大維), 호는 농와(農窩)이다. 유명한(劉命漢)은 유경신의 아들로 자가 유연(唯然)이며, 부인은 웅천 주씨(熊川 朱氏)인데 열행으로 또한 정려를 받았다. 유홍기(劉弘基)는 유명한의 아들로 자는 영경(永卿), 호는 신암(新庵)이다. 이들 유씨 3대는 영계(瀯溪) 유환(劉懽)의 후손들이다. 유경신은 천...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에 있는 금융 기관. 신용협동조합 하동본점은 한국신용협동조합연합회 산하의 신용 협동조합으로 조합원에 대한 저축 편의의 제공과 저리 융자 등을 통하여 조합원 상호간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비영리적 조직이다. 신용협동조합 하동본점은 지역 주민들의 협동 금융 기관으로서 조합원 및 지역 주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신월교회는 믿음의 역사와 사랑의 수고, 소망의 인내가 있는 교회로서 예배와 찬양, 기도로 회복되는 교회를 지향하고 있다. 섬김과 나눔으로 지역 사회를 복음화하며, 신앙 회복[영성 회복]과 성장을 목적으로 1987년 11월 7일 고전면 신월리 599에 설립되었다. 신월교회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교회로서 주일...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뒷산 모양이 마치 반달처럼 생겼으므로 신월리라 하였다.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 신월촌(新月村)이라는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 말 하동군 팔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시목동(柿木洞)·호화동(芦花洞)·신월동·냉정동(冷井洞)·사평동(沙坪洞)·양막동(羊幕洞) 등이 통합되어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가 되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신흥마을에 있는 절터. 신흥사지는 지리산 화개동천의 중심에 위치하여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 신흥사는 풍수지리상 금계포란형(金鷄包卵形)의 형국으로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남쪽에서 번창했던 사찰이었다. 서산대사는 ‘하늘이 숨겨둔 아름다운 곳, 신선의 땅’이라 극찬하였으며, 많은 선승들이 머문 곳이기도 하다. 고려 시대에 벼슬을 버리고 지리산에 숨어 든 선비...
-
경상남도 하동군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흥 종교. 우리나라 신종교의 역사는 근대부터 시작되었다. 서구적 종교 개념과 정교 분리 원칙이 수용, 확산됨으로써 20세기 초부터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신종교들이 등장할 수 있었다. 예컨대, 1901년에 증산교, 1905년에 천도교, 1909년에 대종교, 1916년에 원불교 등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신종교는 ‘새로운 종교 운동(new reli...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서황리 중촌마을에 있는 개항기 때 서당. 신천서당(新川書堂)은 수당(修堂) 최경병(崔瓊秉)[1865~1939]이 강학하던 곳이다. 최경병의 자는 영호(永好),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1837~1905]의 문인이다. 하동 서황리 경현당(河東西黃里景賢堂)의 옆에 위치한다. 주위에 대숲이 우거져 있어 그윽한 느낌을 준다. 하동 서황리...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서황리 중촌마을에 있는 개항기 때 서당. 신천서당(新川書堂)은 수당(修堂) 최경병(崔瓊秉)[1865~1939]이 강학하던 곳이다. 최경병의 자는 영호(永好), 본관은 완산(完山)이며,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1837~1905]의 문인이다. 하동 서황리 경현당(河東西黃里景賢堂)의 옆에 위치한다. 주위에 대숲이 우거져 있어 그윽한 느낌을 준다. 하동 서황리...
-
일제 강점기와 현대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 신현중(愼弦重)은 1910년 8월 4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관리에서 태어났다. 진주와 통영에서 공립 보통학교를 나오고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27년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했다. 대학 재학 시절인 1930년 6월 반제경성도시학생협의회(反帝京城都市學生協議會)를 조직했고, 1931년 4월에는 조규찬(曺圭讚)...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사평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의무 교육 실시와 함께 아동의 원거리 통학이 곤란하여 1, 2학년은 본실에서 수업하게 하자는 취지로 1953년 10월 14일 분교장 설치 기성회[기성 회장: 김방헌]가 조직되었다. 기성회가 교육구청에 진정한 결과 그 해 12월 15일 최상호 교사가 계동 동사를 대용 교실로 하여 이전 수업을 하게 되었다. 1954년 4월 10일...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흥(上興)과 하흥(下興)마을이 통합되어 새로 마을을 이루었으므로 신흥리(新興里)라 하였다. 조선 시대 진주목 악양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702년(숙종 28) 하동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상흥동과 하흥동이 통합되어 신흥리가 되었다. 악양분지 왼쪽 지맥인 칠성봉 서쪽 산기슭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동쪽으로 넓은 평야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신흥마을에 있는 절터. 신흥사지는 지리산 화개동천의 중심에 위치하여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 신흥사는 풍수지리상 금계포란형(金鷄包卵形)의 형국으로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남쪽에서 번창했던 사찰이었다. 서산대사는 ‘하늘이 숨겨둔 아름다운 곳, 신선의 땅’이라 극찬하였으며, 많은 선승들이 머문 곳이기도 하다. 고려 시대에 벼슬을 버리고 지리산에 숨어 든 선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신흥마을에 있는 절터. 신흥사지는 지리산 화개동천의 중심에 위치하여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 신흥사는 풍수지리상 금계포란형(金鷄包卵形)의 형국으로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남쪽에서 번창했던 사찰이었다. 서산대사는 ‘하늘이 숨겨둔 아름다운 곳, 신선의 땅’이라 극찬하였으며, 많은 선승들이 머문 곳이기도 하다. 고려 시대에 벼슬을 버리고 지리산에 숨어 든 선비...
