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1301
한자 國家地質公園-指定-外邊山-祕境
영어공식명칭 Beautiful Scenery of Outside-Byeonsan Designated as National Geopark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외변산 지역과 전북 서해안권 국가 지질 공원으로 지정된 지질 명소 채석강, 적벽강, 솔섬, 모항의 비경.

[외변산과 전북 서해안권 국가 지질 공원]

전북 서해안권 국가 지질 공원 [고창·부안권 국가 지질 공원]은 전라북도 고창군과 부안군의 지질 명소 12개소를 중심으로 2017년에 지정되었다. 이 중 부안군의 지질 명소 6곳 중 4곳[채석강, 적벽강, 솔섬, 모항]이 외변산 지역에 위치하며, 그 외에 위도내변산직소 폭포가 포함되어 있다.

유네스코의 정의에 따르면 지질 공원은 국제적 가치가 있는 지질학적 장소와 경관이 보호, 교육 및 지속 가능 발전의 총체적 개념으로 관리되는 단일하고 통합된 지리적 지역을 의미한다. 또한 지질 공원은 보호를 우선으로 하는 다른 제도들[세계 문화유산, 생물권 보전 지구, 국립 공원]과는 달리 보호와 활용을 조화시킨 제도이다. 즉, 각 지역의 지질, 역사, 문화, 생태 등 다양한 핵심 관광 유산을 지질 공원으로 활용하여 자연과 다양한 유산을 보존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이다.

변산은 크게 외변산(外邊山)내변산(內邊山)으로 구분한다. 외변산은 바다를 따라 이어지는 변산반도의 바깥 부분을 의미한다. 외변산의 가장 큰 특징은 마치 수천 권의 책을 겹겹이 쌓은 것처럼 보이는 채석강의 퇴적암 절벽이다. 해식애[sea cliff]라 불리는 이 낭떠러지는 퇴적암층이 오랜 시간 파도의 침식과 풍화 작용을 받아 형성되었다.

부안군의 지형 조건은 북부의 평야 지대, 동부의 구릉성 산지, 서남부의 산지 지역, 서해 지역의 섬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산지 지대를 이루는 변산반도는 내륙의 내변산과 서해안 쪽의 외변산으로 구분된다. 서해 지역에는 위도와 함께 상왕등도, 하왕등도 등 35개의 섬이 분포한다.

한반도 중부 이남의 서해안 및 인접 내륙 지역에는 다수의 백악기 화산암체들이 독립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부안과 고창 지역의 경우, 원형과 타원형의 독립적인 산악 지형을 형성하고 있는 백악기 화산암체가 나타나는데, 최근 서로 다른 암상 구성을 보이는 이 암체들을 각각 ‘선운산 화산암’과 ‘부안 화산암’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화산암체들의 분포를 보면 백악기 한반도는 퇴적 분지의 형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화산 활동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부안 화산암은 북동~남서 주향 방향의 좌수향 주향 이동 단층을 따라 독립적인 산악 지형을 형성하며 분포하고 있다. 화산암체는 산성질에서 중성질 마그마 조성의 관입암, 용암류, 화산 쇄설암, 퇴적암이 함께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백악기 동안 해양판의 섭입 작용에 기인한 산성질 화산암체의 잔존물로 유추되며, 이 지역이 백악기 때에 화산 활동이 활발한 화산 지대였음을 보여 준다.

이 지역의 지형적 특성으로 보면 평야 지대 및 완만한 구릉지와 비교적 높은 산지를 이루는 지역으로 구분되는데, 평야와 구릉 지역에는 풍화 및 침식에 취약한 고원생대 편마암과 쥐라기 화강암이 분포하는 반면, 산지 지역은 풍화에 강한 백악기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변산의 해안 지형]

바다와 면해 있는 외변산 지역은 북서부 해안, 서부 해안, 남부 해안의 세 개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북서부 해안은 변산 해수욕장, 고사포 해수욕장 등 퇴적과 사빈 해안이 우세하며, 썰물 때는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하섬이 위치해 있다. 서부 해안은 격포 해수욕장이 있지만 주로 암석 해안으로 침식 작용이 활발한 적벽강채석강 등이 있다. 남부 해안은 상록 해수욕장, 모항 해수욕장과 갯벌 등의 퇴적 지형과 솔섬 같은 침식 지형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남부 해안은 주거 지역으로 변산반도 국립 공원 지역에서는 제외되어 있다.

