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갈미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갈미봉 설화」는 낙노국(樂奴國)의 도읍지였던 악양[옛 하동]의 땅을 넓히기 위하여 섬진강 물줄기를 돌리려 갈미봉을 옮기는 도중에 처녀에게 산이 움직이는 것을 들켜 그 자리에 서고 말았다는 풍수담이자 지형유래담이다. 2004년 악양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악양면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미점리 개치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치마을 당산제는 매년 음력 1월 3일 아침 미점리 개치마을에 있는 ‘윗당산’, ‘아랫당산’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에서 화개 방면으로 국도 19호선을 따라 15분가량 달리다 보면 개치마을이 나온다. 개치마을을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악양루(岳陽樓...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풍천 노씨 문중의 재실. ‘경호(鏡湖)’라 이름 지은 이유는 재실이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 밑에 있어 내외의 모든 산이 연기와 구름 사이에 있으며, 동정호가 쪽빛처럼 푸르고 거울처럼 맑아서 무릇 호수의 경치가 다 재실에 비치었기 때문이다. 경호재(鏡湖齋)는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외둔마을 표지석에서 외둔길을 따라 약 300m 정도...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군립 공원. 고소성 군립공원은 고소성과 그 인근 지역에 걸쳐 있는 군립 공원이다. 고소성은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산성으로 지리산에서 뻗어 내려온 산줄기의 중복 300m 고지에 위치하며, 오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다. 동북 방향으로 준령으로 둘러싸여 있고, 서남 방향으로 섬진강과 동정호가 발아래 있는 천연의 요충지이다. 영남에서 호남으로...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유학자 최숙민이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동정호를 바라보며 지은 한시. 「과동정호(過洞庭湖)」는 최숙민(崔琡民)[1837~1905]의 문집 『계남집(溪南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최숙민이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동정호 앞의 악양 들판, 그 곁의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을 보며 청운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여기저기 유람만 다니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한시이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양헌 이사증을 모시는 재실.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대축마을[대봉감마을] 안길을 따라 오르면, 마을 중앙에 광천재(廣川齋)가 위치한다. 건립 시기는 자세하지 않으나,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정조 대에 합천 이씨(陜川李氏) 양헌(陽軒) 이사증(李師曾)을 추모하기 위해 그 후손들이 마련하였다. 이사증이 일찍이 큰 뜻을...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동매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 지리산 쌍계사의 말사. 구봉사는 비구니 자득(自得)이 일찍 출가하여 30여 년을 여러 선원에서 선 수행을 해 오다가, 1991년에 도반(道伴)[함께 도를 닦는 벗]의 권유를 듣고 지금의 자리에 거처를 정하였다. 기도를 하면서 정진하다가 뜻있는 신도들의 도움을 얻어서 1997년에 법당과 요사채를 지었다. 매월 초하...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에 있는 고려 후기 석성. 구성(龜城)은 고려 후기 안정군(安定君)이 역모를 꾀하고자 광양의 태인도에서 하동의 오이령으로 도당을 이끌고 들어와 웅거하기 위하여 축성한 성으로 전해진다. 이성계(李成桂)[1335~1408]에 의해 토벌되었다고 한다.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 뒷봉산 정상에 위치하고 있는 산성으로, 악양분지의 동쪽으로 흐르는 섬진강 하단 구릉에...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패러글라이딩 활공장. 하동군에서 지리산과 섬진강, 악양 무듬이 들판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관을 만끽할 수 있는 산림 레포츠를 육성하기 위해 2002년 자연풍을 이용하는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인 형제봉 활공장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형제봉 활공장은 서풍이 불면 이용하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서풍이 불 때를 대비하여 형제봉의 맞은편에 구재봉 활공장을 추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에서 구제산계 계원들이 구제산 산신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구제산계 회취는 악양면 신대리 주민이 중심이 된 약 60여 명의 구제산계 구성원들이 매년 오월 초여드렛날 동틀 무렵에 마을의 무병과 풍요를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산신제이다. 마을 제사가 끝나면 어버이날 마을 경로잔치를 열고 있다. 구제산계의 계원은 2010년 현재 60명 정도인데 대다수가...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김의홍(金義洪)은 1886년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에서 태어났다. 김병원(金炳源)으로도 불렸다. 1907년은 헤이그 밀사 사건과 그에 따른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일명 한일신협약]에 의한 한국의 통치권 약화, 한국군 강제 해산 등으로 각지에서 의병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김의홍은 1907년 8월부터 고광순(高光洵), 박매지(朴每之...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지역에 있던 삼한 시대 변진(弁辰) 12국의 하나. 변낙노국(弁樂奴國) 또는 변진낙노국(弁辰樂奴國)이라고도 했던 낙노국(樂奴國)은, 토지가 기름지고 오곡과 벼를 가꾸기에 알맞았으며 누에를 치는 법을 알아 비단을 짜 옷을 지어 입었던 문화 국가였는데, 지명의 유래는 분명하지 않다. 삼한 시대 섬진강 주변에 있던 다사촌(多沙村)에 변진 12국 가운데 하나로 형성...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경실(景實)이다. 송재(松齋) 노숙동(盧叔同)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노정한(盧廷翰)이다. 노수(盧禭)는 1794년(정조 18)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태어났다. 나이 70세 때 100세 부모를 모시는데도 자잘한 음식을 몸소 받들어 올렸으며, 부모가 반걸음을 걸을 때도 반드시 부축해서 보살폈다. 상을 다하여 3년 동...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의 노영두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 노영두 소장 고문서는 소지(所志) 3점, 의송(議送) 1점, 청원서(請願書) 6점, 첩(帖) 1점, 서목(書目) 1점, 전령(傳令) 2점, 고목(告目) 4점, 고시(告示) 10점, 망기(望記) 29점, 교지(敎旨) 9점, 경제 문서(經濟文書) 3점 등이다. 1. 소지, 청원서, 첩, 고목 소지에는 1904년(고종 41) 세...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매계리 노전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노전마을 당산제는 음력 섣달 그믐날 저녁에 악양면 매계리 노전마을에 있는 당산 할배와 당산거리에서 마을의 무병과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2011년 3월 악양면 매계리 노전마을로 현장 조사를 나갔으나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 알고 있는 제보자는 만나 볼 수 없었고, 노전마...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농업 문화 전시관. 농업전통문화전시관은 하동군 농업의 역사를 조망하고 최참판댁 한옥 체험과 연계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9년 4월 말 국비 10억 원, 도비 9000만 원, 군비 2억 1000만 원 등 13억 원을 들여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최참판댁 내 부지 4,090㎡를 이용해 307.44㎡ 규모의 전시관을 건립하였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삼한 시대 토성. 다사성(多沙城)의 정상에 회치(會治)바위, 성 아래에는 사창마을, 옥실뱀이, 화장실을 뜻하는 통시뱀이 등의 지명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치소(治所) 내지는 부족 국가의 옛 궁터로 추정된다. 『삼국지(三國志)』 위지동이전(魏志東夷傳)에 의하면, 하동 지역에 변한의 12개 부족 국가의 하나인 낙노국(樂奴國)이 있었다 하니 다사성을...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떫으나 홍시가 되면 매우 달고 큰 감. 하동군 악양면 일대는 기후가 온화하고 토질이 비옥하여 대봉감의 재배 적지로 선택된 곳으로, 대봉감의 시배지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악양 대봉감은 ‘과실의 왕은 감이요, 감의 왕은 대봉’이라 하여 옛날부터 임금님의 진상품으로 이름난 과일로, 다른 지역의 대봉감과는 그 맛과 향을 비교할 수 없다. 11월...