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 정서리 석조여래입상은 40여 년 전 현재의 강선암(降仙庵)으로 옮겨온 것으로, 불신과 광배 및 대좌가 하나의 돌에 조각되었다. 양손이 없어졌지만 거의 완전한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본래의 수인(手印)은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1972년 2월 12일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흥리 금봉사에 있는 동조 보살 좌상. 하동 금봉사 소장 동조보살좌상은 여러 차례 개금(蓋金)이 된 것으로 보이는데, 오래전에 불자로부터 시주받아 금봉사에서 소장해 오고 있다고 한다. 중국 명나라에서 제작된 것인지, 고려 후기 때 제작된 보살상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2009년 12월 3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92호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 금오산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불. 하동 금오산 마애불은 남해대교 북쪽 금오산[850m] 정상에서 서남쪽 800m 지점 너럭바위 지대의 거대한 ㄱ자형 암벽에 선각(線刻)한 마애불좌상(磨崖佛坐像)이다. 부분적으로 훼손되었지만 전체적인 윤곽이 잘 드러나 있다. 부처의 상호(相好)는 타원형으로 풍만하지만 손상으로 인해 자세한 표정을 알 수 없으며, 목에 삼...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석불. 쌍계사 경내에 있는 큰 암석의 한 면을 움푹 들어가게 파내고, 그 안에 여래형의 좌상을 두텁게 돋을새김한 고려 시대 마애불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감실(龕室) 안에 불상을 안치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 마애불은 감실 안에 봉안한 불상같이 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은 쌍계사 대웅전에 있는 나무로 만든 칠존불을 말한다. 삼세불좌상은 석가모니불과 아미타불 및 약사불이며, 사보살입상은 약사불과 아미타불 좌·우에 서 있는 네 구의 보살입상으로 일광(日光)·월광(月光)·관음(觀音)·세지(勢至)보살상으로 추정된다. 칠존불 가운데 아미타불을...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이명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마애불. 이명산 마애석조여래좌상은 화강암으로 된 마애불로서, 만든 양식으로 보아 통일 신라 때의 것으로 보인다. 수인(手印)으로 보아서는 아미타여래상이며,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136호로 지정되었다. 10m 이상의 자연 암벽이 층계를 이루면서 크게 움푹 들어간 부분의 바위 면을 잘 다듬어 조각...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청심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하동 청심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은 청심사 법당의 주존불로 봉안되어 있다. 색난파(色難派) 조각승이 조성한 것으로 존명은 명확하지 않으나, 다리 위에 양손은 가볍게 들어 아미타인을 취하여 아미타여래로 칭한다. 2011년 4월 28일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512호로 지정되었다. 하동 청심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은 47....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룡리 금성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 보살 좌상. 하동 금성사 목조보살좌상은 결가부좌를 하고 원만한 얼굴에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양어깨에 걸친 옷 모양]이다. 머리카락을 제외하고 전체에 걸쳐 금칠(金漆)을 하였으며, 밑바닥에 복장공(腹藏空)을 갖추고 있다. 2005년 3월 31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372호로 지정되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에 있는 고려 후기 석불 좌상. 하동 청룡리 석불좌상은 속칭 ‘우마니들’, ‘우마니[牛滿] 절터’라고 불리는 하동군 옥종면 청룡마을 앞 들판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제작 기법으로 보아 고려 후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54년 이 지역에 시장을 개설하기 위해 공사를 하던 중 석불이 발견되었는데, 주민들이 뜻을 모아 지금의 우체국 뜰에 이전하고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