외변산 지역에는 사빈 해안으로 변산 해수욕장, 고사포 해수욕장, 격포 해수욕장, 상록 해수욕장, 모항 해수욕장모항 갯벌 등이 있다. 그리고 암석 해안으로 적벽강채석강, 봉화산, 솔섬 등이 있다. 대표적인 암석 해안인 채석강적벽강 일대는 변산반도에서 서해 쪽으로 돌출된 해안 지역으로 과거 화산 활동과 파랑의 영향을 받아 특이한 해안 지형이 형성되었다. 해식애 및 파식대[wave-cut platform], 층리, 단층 흔적, 해안 단구, 습곡 구조, 용암의 흔적 등 과거 화산 활동 및 파랑의 활동을 잘 볼 수 있는 지역이다. 또한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23호], 수성당(水城堂), 닭이봉, 봉화대 등 식생 환경과 역사 환경 역시 우수하다.

적벽강 일대는 선캄브리아기의 화강암과 편마암을 기반암으로 하고,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층과 이후 지각 변동으로 인한 지형이 잘 발달되어 있다. 채석강 일대는 바닷물의 침식을 받은 화산성 퇴적암층[격포리층]으로 역암과 사암, 이암, 셰일 등이 호층(互層)을 이루고 있다. 퇴적 환경은 화산 분출물이 깊은 호수 밑바닥에 퇴적된 수중 삼각주로 추정된다. 채석강의 절벽에는 습곡, 단층 구조, 관입 구조와 파식대 등이 잘 나타나 있다.

[외변산 절경의 형성 과정]

해안 지형은 구성 물질에 따라 암석 해안과 사빈 해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암석 해안은 기반암이 노출된 지역으로 해식애, 해식동[sea cave], 파식대, 시스택(sea stack), 시아치(sea arch), 노치(notch), 마린 포트 홀(marine pot hole), 해안 타포니[coastal tafoni] 등의 지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사빈 해안에는 모래 해안, 패사 해안, 사주, 사구, 사취[spit], 연안 사주[offshore island], 육계사주[tombolo], 육계도[land tied island], 비치 리지, 범, 석호, 해안 사구[coastal dune], 사구 습지 등의 지형이 나타난다.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는 암석 해안 지역에는 주로 침식 작용이 주를 이루고, 사빈 해안에는 퇴적 작용이 주를 이룬다.

변산반도 국립 공원 지역은 서쪽으로 돌출된 서부 해안에 채석강, 적벽강 등의 암석으로 이루어진 침식 해안이 주로 나타난다. 그리고 북서부 해안 지역에는 변산 해수욕장고사포 해수욕장과 같이 사빈 해안이 암석 해안 중간중간에 분포한다.

외변산 지역의 해안 지형 중 해식애가 나타나는 곳은 주로 서부 해안 지역으로 대항리 해변, 적벽강, 채석강, 봉화봉 서쪽 해안에서 관찰된다. 해식애는 파랑의 침식 작용인 파식(波蝕)에 의해 형성되는 해안의 급사면[절벽] 지역으로 암석 해안에서 발달하는데, 급사면인 해식애가 파식에 의해 후퇴할 때 단단한 부분은 시스택으로 남으며, 약한 부분은 해식동이 만들어지거나 시아치로 남기도 한다. 그러나 외변산에서는 해식동은 나타나지만[용굴, 십자 동굴], 일명 ‘촛대 바위’라고 불리는 시스택이나 ‘코끼리 바위’라고 불리는 시아치는 나타나지 않는다.

남부 해안에 위치하는 솔섬은 원래 해안 지역과 연결된 곶 지역이었으나, 파도의 침식에 의해서 중간 부분이 침식되어 육지와 분리된 섬으로 남아 있다. 간조 시에는 암석 해안에 의해 연결되며, 만조 시에는 바닷물에 의해 차단되어 섬이 되고 있다.

서부 해안의 채석강 해안, 적벽강 해안, 봉화봉 서쪽 해안 지역에는 해식애가 후퇴하면서 형성되는 기반암의 평평한 침식면인 파식대가 나타난다. 파식대와 해식애는 동시에 나타난다. 화강암과 같이 등질적인 암석의 파식대는 표면이 매끈하지만, 기울어진 퇴적암층의 파식대는 바닥이 거칠다. 서해안 지역에 형성된 파식대는 만조 때만 파식을 받기 때문에, 현재보다는 후빙기 이전의 최후 간빙기 때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솔섬의 해변과 모항 남부 해안에는 염분의 풍화 작용에 의해 암벽에 집단적으로 형성된 구멍 형태인 해안 타포니가 나타난다. 풍화호[gnamma]는 평평한 암반에 항아리 모양으로 파인 구멍이다. 그러나 해안 지역에서 나타나는 타포니와 풍화호는 염분에 의한 화학적 풍화 작용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하천 지형의 기반암에 나타나는 마식 작용에 의한 포트 홀(pothole)과는 형성 기제에서 차이가 있다.