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조선 시대 인천 이씨 문중의 재실. 동곡재(桐谷齋)는 인천 이씨(仁川李氏) 공도공파 28세로 공조참의를 지냈으며, 통헌대부에 추증된 이석맹(李錫孟)과 부인인 숙부인 안동 권씨(安東權氏)의 위패를 봉안한 곳이다.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상신마을 입구에서 마을 중앙로로 약 200m 오르면 상신마을회관이 나오는데, 동곡재는 상신마을회관의 위쪽 약 10...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동매라는 이름은, 매계리(梅溪里) 동쪽에 있는 마을이어서 동매(東梅)라고 하였거나, 외딴 산이 있어서 독매 또는 동매[똥뫼]라고 한 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여겨진다. 풍수적으로 동국설중매(東國雪中梅) 형국이므로 ‘동’자와 ‘매’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라고도 해석하였다. 약 300~400년 전 처음 마을이 형성되었다. 인근 매계리가 청학동으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동매리 동매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매마을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룻날 오후에 동매리 동매마을에 있는 할매 당산과 할배 당산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동매마을은 소설 『토지』의 무대로 잘 알려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산 자락이 병풍처럼 감싸고, 앞으로는 섬진강이 흐르는 경관이 수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호수. 하동군 악양면이 중국 후난 성[湖南省]에 있는 웨양[岳陽]과 지명이 같은 것에 착안하여 웨양에 있는 둥팅 호[洞庭湖]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동정호가 있는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는 악양천이 범람하면서 만들어진 배후 습지 뒤쪽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뒷쪽으로 산을 등지고 마을 앞에 배후 습지, 그 앞에 자연 제방, 그 앞에 악양천이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동정호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동정호 금붕어와 혼인」은 하동군 악양면에 있는 동정호에서 전승되는 「우렁이 각시 민담」과 유사한 이야기이다. 용왕의 딸로서 벌을 받아 금붕어가 된 처녀와 혼인을 한 총각이 아내를 탐하는 원님과의 장기 내기에서 파리로 변신한 아내의 덕택으로 이겨서 행복하게 살았다는 동물담이면서 변신담이자 신이담이기도 한다. 200...
-
개항기에 이교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하동 고소성에 올라 읊은 한시. 「등고소성(登姑蘇城)」은 조선 말의 문인 학자인 지재(止齋) 이교문(李敎文)[1878~1958]의 문집 『지재유고(止齋遺稿)』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교문이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서리 내리고 유난히 달 밝은 늦가을밤에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에 올라 그 고즈넉한 풍경을 읊은 것이다. 하동...
-
개항기에 이교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에 있던 봉황대를 찾아가 읊은 한시. 「등봉황대(登鳳凰臺)」는 조선 말의 문인 학자 지재(止齋) 이교문(李敎文)[1878~1958]의 문집 『지재유고(止齋遺稿)』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교문은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악양의 봉대리에 있었던 봉황대(鳳凰臺) 유허를 찾아갔는데, 봉황대는 보이지 않고 물가에 풀만 우거진 것을 보고서 그 아...
-
조선 전기 유호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악양루에 올라 읊은 한시. 「등악양루(登岳陽樓)」는 조선 전기의 유학자 유호인(兪好仁)[1445~1494]의 문집 『뇌계집(㵢谿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유호인이 하동을 여행하면서 악양루(岳陽樓)에 올랐을 때, 악양루 앞에 있는 동정호(洞庭湖)와 군산(君山) 등을 바라보며 그 경치와 자신의 심회를 읊은 한시이다. 악양루는...
-
조선 후기 이현일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있는 악양루 유허와 동정호에서 읊은 한시. 「등악양루유허(登岳陽樓遺墟)」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학자인 이현일(李玄逸)[1627~1704]의 문집 『갈암집(葛庵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학통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다. 68세 때인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에 연루...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등촌리라는 명칭은 1914년에 등촌동(登村洞)에서 바뀐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등촌동(等村洞)이 등촌리가 되었다. 등촌리의 청학골은 인접하는 매계리와 함께 조선시대에 청학동으로 지칭되던 곳이었다. 청학골에 거주하는 주민의 증언에 의하면 밀양 박씨와 함양 박씨가 300-400년 전부터 취락을 형성하였다고 한다. 등촌리의 애초...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동매리에 있는 조선 시대 의성 김씨의 재실. 하동군 악양면 동매리 마을 하천을 따라 약 30m 오르면 왼쪽에 위치한다. 매강재(梅崗齋)는 의성 김씨(義城金氏)의 묘하각(墓下閣)으로서, 자손의 세일제(歲一祭)[1년에 한 번 지내는 묘제] 재숙소(齋宿所)로 세재 정묘 11월 21일에 건립하였다. 1964년 중건하였다.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일자형 홑처마...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래 매골이었는데 ‘매’를 음차하여 ‘매(梅)’로 표기했다는 설, 매화 꽃잎이 흐르는 계곡이어서 붙인 이름이라는 설, 매국대(梅菊臺) 밑에 시내가 흘러 붙인 이름이라는 설 등이 전해 온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매계동(梅溪洞)과 노전동(蘆田洞)이 통합되어 악양면 매계리가 되었다. 매계는 조선 시대 산수가 빼어나서 청학동으로 지목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매계리 노전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매계리 고인돌은 하동군 악양면 매계리 노전마을에서 정서리 상신마을로 가는 농로 변에 위치한다. 남쪽으로는 악양천이 남류하여 섬진강으로 합류하고, 주변의 구릉은 계단식 전답으로 개간되어 있다. 고인돌은 개석식[뚜껑식] 또는 기반식 구조로, 덮개돌[上石]의 재질은 화강암이고 형태는 상면이 편평한 부정형이다. 덮개돌의...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차 박물관. 매암차문화박물관은 차의 제조 과정과 차에 관한 이야기를 직접 듣고 체험할 수 있는 실습형 박물관으로 대중과 함께 차 문화를 공유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63년 강성호가 다원을 조성하면서 시작되었다. 1963년 구 경상남도 임업시험장을 매입하여 매암농원으로 개칭하고, 1969년 제1다원인 매암다원을 조성하였으며, 1989년 제2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이여송(李如松)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장 이여송과 성두마을」은 명나라 장수 이여송[1549~1598]이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의 산세가 훌륭한 장수가 태어날 것임을 알고 성두마을 산제봉(山祭峰) 산허리를 묵필로 자르니 장수가 청룡도를 짚고 무릎을 꿇어앉은 채 죽어 갔다는 풍수담이다. 또한 산허리 붉은 선혈이 황토수로 변하고 용마가 뛰쳐나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대축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문암송대제는 매년 음력 칠월 보름날에 악양면 축지리 대축마을의 아미산 중턱에 있는 문암송(文岩松) 앞의 문암정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문암송은 커다란 바위를 뚫고 자라고 있어 마치 큰 바위에 걸터앉아 드넓은 악양 들녘을 내다보고 있는 듯 기이한 형상의 소나무이다. 예전에는 이 나무 아...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미점리라는 명칭은 자연 마을인 미점마을에서 유래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악양면 미점동(美店洞), 덕양면 상개치동(上開峙洞)·하개치동(下開峙洞)이 통합되어 악양면 미점리가 되었다. 마을 뒤로 구자산[767m]이 솟아 있고, 앞으로는 섬진강이 북서쪽에서 흘러들어 남쪽으로 빠져나간다. 섬진강 건너로 백운산[1,218m]과 억불봉을...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를 무대로 대하소설 『토지』를 집필한 여류 소설가. 박경리는 1926년 경상남도 통영에서 태어나 1945년 진주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50년 수도여자사범대학[현 세종대학교] 가정과를 졸업하고, 황해도 연안여자중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55년 김동리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단편 「계산」을 발표하여 등단하였다. 1958년 첫 장편 『애가』를 『...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박매지(朴每之)는 1878년(고종 15)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 124번지에 태어났다. 1907년(순종 1) 하동 지역에서 의병대를 조직했다가, 300여 명의 부대원과 함께 고광순(高光洵) 의병 부대에 합류하였다. 고광순이 전사한 뒤 의병진을 재편성하여 총대장이 되었는데, 그가 이끌던 의병 부대는 화승총을 사용하였고, 중견 간부는 러시아에서...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박홍지(朴弘之)는 1881년[혹은 1882년이라고도 한다]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서 태어났다. 1907년(순종 1)은 헤이그 밀사 사건과 그에 따른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일명 한일신협약]에 의한 한국의 통치권 약화, 한국군 강제 해산 등으로 각지에서 의병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박홍지는 1907년 지리산을 중심으로 하동, 구...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는 효열부 밀양 손씨를 기리는 비. 밀양 손씨(密陽孫氏)는 남편의 병간호를 극진하게 하고, 남편이 세상을 뜬 후에는 절개를 지키며 길쌈을 하여 시부모를 봉양하였다. 사림이 효열부(孝烈婦) 상을 드높이기 위해 포상하고, 이를 기리는 비를 세웠다. 백낙훈 처 손씨 기적비(白樂訓妻孫氏紀蹟碑)는 팔각지붕의 덮개와 받침대가 있으며, 비석의 전체는 화강암이다...