-
경상남도 하동군 일대에서 생산되는 주요 농산물. 하동군의 13개 읍·면에서 생산되는 벼는 금남농협과 옥종농협의 미곡종합처리장[RPC, Rice Processing Complex] 및 개인 도정 공장에서 산물 벼로 매입하여 쌀로 생산되고 있다. 최신 시설 완비로 쌀의 미질이 좋아 고정 고객이 많으며, 시세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2009년 9월부터 금남농협과 옥종농협의 RPC...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최치원의 글씨. 쌍계사 석문(雙磎寺石門)은 문창후(文昌候) 최치원(崔致遠)[857~?]의 친필로 전하는 ‘쌍계석문(雙磎石門)’ 4자를 말한다. 쌍계사(雙磎寺)는 723년(성덕왕 23) 의상(義湘)[625~702]의 제자인 삼법(三法)이 창건한 절이라고 한다. 절 이름은 절 문 앞으로 흐르는 쌍계에서 비롯하였으며, 이로부터 쌍계사...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신중탱.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은 「쌍계사 고법당 제석신중탱(雙磎寺 古法堂 帝釋神衆幀)」이라고도 한다. 1781년(정조 5)에 제작된 「쌍계사 국사암 신중도」를 모본(模本)으로 하여 1790년(정조 14) 4월에 제작되었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 대비화상과 삼법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쳤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선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었다. 쌍계사 금강문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 대비화상과 삼법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쳤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선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은 건물이다. 쌍계사 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때 조성한 것을 중건한 조선 후기의 건축물. 쌍계사 대웅전 영역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다.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 대비 화상과 삼법 화상에 의해 처음 세워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처음에는 옥천사라 하였는데,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 하여 정강왕[?~887]이 쌍계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 뒤의 변동 내역은 알...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석불. 쌍계사 경내에 있는 큰 암석의 한 면을 움푹 들어가게 파내고, 그 안에 여래형의 좌상을 두텁게 돋을새김한 고려 시대 마애불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감실(龕室) 안에 불상을 안치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 마애불은 감실 안에 봉안한 불상같이 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석불. 쌍계사 경내에 있는 큰 암석의 한 면을 움푹 들어가게 파내고, 그 안에 여래형의 좌상을 두텁게 돋을새김한 고려 시대 마애불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감실(龕室) 안에 불상을 안치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 마애불은 감실 안에 봉안한 불상같이 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에 대비 화상과 삼법 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라 바꾸어 불렀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 대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었다. 쌍...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에 대비 화상과 삼법 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라 바꾸어 불렀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 대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었다. 쌍...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쌍계사의 석등. 사찰의 석등은 사원의 경내를 밝히기 위해 만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등의 구조는 부도의 구성 요소와 비슷하나 훨씬 단조로운 편으로, 기단부[상대석·중대석[간주(竿柱)]·하대석으로 구성]와 화사석(火舍石)[불을 켜는 부분], 옥개석(屋蓋石)[지붕돌], 상륜부(相輪部)[탑두부(塔頭部)라고도 하는 머리 장식]로 구성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에 대비 화상과 삼법 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바꾸어 불렀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 대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었다. 1...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 고문서. 쌍계사(雙磎寺) 소장 고문서로는 「사천왕복장문(四天王腹藏文)」·「운흥사개금겸사적록(雲興寺改金兼事蹟錄)」·「임진전망축원유전(壬辰戰亡祝願遺傳)」 등이 있다. 「사천왕 복장문」은 사천왕상의 복장문(腹藏文)으로, 대부분 초서로 되어 있으며 글의 뜻을 잘 알 수 없다. 「운흥사개금겸사적록」은 1740년 4월에 쓴 「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