비치(beach)는 파도가 모래나 자갈을 해안으로 밀어붙여 형성된 퇴적 지형이다.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사빈[sandy beach]을 일컫는다. 후면에는 사빈에서 바람에 의해 날려 오는 모래로 이루어지는 해안 사구와 함께 있으며, 사초에 의해서 모래를 고정시켜 사구가 성장한다. 사취는 주로 연안류에 의해 형성되는 좁고 긴 해안 퇴적 지형이다. 선단부는 연안류에 따라 성장하기 때문에 육지 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사취가 만을 막으면 사주가 되며, 사주에 의해 막혀서 형성된 호수를 석호라고 한다. 사취가 성장하여 육지와 섬이 연결되면 육계사주라고 하고, 연결된 섬은 육계도라고 한다. 그리고 연안 사주는 한쪽이 육지와 붙어 있는 사취와 달리, 양쪽이 모두 육지와 분리되어 육지와 나란히 뻗어 있는 모래섬이다.

외변산 지역에서 모래 해안이 나타나는 곳은 대항리 해변, 변산 해수욕장, 고사포 해수욕장, 격포 해수욕장, 그리고 남부 해안의 상록 해수욕장, 언포 해수욕장, 모항 해수욕장 등이다. 그리고 솔섬은 사주나 사취의 성장에 의해서 연결된 것이 아니라, 원래 육지와 연결되어 있던 곶 지역이 침식에 의해서 절단되어 섬이 된 것이다. 외변산 지역 내에서는 사빈의 성장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육계도와 육계사주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남부 해안에 위치하는 모항 해수욕장은 원래 남부에 위치하던 섬을 육계사주[현재 모항 해수욕장의 주차장과 상가 지역]가 연결하여 육계도가 된 사례로 추정된다. 모항 남쪽 해안에는 암석 해안이 나타나고 해발 고도가 높은 데 비하여, 주차장이 있는 지역은 낮고 평평한 지형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모항 지역은 서쪽에는 모래 해안이 형성되어 있고[남서 방향], 동부에는 갯벌이 형성되어 있다[남쪽 방향]. 육계사주로 추정되는 현재의 주차장을 중심으로 서쪽은 암석 해안에서 침식되어 공급된 모래가 강한 파도에 의해 좁은 만 지역으로 밀려와 퇴적되어 형성된 모항 해수욕장이 있으며, 동쪽은 서쪽 모래 해안에 비해서 경사가 완만하고 파도의 힘이 약하여 미립질의 퇴적물이 쌓여 갯벌이 형성되었다. 서부의 모래 해안은 모항 해수욕장으로 이용되고, 동부의 갯벌 지역은 과거에 간척 사업이 진행되기도 하였으나 중단되고 지금은 모항 갯벌 체험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 중간의 육계사주 지역은 주차장과 상가 지역으로 이용되고 있다.

[외변산 4개 지질 명소의 특징]

1. 모항[특이한 페퍼라이트]

페퍼라이트(peperite)는 마그마가 물을 함유한 퇴적물과 만나 서로 뒤섞이면서 형성된 밝은 암석과 어두운 현무암이 섞여 마치 후추를 뿌려 놓은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직 단단하게 굳지 않아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퇴적물에 마그마가 흘러들면서 수분이 팽창하여 폭발하면서 퇴적물과 암석 파편이 뒤섞여진 상태가 굳어진 것이다.

모항 해변에서 관찰되는 페퍼라이트에서는 약 8900만 년 전에 회색 응회암 사이를 뚫고 올라온 마그마가 굳은 어두운 색의 경계부를 볼 수 있다. 화산재와 가스, 부석 등이 섞인 화쇄밀도류는 고온이어서 땅에 쌓인 뒤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데, 이런 상황에서 뜨거운 마그마가 화산 쇄설물 안으로 들어오면서 두 암석이 뒤섞여 페퍼라이트를 형성하였다. 적벽강에서 관찰되는 페퍼라이트는 물이나 습기를 머금은 퇴적암과 마그마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된 일반적인 페퍼라이트인데 비하여, 모항 해안에서 나타나는 페퍼라이트는 화산 쇄설물 내에 포함된 다량의 가스들이 마그마의 관입에 의해 이동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인 페퍼라이트와는 형성 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2. 솔섬[화산 탈가스 구조]