-
조선 후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효부이자 열녀. 본관은 밀양(密陽). 남편은 백낙훈(白樂訓)이다. 밀양 손씨는 어려서부터 부모의 명을 어기는 일이 없어 효녀라 칭찬받았다.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로 시집을 왔는데, 남편이 중병에 걸려 여러 달이 지나도 낫지 않았다. 병의 증상을 알기 위해 똥의 맛을 보기도 하고 병상의 고통을 자기가 대신하겠다고 하늘에 빌기도 하였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보문사는 1976년 김기봉이 터를 매입하여 인법당과 산신각을 조성하여 창건하였다. 『악양면지』에 의하면 보문사는 원래 악양면 내의 절 가운데 신도가 제일 많았던 사찰이었다. 그러나 2001년에 김기봉이 입적하고 나서 절이 정비되지 못하다가, 2010년 지리산 쌍계사의 진현이 보문사에 거처하면서 불사를 크게 일으키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봉대리의 명칭은 봉대마을에서 유래하였다. 악양팔경으로서 중국 금릉의 봉황대와 견줄 만큼 경치가 빼어나 ‘봉대(鳳臺)’가 되었다 한다. 조선 시대 진주목 화개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봉대동(鳳坮洞)·대촌동(坮村洞)·하평동(下平洞)·평사동(平沙洞) 일부가 통합되어 악양면 봉대리가 되었다. 서쪽으로 지리산 삼신봉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 대촌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는 봉대마을, 대촌마을, 하평마을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으로, 봉대리라는 지명은 중국의 금릉 봉황대(金陵鳳凰臺)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본래 진주목 화개현의 지역으로서 경치가 매우 아름다워 중국의 소상팔경(瀟湘八景)과 같다 하여 봉황대라 하였는데, 현재도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 마을의 남쪽 산에...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에서 비까리와 새모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비까리와 새모」는 고려 때 덕호마을에 살던 부자 형제가 이대, 삼대까지 부자가 못 나오게 하는 형제봉 때문에 형은 새동네란 뜻의 새모[상신대]로, 동생은 덕호마을에서 비껴 앉았다는 뜻의 비까리[하신대]로 이사하였다는 마을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고려 후기 한유한이 은거하였던 바위. 삽암(鈒巖)은 섬진강 가에 솟아 있는 하나의 바위이다. 우리말로 ‘꽂힌 바위’라 부르는데, 하동군 악양면 사람들은 ‘섯바구’ 또는 ‘선바위’라 부르기도 한다. 예로부터 남해와 섬진강의 어선들이 정박하였고, 영호남을 연결하는 나룻배가 다니던 곳이었다. 삽암은 고려 말의 은자인 한유한(韓惟漢)이 난세를 피해...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 상신대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상신대마을 당산제는 음력 사월 초파일에 신대리 상신대마을에 있는 ‘고속정 느티나무’, ‘방계 팽나무’, ‘농바구 소나무’ 등의 당산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지금은 ‘구제산계 회취’에 흡수된 마을 제의이다. 상신대마을은 소설 『토지』의 무대로 잘 알려진 악양면 평사리와 마주 보...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서 섯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섯바위 이야기」는 한유한(韓惟漢)이 신선이 된 자리이며, 이순신(李舜臣)[1545~1598]이 백의종군(白衣從軍)하기 위해 임지로 가며 지나간 자리이고, 신분의 벽을 넘지 못해 죽은 청춘 남녀의 사랑이 맺힌 바위이며, 왜구가 침입했을 때 바위를 굴려 적을 물리친 자리라는 지명유래담이다. ‘삽암(鍤巖)’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성광교회는 명칭대로 지역 내에 빛을 비추는 교회로서 사명과 비전을 가지고 지역의 기독교 복음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68년 12월 5일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초가집에서 시작하여 현재 신성리 931-9번지 1,421㎡ 대지 위에 교회와 사택을 건축하였다. 초대 이윤정 전도사가 시무하였다. 추수절(秋收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 성두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성두마을 동제는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룻날에 성두마을 입구와 뒤쪽에 자리하고 있는 당산나무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던 제사이다. 2011년 3월에 성두마을로 현장 조사를 나갔으나 동신제의 연원에 대해 알고 있는 제보자를 만나지 못하였다. 마을의 동신제는 10여 년 전쯤 없어졌다. 마을에서 동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는 조선 시대 밀양 손씨 문중의 재실.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소축마을 입구에서 오른쪽 하신대길로 약 300m쯤 오르면 마을 상단에 감나무 밭이 나오는데, 성모재(省慕齋)는 감나무 밭 사이에 위치한다. 또는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소축마을 입구에서 왼쪽 길로 오르면 마을 회관이 나오는데, 마을 회관을 지나 위쪽으로 약 300m쯤 가면 찾을 수 있다....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손몽상(孫夢尙)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1878년(고종 15)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정자촌에서 태어났다. 신몽상으로도 불렸다. 1907년(순종 1) 8월부터 1908년(순종 2) 10월까지 지리산 기슭인 하동, 구례, 진주, 산청 등지에서 박매지(朴每之), 이성로(李成魯) 등과 함께 항일 의병 활동을 벌였다. 1908년 10월 5일 청...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등촌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 수곡사(水谷寺)는 1960년 4월 8일 승려 법인이 건립한 절이다. 산신각만 있던 것을 15년 전에 법인이 거처하면서 기도하고 정진하여 2007년에 법당을 완성하였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정기 법회를 열고 있다. 승려 법인은 기도를 계속할 뿐 아니라 신도와 상담 등을 하면서 포교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수곡...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대리의 명칭은 신대마을에서 유래되었는데, 새로 터를 잡아 이루어진 마을이므로 신대리(新垈里)라 하였다. 조선 시대 진주목 악양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702년(숙종 28) 하동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중동(新中洞)·신대동이 통합되어 신대리가 되었다. 악양분지 왼쪽 지맥인 구재봉과 칠성봉 서쪽 산기슭에 형성된 분지에...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 1118번지와 상신대마을 입구에 각각 1기가 위치하는데, 신대리 도로변에서 약 10m 떨어진 곳에 있다. 인근 가정집 담장과 마당에도 2기가 있다. 고인돌의 형식은 기반식 또는 개석식[뚜껑식]으로 추정된다. 덮개돌[上石]의 크기는 대략 길이 300㎝, 높이 50㎝정도이다. 2011년 현재 고인돌 4기...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마을인 신덕(新德)마을의 ‘신’자와 성두(星斗)마을의 ‘성’자를 따서 신성리라 하였다. 성두는 마을 앞들에 고인돌이 북두칠성 모양으로 놓여 있었다고 하여 붙은 지명으로 여겨진다. 조선 시대 진주목 악양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702년(숙종 28) 하동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신덕동과 성두동이 통합되어 신성리가 되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 성두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 성두마을 입구 앞을 지나는 지방도 4호선 도로변에 고인돌 3기가 분포해 있다. 또한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 성두마을의 구릉 일대에 수십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의 형식은 기반식 또는 개석식[뚜껑식]으로 추정된다. 덮개돌[上石]은 윗면이 편평한 마름모형이거나 장방형이고, 재질은 화강암...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흥(上興)과 하흥(下興)마을이 통합되어 새로 마을을 이루었으므로 신흥리(新興里)라 하였다. 조선 시대 진주목 악양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702년(숙종 28) 하동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상흥동과 하흥동이 통합되어 신흥리가 되었다. 악양분지 왼쪽 지맥인 칠성봉 서쪽 산기슭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동쪽으로 넓은 평야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고신] 소속 교회. 악양교회는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의 기독교 복음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1908년 3월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김진옥의 집을 임시 기도실로 하여 발족 예배를 가졌다. 1908년 7월 평사리에 초가 네 칸의 예배당을 마련하였다가 1910년 입석리 동사로 옮겼다. 1912년 노회로부터 인가를 얻고 191...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악양농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제고하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를 확대하고 유통을 원활히 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농사 기술, 농사 자금, 농업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1961년 8월 5일 14개 이동농업협동조합(里洞農業協同組合)으로 발족하여 1968...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매년 10월 말~11월 초에 개최되는 대봉감 축제. 악양 대봉감 축제는 2000년 11월 하동군 악양면의 특산물인 대봉감을 홍보하고, 판매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대봉감 시배지로서의 위상을 높이는 한편, 대봉감 생산 농가와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직거래를 유도해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고, 하동을 찾는 관광객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해...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던 신라 시대의 봉수대. 악양 봉수대의 축조에 대한 자료가 없어 알 수 없지만,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의 축성 연대가 신라 시대이므로 그 당시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남해안, 특히 백제와의 경계 지점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감시하고 보고하기 위해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칠성봉[900m]에 위치하고 있다. 하동군 악양에서 금봉사(...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매계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소속의 교회. 악양북교회는 신구약 성경과 대한예수교장로회 헌법에 의한 신앙 원리에 따라 예배와 선교, 교육과 봉사, 그리고 성도의 교제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악양교회[악양면 봉대리 53-2번지]가 개척의 뜻을 두고 오래 전부터 기도하여 오던 중 하동군 악양면 중대리 751-2번지에 고향을 둔 강창석[당시 부민교회 장립 집...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재래시장. 악양시장은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의 중심지인 정서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한 때 악양면 주민들은 물론이고 인근의 청암면 일부 주민들과 섬진강 건너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일부 주민들까지 이용을 함으로써 크게 성하였던 곳이다. 1일·6일 형식으로 서는 오일장이었으나 지금은 오일장의 기능을 완전히 잃어버리고 장이 서지 않는다. 1960년...
-
1489년 정여창이 자신의 은거지인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의 정경을 읊은 한시. 「악양(岳陽)」은 정여창(鄭汝昌)[1450~1504]의 문집인 『일두집(一蠹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정여창은 1489년(성종 20) 4월 14일부터 4월 28일까지 15일 동안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과 동행하여 지리산[1,915m]을 유람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김일손이 “...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흥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바른 품성을 가꾸는 인성 교육, 소질과 적성을 살리는 인재 교육, 지식 정보화 사회를 선도하는 교육, 교육 공동체가 함께 하는 학교 행정을 통하여 ‘긍정적으로 사고하며 꿈을 키우는 창의적인 민주시민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생각은 참되게, 마음은 착하게, 언행은 아름답게’이다. 1955년 6월 20일 악양중학교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악양초등학교는 바른 생활을 실천하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인, 특기를 기르는 창의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을 길러 궁극적으로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지·덕·체를 겸비한 긍지 높은 어린이로 육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악양초등학교는 1922년 7월 7일 악양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해서 1926년 4월 1일 6년제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 취간림에 있는 항일 의병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 개항기 지리산과 가야산, 그리고 지리산 주봉인 천왕봉을 사이에 두고 전라도와 경상도를 오가며 투쟁한 의병들이 수만 명에 달하였는데, 대부분 이름 없이 빛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만약 그 이름이나 활동상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면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조선인이 기록한 투쟁사는 아주 드물게 남아 있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미점리 개치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 누각. ‘악양’은 중국 후베이 성에 있는 한 현(縣)의 명칭으로, 악양루(岳陽樓), 동정호(洞庭湖), 군산(君山) 등 여러 이름난 유적이 있는 곳이다. 중국의 악양루는 북송 때 범중엄(范仲淹)[989~1052]의 「악양루기(岳陽樓記)」를 비롯해 당나라의 유명한 시인 두보(杜甫)[712~770]나 이백(李白)[701~762]의...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행정 구역. 악양면(岳陽面)의 명칭은 신라 경덕왕 16년(757) 때의 악양현(嶽陽縣)이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악양면에 있는 하천이므로 악양천이라 하였다. 악양면은 본디 신라 경덕왕 때 소다사현(小多沙縣)이었다. 우리말에서 어린아이를 ‘아가’ 또는 악아[岳兒]로 쓰기에 악양의 ‘악(岳)’은 ‘작다’라는 뜻이므로 소다사(小多沙)의 ‘소(小)’에 해당하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악양면 복지회관은 지역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 증진과 여가 선용, 친목 도모에 기여하고,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지역 주민 상호간의 연대감을 증진하고자 설립되었다. 1991년 4월 8일에 악양면 복지회관을 등록하였으며 2009년 2월 13일에 회의실을 체력 단련실로 리모델링하여 운영하고 있다. 악...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악양면 상부 소리」는 장례 절차에서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갈 때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노동요이다. 「상여 소리」의 내용은 주로 슬픔에 잠긴 상주를 위로하고 현세에서 이루지 못한 행복을 저승에서 이루라는 진원이다. 「악양면 상부 소리」는 떠나가는 사자(死者)의 입장에서 인생의 허무함과 산 사람들에 대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에 있는 의용 소방 단체 악양면 의용소방대는 화재 발생, 재난 발생 시 긴급 출동하여 지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소방서와의 거리 관계로 인한 화재, 재난의 초등 대처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조직되었다. 1962년 3월 5일 한국청년연맹의 인원을 의용 소방대로 편성하여 초대 대장에 이중엽이 취임하였다. 1998년 하동군 악양...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진주 정씨 집안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고문서. 준호구(準戶口)는 진주 정씨 가문 사람들의 필요에 의해 하동부에서 호적 사항을 증명, 발급해 준 문서이다. 호구 단자(戶口單子)는 진주 정씨 가문의 호주가 국가의 호적 작성을 위하여 호(戶)의 구성 내용을 작성하여 하동부에 제출한 것이다. 준호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호구 단자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악양...