솔섬에서는 자갈 크기의 화산암편[화산력]을 포함한 응회암의 모습과 응회암이 퇴적되는 과정에서 내부에 포함된 다량의 가스가 빠져나오면서 형성된 구조[화산 탈가스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곳곳에 동그랗게 부풀어 오른 특이한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데, 부풀어 오른 부분을 절단한 것과 같은 동그란 원통형 튜브 형태와 함께 이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해 놓은 듯한 깔때기 모양의 단면도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공통적으로 응회암이 퇴적된 직후 내부에 포함된 뜨거운 가스 혹은 수증기의 이동 통로로 작용한 원통형 파이프가 발달한 화산 탈가스 구조이다. 솔섬에서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화산 탈가스 구조를 삼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다. 즉, 가스가 빠져나가면서 부푼 형태, 가스의 이동 통로가 되는 원통형 튜브 형태의 단면, 깔때기 형태의 가스 이동 통로 등을 관찰할 수 있다.

3. 채석강[퇴적층 및 변형 구조]

채석강에서는 해식 절벽에 의해 노출된 퇴적층, 습곡이나 단층과 같은 지질 구조, 마그마의 관입에 의해 형성된 관입암체, 생성 환경을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자갈로 구성된 역암층, 호수 환경에서 발달한 삼각주 로브 퇴적체를 관찰할 수 있다. 채석강과 봉화봉 일대는 입자의 크기와 구성 물질을 달리한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 지형에 지속적인 파도의 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 해식 절벽과 동굴이 나타난다.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에 분포하는 격포리층은 백악기 호성 분지인 격포 분지를 채우고 있는 쇄설성 퇴적암과 이 퇴적암 내 협재된 화산 쇄설암을 모두 지칭하며, 두께는 약 130m이다. 격포리층의 서쪽과 북쪽은 각각 쥐라기 흑운모 화강암과 반상 화강암을, 남쪽은 석포 응회암을 부정합으로 피복하고 있다.

채석강의 해식 절벽에서는 퇴적층이 구불구불 휘어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구조는 물 또는 습기를 다량 함유한 미고결 퇴적물이 단단해지기 전에 화산 분출에 의한 마그마가 중력에 의해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봉화봉에서는 총 3개의 퇴적층에 걸쳐 57개의 공룡 발자국 화석을 볼 수 있다. 공룡 발자국의 보행렬의 크기나 양상으로 볼 때 소형 용각류가 서로 다른 시기에 호수를 오가거나 호수를 따라 거닐 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격포 해수욕장의 백사장 길이는 약 1㎞ 정도인데, 하루 두 차례 물이 빠지면 북쪽의 적벽강과 남쪽의 채석강 파식대를 걸어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격포는 변산반도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어서 하루 중 가장 오랫동안 해가 떠 있고 노을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여, 보내는 천 년의 불씨를 이곳에서 채화하고 새천년 첫 번째 불씨를 호미곶에서 채화하여 천 년의 불씨를 호미곶에 보관하고 있다. 특히 채석강 해식 동굴의 일몰과 격포항 등대에서 맞는 일몰은 유명하다. 서해의 일몰이 뛰어난 곳 중 하나로 꼽히는 곳은 내변산외변산의 경계에 위치하는 월명암 낙조대가 유명하다.

4. 적벽강[페퍼라이트와 해식애]

적벽강은 퇴적암인 셰일과 화산암인 유문암의 직접적인 경계 부분으로, 성질이 다른 두 종류 암석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형성된 독특한 암석[페퍼라이트]을 관찰할 수 있는 장소이다. 페퍼라이트는 검은 갯벌 속에 붉은 자갈들이 끼어 있는 것 같아 언뜻 보기에 역암으로 혼동하기 쉽다. 그러나 페퍼라이트는 뜨거운 마그마나 용암이 차가운 미고결 퇴적물과 직접 접촉할 때 형성되는 독특한 암석이다. 즉, 물기가 많고 아직 고화되지 않은 퇴적물에 화산 활동으로 인해 뜨거운 용암이나 마그마가 덮이거나 관입하면, 퇴적물 속의 수분이 고열로 인해 급격히 끓어오르면서 수증기의 폭발이 일어나 퇴적물과 용암이 뒤섞이면서 만들어진 암석이다.

또한 유문암질 용암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주상 절리와 함께 해안가에서 파도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구멍[돌개구멍]과 해식 절벽을 관찰할 수 있다. 용두산의 해안 절벽은 사자의 머리를 닮았다고 하여 사자 바위라고 부르기도 한다. 적벽강죽막마을 앞 천연기념물 제126호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산35-1번지]이 있는 연안에서부터 전라북도 유형 문화재 제58호 수성당(水城堂)이 있는 용두산(龍頭山)을 돌아 형성된 절벽과 암반으로 해안선 약 2㎞를 가리킨다. 수성당 아래에는 해식 동굴인 용굴(龍窟)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