-
경상남도 화동군 악양면 등촌리 거사봉에서 발원하여 정동리·신성리·봉대리를 거쳐 미점리에서 섬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악양면에 있는 하천이므로 악양천이라 하였다. 악양천은 횡천강과의 분수계를 이루는 거사봉[1,100m]·시루봉[993m]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른다. 악양교에 이르러 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꾼 뒤 정동리 부개교를 지나 노전천을 합하고, 신성리에서 선청천을, 봉대리에...
-
757년부터 1702년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설치된 지방 행정 구역. 신라 시대의 주·군·현은 각각의 영역에 속한 여러 촌락을 직접 지배하는 한편, 주·군과 현 사이에는 영속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다. 악양현(岳陽縣)은 신라 시대까지만 하더라도 하나의 독자적인 지방 행정상의 단위로서 중앙에서 파견된 하급의 지방관인 소수(少守)나 현령이 이를 다스렸다. 악양현에 관한 가장 오래...
-
1489년 김일손이 정여창과 함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의 동정호에 배를 띄워 노닐며 지은 한시. 「여정백욱여창 동유두류 귀범악양호(與鄭伯勖汝昌同遊頭流歸泛岳陽湖)」는 김일손(金馹孫)[1464~1498]의 문집 『탁영집(濯纓集)』 상(上)에 수록되어 있다. 김일손은 1489년(성종 20) 4월 14일부터 4월 28일까지 15일 동안 정여창(鄭汝昌)[1450~1504]과 동행하여 지리산...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진양 강씨 문중의 재실.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의 진양 강씨(晉陽姜氏)는 고려 현종 때 병부상서를 지낸 은열공(殷烈公) 강민첨(姜民瞻)[?~1021]의 11세손인 강원발(姜元發)을 파조로 하며, 21세손인 강원로(姜元老) 때 옥종면 북방에서 악양면 입석으로 이주 정착하였다.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 마을 회관에서 위쪽으로 약 20m쯤 올라...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진양 강씨 문중의 재실. 영수당(永修堂)은 진양 강씨(晋陽姜氏) 묘 아래에 자손들이 매년 제사 지낼 때 준비하며 머물기 위한 장소로 건립되었다. 증통정대부(贈通政大夫) 강채무(姜采茂)가 장수하던 곳으로, 도의(道義) 정신을 영원히 존속시킨다는 뜻에서 ‘영수(永修)’라 하였다. 매년 4월 13일 사림(士林)이 이곳에서 모임을 해 왔으며, 8월 추...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성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왕지환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왕지환(王旨煥)의 초명은 왕지흥(王旨興)이고, 자는 군은(君恩), 호는 신암(信庵)이다. 왕지환의 효행 사실을 고을 사람들이 관청에 올려 관청에서 기특하게 여겼으나, 시절이 바뀌어 표창을 못하였다. 이에 왕지환이 세상을 떠난 지 40년 만에 왕지환 효행비(王旨煥孝行碑)를 세워 귀감을 삼고자 하였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외둔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외둔마을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하룻날 0시에 악양면 평사리 외둔마을에 있는 당산바위에서 마을의 무병과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2011년 3월 악양면 평사리 외둔마을로 현장 조사를 나갔으나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 알고 있는 제보자는 만나볼 수 없었다. 그리고 현재 외둔마...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우수보(禹守甫)는 1879년(고종 16)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 하평에서 태어났다. 우수보(禹首甫)라고도 썼다. 1907년(순종 1)은 헤이그 밀사 사건과 그에 따른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일명 한일신협약]에 의한 한국의 통치권 약화, 한국군 강제 해산 등으로 각지에서 의병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우수보는 1907년 8월부터 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미점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지리산 쌍계사의 말사. 원각사(圓覺寺)는 지척에 섬진강이 유유히 흐르고 그 건너에는 전라남도 광양시의 백운산(白雲山)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인근에는 악양루(岳陽樓)가 있어 이곳이 예전에 풍류객들이 유희하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원각사는 1960년경 쌍계사 승려가 창건한 조그마한 암자로, 그동안 여러 승려들이 거쳐...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보호수.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포구나무, 달주나무, 매태나무, 평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한국이 원산지이며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과 같이 정자목으로 흔히 심는다. 팽나무의 꽃은 5월에 피며, 꽃받침조각은 4개이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7mm가량의 엷은 황색으로 10월에 익으며 단맛이 난다. 나무의 껍질은...
-
조선 후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열녀. 본관은 웅천(熊川). 조봉대부 동몽교관 유명한(劉明漢)의 아내이다. 유명한은 효자 유경신(劉景新)의 아들로 그 자신도 효자였을 뿐 아니라 아들 유홍기(劉弘基)도 효자로 이름이 자자했다. 유명한 처 웅천 주씨는 남편이 죽자 3년상을 치르는 동안 단 한 번도 머리를 빗지 않는 등 치장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3년상을 마치는 마지막 날 자결을 하였...
-
근대와 현대 하동 출신의 판소리 명창. 유성준(劉成俊)은 1874년(고종 11) 3월 27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중대리 905-1번지에서 아버지 유경학과 어머니 장덕옥 사이에 큰아들로 태어났다. 13세 때 아버지를 따라 전라남도 구례군으로 이주해 명창 송우룡(宋雨龍)의 문하에서 판소리를 배웠다. 또한 당대 판소리 이론의 대가인 김세종에게 지도를 받아 실전과 이론에 뛰어나...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들. 본관은 거창(居昌). 유경신(劉景新)은 자가 대유(大維), 호는 농와(農窩)이다. 유명한(劉命漢)은 유경신의 아들로 자가 유연(唯然)이며, 부인은 웅천 주씨(熊川 朱氏)인데 열행으로 또한 정려를 받았다. 유홍기(劉弘基)는 유명한의 아들로 자는 영경(永卿), 호는 신암(新庵)이다. 이들 유씨 3대는 영계(瀯溪) 유환(劉懽)의 후손들이다. 유경신은 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는 윤보국(尹輔國)의 효행을 기리는 비. 개항기 고종 때의 일이었다. 병으로 위독한 아버지를 구하고자 아들 윤보국이 단지(斷指)하여 피를 흘려 아버지 입에 넣자, 옆에서 지켜보던 윤보국의 제수로, 홀로 살던 임씨가 또한 손가락을 잘라 피를 시아버지 입에 넣어 윤보국의 아버지를 소생시켰다. 이들을 두고, 사람들은 한 가문에 효자와 효부가 같이 태어났...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내옥(乃玉), 호는 만회(晩悔). 문순공(文純公) 이황(李滉)의 9세손이다. 이갑순(李甲淳)은 1838년(헌종 4)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중대리에서 태어났다. 천성이 강직하며 효성을 타고났다고 전한다. 11세에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는데, 외출해서 특별히 맛난 것이 있으면 반드시 챙겨 와서 어머니께 드렸...
-
근대와 현대 하동 출신의 판소리 명창. 이선유(李善有)는 1872년(고종 9)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대대리에서 태어났다. 10세 때부터 소리 공부를 시작하여 15세 때 전라남도 구례의 송우룡(宋雨龍)[1835~1897]을 찾아가 3년간 공부를 했으며, 이후 혼자 공부하다 1902년 전라북도 순창의 김세종(金世宗)에게 가르침을 받아 30세를 바라본 나이에 판소리에 일가를 이...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이성로(李成魯)는 1878년(고종 15)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흥리 상신흥에서 태어났다. 1907년 8월 박매지(朴每之), 임봉구(任鳳九) 등과 함께 의병대를 조직한 후 박매지 의병진의 좌군장으로서 화개장터 전투, 하동 수비대 습격, 악양 신금벌 전투 등에서 일본군과 맞서 싸웠다. 1908년 9월 16일 하동군 적량면 두전동에서 일진회 회원 김...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임봉구(任鳳九)의 본관은 풍천(豊川)이다. 1880년(고종 17)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상신마을에서 태어났다. 임봉구(林奉九)로도 불렸다. 1907년(순종 1) 8월 박매지(朴每之)와 함께 의병대를 조직한 후, 박매지 의병진의 부대장으로서 지리산을 중심으로 하동, 함양, 구례 등지에서 항일 의병 활동을 벌였다. 1908년 4월 김의홍(金義...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뒤 논에 입석[선돌]이 있어 비롯된 이름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화개면 입석동(立石洞)과 악양면 하덕동(下德洞)이 통합되어 악양면 입석리가 되었다. 서쪽으로 지리산 삼신봉에서 뻗어 나온 신선봉 줄기를 등지고, 악양천이 마을 동쪽을 끼고 서북에서 동남 방향으로 흘러간다. 산기슭에 입석이, 입석 아래쪽 농경지 가까이에 하덕마을...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 입석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입석리 고인돌은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 입석마을에 있는 면 보호수의 동편 과수원에 위치한다. 고인돌 3기가 남아 있으며, 모양으로 보아 기반식과 개석식[뚜껑식] 고인돌이 섞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덮개돌[上石]의 형태는 윗면이 편평한 마름모형과 장방형이며, 재질은 화강암이다. 크기는 대략 길이 243㎝, 너비 19...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 입석마을에 있는 선사 시대 선돌.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는 마을 대부분이 구릉성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을 북서쪽에는 신선봉이 솟아 있고 남동쪽으로 악양천이 흘러가고 있다. 하동군 악양면 선돌리의 자연 마을로는 선돌마을, 고랑몰, 창촌마을 등이 있다. 하동군 악양면의 선돌리라는 지명은 선돌[입석]이 있어서 붙여졌다고 한다. 입석리 선돌이 위치한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 입석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는 입석마을과 하덕마을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으로, 입석마을 뒤 논바닥에 있는 선돌[立石]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선돌은 높이 약 7m, 둘레 10m의 거석으로, 매년 동신제를 지내고 있다.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 입석마을은 악양면 소재지로부터 지방도 1003호선을 따라 서남쪽으로 약 1....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에 있는 수령 약 300년의 보호수. 푸조나무는 곰병나무·팽목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만, 일본, 중국의 따뜻한 지역에 서식하는 난대성 수종이다. 느릅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산기슭이나 계곡 주변에 주로 자란다. 푸조나무의 줄기는 곧지만 수관은 느티나무처럼 우산 모양으로 넓게 퍼진다. 나무의 껍질은 엷은 회색이며, 새 가지에 털이 나 있다. 잎...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 입석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입석마을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룻날 입석마을에 있는 당산할배[입석바위]와 당산할매[당산나무]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하동군 악양면 입석리로 현장 조사를 나갔으나 입석마을 당산제의 연원에 대하여 기억하는 제보자는 만나볼 수 없어서 구체적으로 확...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동리는 정동마을에서 유래되었다. 취간정 동쪽에 자리 잡은 마을이므로 정동(亭東)이라 하였다. 1914년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정동동, 부계동(鳧溪洞)이 통합되어 악양면 정동리가 되었다. 악양분지 가운데로 악양천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악양천 변에 정동과 부계가 터를 잡았다. 정동리는 악양면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다. 2011년 3월 31...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 정동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 유물 산포지.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는 정동마을, 깃땀마을, 노가땀마을 등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으로, 악양천이 흐르는 평지에 자리하고 있다. 정동리 유물 산포지가 위치한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의 정동마을은 마을 동쪽에 큰 정자가 있었다 하여 붙은 지명이다. 정동리 유물 산포지는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 마을 회관의 북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서리의 명칭은 정서마을에서 유래되었다. 취간정 서쪽에 있으므로 정서리(亭西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정서동, 상신동(上新洞), 상덕동(上德洞)이 통합되어 악양면 정서리가 되었다. 서쪽으로 지리산 삼신봉에서 갈라져 나온 성제봉[일명 형제봉]과 신선봉 줄기를 등지고 있다. 악양분지 가운데로 악양천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 정서에 있는 밀양 손씨 동성 마을. 악양면은 서기 200년경 가야 시대에 부족 국가 소다사현(小多沙縣)의 중심지로서 다사촌이라 하였고, 1633년(인조 11) 기록에 따르면 상촌·성지촌(城址村)·성후촌(城後村)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북쪽으로 화개면, 동서는 적량면과 하동읍, 서남쪽은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과 이웃한다. 악양은 섬진강과 함께 넓은 들을...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조 여래 입상. 정서리 석조여래입상은 40여 년 전 현재의 강선암(降仙庵)으로 옮겨온 것으로, 불신과 광배 및 대좌가 하나의 돌에 조각되었다. 양손이 없어졌지만 거의 완전한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본래의 수인(手印)은 시무외여원인(施無畏與願印)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1972년 2월 12일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45호로 지정되...
-
하동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임을 공개 증언한 인물.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정신대’는 원래 ‘국가를 위해 몸을 바친 군대’라는 의미로서 남녀 모두를 의미한다.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전쟁 수행을 위해 여성들을 근로정신대로 동원하여 군수공장 등에서 일을 하게 했고, 그 중 일부가 군위안부로 전선에 끌려갔다. 한국정신대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10만~20만 명이 위안...
-
개항기 하동 출신의 의병. 조기섭(趙奇攝)은 1881년(고종 18)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흥리 하신흥에서 태어났다. 1907년(순종 1)은 헤이그 밀사 사건과 그에 따른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일명 한일신협약]에 의한 한국의 통치권 약화, 한국군 강제 해산 등으로 각지에서 의병 운동이 일어났다. 조기섭은 1907년 8월부터 하동 지역을 중심으로 박매지(朴每之),...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교회. 주사랑교회는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지역의 복음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10월 21일 초대 교역자인 고화석 목사가 개척하여 설립 되었다. 개인 잠실을 개조하여 예배당으로 사용하다가 1992년 조립식 예배당을 건축하였으며 1993년 8월 18일 제2대 교역자인 정광진 전도사가 부임하였고 치리 목사로 진주 갈릴리교회 김영출 목사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대리라는 명칭은 상중대·하중대 마을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상중대동(上中大洞)과 하중대동(下中大洞)이 통합되어 악양면 중대리가 되었다. 악양분지를 이루는 동쪽 지맥의 칠성봉 줄기가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분지 가운데로 악양천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그 사이로 비옥한 농경지가 펼쳐져 있다. 마을은 칠성봉 서쪽...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대하소설 『토지』의 주 무대가 되었던 전통 가옥. 박경리의 『토지』는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를 주 무대로 펼쳐지는 대하소설이다. 하동군은 소설의 주인공인 최치수 및 최서희 일가를 중심으로 한 최참판댁과 그 주변 인물들의 생활공간을, 508.48㎡의 건축 면적에 한식기와를 얹은 목조 건물 10동을 건립하여 일반인에게 공개하였다. 소설 속 무대를 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1950년 2월 10일 6학급으로 개교하여 1972년 9월 14일 콘크리트 슬라브 교사로 개축하였다. 1983년에 병설 유치원을 인가받았다. 1996년 3월 1일 축지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5년에는 13학급에 학생 수 768명, 교원 수 15명까지 달했으나 이후 농촌 인구의 도시 전출로 인하여 학생 수가 줄어들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축지리라는 명칭은 축지마을에서 유래하였다. 조선 시대 진주목 악양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둔위(屯衛) 또는 축촌(丑村)이라 하였고, 1702년(숙종 28) 하동군 관할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축지동(丑只洞)과 축동동(丑東洞)이 통합되어 악양면 축지리가 되었다. 마을 뒤로 구자산[767m]이 솟아 있고, 앞으로 넓은 악양들이 펼...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대축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는 대축마을과 소축마을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이다.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대축마을은 뒷산인 아미산에 바위를 뚫고 자란 소나무인 하동 축지리 문암송(河東丑只里文岩松)[천연기념물 제491호]으로 유명하며, 대봉감의 재배지로도 잘 알려져 있다.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는 악양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직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에 있는 인공 숲. 취간림은 조선 시대 이전 하동의 중심지였던 악양면 정서리 악양천 변에 수구막이를 위하여 조성한 숲이다. 1931년 한유한(韓惟漢)의 뜻을 계승하고 추모하기 위하여 이곳에 모한정을 지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한유한은 고려 인종 때 벼슬살이를 하다가 이자겸(李資謙)의 횡포가 심하여 장차 변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가족들과 함께 악양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흥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 칠성사는 지리산칠성봉(七星峰) 아래 좌우로 산이 에워싸고 있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사찰 앞으로는 섬진강이 흐르고 전라남도 광양의 백운산이 마주하고 있으며, 소설 『토지』의 무대인 최참판댁에서 보면 칠성사가 정면으로 보인다. 칠성사는 2004년 승려 단제(斷際)가 복원 중창한 사찰이다...
-
1994년 소설가 박경리가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를 배경으로 하여 쓴 장편 대하소설. 『토지(土地)』는 박경리(朴景利)[1926. 10. 28~2008. 5. 5]의 장편 대하소설로,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를 무대로 하여 5대째 대지주로 군림하고 있는 최참판 댁과 그 소작인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1969년부터 『현대문학』에 연재를 시작하여 1972년 9월까지 제1...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서 매년 10월 둘째 주 주말에 개최되는 문학제.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는 우리나라 제1의 문학 체험 마을이다. 문학 기행은 물론 청소년 문학 교실, 한옥 체험 등 사계절 내내 다양한 민속 문화 체험으로 국민 정서 함양 및 민속 생태 원형이 살아 숨 쉬는 대한민국 최고의 문학 테마 관광지로 손꼽히고 있다.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는 박경리(朴景利)[1926...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동리에 있는 누각. 팔경(八景)이란 ‘악양 일대의 여덟 가지 풍광’을 일컫는 말로, 곧 ‘소상경관(瀟湘景觀)’ 또는 ‘소상팔경’이라 부르는데, ‘평사낙안(平沙落雁)·원포귀범(遠浦歸帆)·산시청람(山市晴嵐)·연사만종(煙寺晩鐘)·어촌석조(漁村夕照)·동정추월(洞庭秋月)·소상야월(瀟湘夜月)·강천모설(江天暮雪)’ 등을 가리킨다. 팔경루(八景樓)는 악양 솔봉(率峰) 기...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국 샤오샹팔경(瀟湘八景)의 하나인 평사낙안(平沙落雁)에 비유하여 붙인 이름이다. 평사리는 섬진강 포구로서 수운 및 육로 교통의 요충지이며, 마을 앞으로 넓은 악양들을 끼고 있어 일찍이 마을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둔촌동(屯村洞), 평사동(平沙洞), 검두동(儉頭洞) 각 일부가 통합되어 악양면 평사리가 되...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삼국 시대 고분군.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는 섬진강 변에 자리한 마을로, 경치가 좋아 소상팔경의 하나인 평사낙안(平沙落雁)과 같다 하여 평사리라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자연 마을로는 평사마을, 궁서곡마을, 못안마을 등이 있다.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의 평사마을은 넓은 평지에 자리한 마을이란 의미에서 이름 붙여졌다.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유적...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문학관. 평사리 문학관은 문학관이 위치한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를 주 무대로 쓰여 진 대하소설 『토지』의 작가 박경리(朴景利)를 비롯해 이병주(李炳注), 김동리(金東里) 등 한국 문학사의 중요 문인들을 기념하고 평사리 지역 관련 작품 등을 소장·수집 정리하고자 2004년 10월 9일 개관하였다. 평사리 문학관에서는 지리산권 작품 소개와...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상평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평사리 상평 당산제는 정월 초하루에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상평마을에 있는 들돌[할배당산]과 위민정(慰民亭)의 푸조나무[할매당산]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상평마을은 박경리(朴景利)[1926~2008]의 대하소설인 『토지』의 배경...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평야.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들이므로 평사리들이라 하였다. 본디 평사리 일대는 진주목 화개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702년(숙종 28) 하동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화개면 둔촌과 악양면 신암·삽암·평사역촌을 병합하여 악양면 평사리가 되었다. 평사리는 중국 웨양[岳陽] 샤오샹 팔경[瀟相八景]의 하나인 평사낙안(平沙...
-
고려 시대부터 1895년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설치된 교통 통신 기관. 역참(驛站)은 육로의 운송을 담당하는 교통 기관으로서 중앙과 지방 관서 간의 공문서 전달, 어사와 관리의 왕래 및 숙박, 관물(官物)의 수송을 돕기 위한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평사역(平沙驛)은 경상남도 서부 지역과 수도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고려사(高麗史)』 병지에는 산남도(山南道) 소...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신라 시대 석성.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이 위치하는 하동군 악양면의 옛 지명은 소다사현(小多沙縣)으로 757년(경덕왕 16)에 악양현(岳陽縣)으로 개명되었다. 하동군 악양면은 섬진강의 물줄기에서 가장 번성한 곳 가운데 하나로서 일찍이 한 읍을 이루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하동 고소성의 위치는 호남 내륙과 남해 바다를 연결하는 섬진강 물길을 효...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흥리 금봉사에 있는 동조 보살 좌상. 하동 금봉사 소장 동조보살좌상은 여러 차례 개금(蓋金)이 된 것으로 보이는데, 오래전에 불자로부터 시주받아 금봉사에서 소장해 오고 있다고 한다. 중국 명나라에서 제작된 것인지, 고려 후기 때 제작된 보살상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2009년 12월 3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92호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동매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전통 가옥. 하동에서 가장 명성 있는 고장을 들자면 악양을 꼽을 수 있는데, 나당 연합군의 당나라 장군 소정방(蘇定方)[592~667]이 중국의 악양과 그 모습이 같다 하여 이름 붙였다고 한다. 따라서 중국의 소상팔경(瀟湘八景)과 같이 악양팔경이 존재한다. 하동군 악양은 전체 면의 구성이 지리산[1,915m] 자락에서 내려온 구자봉...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금융 협동조합. 새마을금고는 1963년 재건 국민운동의 향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면서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태동되었으나 체계적인 조직을 못한 상태로 지속되다가 1973년 3월 마을금고연합회가 창립되어 법인화되면서 1973년 11월 2일에 개설되었다. 하동새마을금고는 지역의 구성원들이 조직한 제2 금융 기관으로 구성원들이 저축을 통해 조성한...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는 수령 약 600년의 소나무. 하동 축지리 문암송은 높이 12.6m, 가슴높이 둘레 3.2m, 가지는 남북 12.5m, 동서 방향 16.8m에 이른다. 큰 바위를 둘로 쪼개면서 뿌리가 박혀 있어 마치 남성을 상징하는 듯 기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축지리 소나무’를 ‘문암송(文岩松)’으로 부르는 이유는 옛날에는 이 나무 아래에서 문인들이 모여 자...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매계리에 있는 청소년 문화 시설. 하동학생야영수련원은 청소년들이 수련 활동을 하고 가족들이 휴식하며 다양한 문화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폐교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문화 시설이다. 폐교인 매계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하여 청소년들이 섬진강과 지리산을 배경으로 수련 활동을 하고, 원어민 교사를 통한 잉글리시 존(English Zone)을 형성하여 영어 체험 활동 공간으...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상류층 전통 가옥. 악양면 정서리 화사별서는 평양 조씨(平壤趙氏)의 세도가 주거로서 흔히 ‘조부자집’, '조씨 고가'로 알려져 있는 하동의 대표적인 상류 주택이다. 조선 태조, 정종, 태종 3대에 걸쳐 영의정을 지낸 조준(趙浚)[1346~1405]의 직계손인 화사(花史) 조재희(趙載禧)의 별서(別墅)이다. 본가는 경성부 당주동 37번...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한산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佛畵). 한산사는 중국의 한산사에서 절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악양에는 한산사 외에도 중국의 지명을 차용한 것이 많다. 악양이란 이름 자체와 고소성, 동정호 등이 모두 그러하다. 이는 이 지역의 산수가 아름다워 동경의 대상이 되었던 곳이라 옛 사람들이 중국의 지명을 붙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산사는 남으로 바라다보면 굽...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사찰. 『악양면지』에 따르면 한산사는 신라 시대에 세워진 절로 추정되지만, 이를 증명할 자료가 없다. 절터만 남아 있던 것을 1975년 금호가 이곳에 절을 짓고 살기 시작하였다. 한산사를 직접적으로 기록한 자료는 찾을 수 없고, 고소성에 관한 기록 가운데 『경상도읍지』 하동부 고적조에 “악양은 옛 현명이나 지금은 방명이다. 부의 서쪽 30리에...
-
조선 후기 과재 장석신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의 한산사를 유람하며 읊은 한시. 「한산사(寒山寺)」는 조선 후기 유학자인 장석신(張錫藎)[1841~1923]의 문집 『과재집(果齋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장석신은 지리산[1,915m] 천왕봉 일대와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그 각각의 장소마다 서문을 붙인 한시를 지어 유람록을 대신하였다. 천왕봉 일대의 유람을 기록하여 「두류록(...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매년 5월 개최되는 철쭉제. 하동군 악양면의 형제봉[1,115m]은 지리산[1,915m] 남부 능선의 끝자락이 섬진강에 잠기기 전 우뚝 솟은 산봉우리로, 정상에 서면 천왕봉을 비롯해 노고단, 반야봉, 촛대봉, 제석봉 등 지리산 종주 등산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전국의 산악인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특히 형제봉 철쭉은 하동군에서 선정한 하동팔경 중 하나...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서 매년 10월 개최되는 축제. 황금 들판 축제는 국제연합[UN]이 정한 ‘2004년 세계 쌀의 해’를 기념하여 쌀로 대표되는 농업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도시와 농촌 간 직거래를 통한 도농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하동군이 2004년 10월부터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행사장인 약 2.6㎢의 드넓은 평사리들은 박경리(朴景利)[1926. 10. 28~2...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진양 정씨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진양 정씨(晉陽鄭氏)는 정성기(鄭聖基)의 딸로 황창주(黃昌周)와 결혼하였다. 시부모를 정성껏 모셨는데, 시부모가 일찍 세상을 뜬 뒤 노망 든 시할머니도 극진히 모셨다. 돌아가신 뒤 상례와 제례를 예법에 맞게 하였다. 이 같은 진양 정씨의 지극한 효행을 기리기 위해 1928년에 효행비를 세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