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내횡보면 원동(院洞)·상남동(上南洞)·중남동(中南洞)·하남동(下南洞)·개인동(開印洞) 각 일부, 적량면 월곡동(月谷洞)이 통합되어 횡천면 남산리가 되었다. 칠성봉에서 갈려 나온 산줄기가 동남쪽으로 뻗어 가다가 횡천면으로 접어들면서 여러 갈래로 나뉘고, 또 다른 지맥이 말티재 부근에서 남쪽으로 길게 뻗어 띠 모양...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원곡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군. 남산리 고인돌군은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원곡마을을 지나가는 횡천~하동 간 국도와 남산천과 횡천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주변에 위치한다. 1988년 부산대학교 박물관의 지표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모두 12기의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으며, 100~200m 범위에서 동서 열상으로 배치되었다. 고인돌 가운데 고임돌이 드...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원곡마을에 있는 삼국 시대 토기 산포지.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는 원곡마을, 상남마을, 하남마을 등으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으로, 원곡마을 뒷산 서북쪽에는 비탈을 따라 편축된 장방형의 원동산성(院洞山城)이 위치하고 있다.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원곡마을 앞으로 명천천이 흐르고 있는데, 하천을 따라 형성된 마을 위치에 따라 상남마을, 중남마을, 하남마을로 부...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에 있는 수령 약 250년의 보호수. 팽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포구나무, 달주나무, 매태나무, 평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한국이 원산지이며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과 같이 정자목으로 흔히 심는다. 팽나무의 꽃은 5월에 피며, 꽃받침조각은 4개이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7mm가량의 엷은 황색으로 10월에 익으며 단맛이 난다. 나무의 껍질은...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하남에 있는 창녕 조씨 동성 마을. 남산리 맨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하남이라 하였다. 남산리는 돌칼, 돌화살 등 출토된 유물로 보아 석기 시대에 이미 사람이 살았으리라고 여겨진다. 원곡·상남·하남을 통합하여 남산리라 했는데, 마을 앞에 큰 바위처럼 솟은 산자락을 남바구라 부르다가 남산으로 고쳐 부른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1790년(정조 14) 창녕...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서 농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농바위 이야기」는 하동군 횡천면 횡천역 근처에 있는 농바위에 조선 시대 우국장군이 죽으면서 후일 훌륭한 장수가 나타나 바위를 열어 구국 제민할 것이라며 무기를 감추어 두었다는 암석유래담이다. 이를 「구국무기(救國武器)를 비장한 농바위」라고도 한다. 2003년 횡천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횡천면지』에 실려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전대리와 옥종면 회신리를 연결하는 고개. 근대 교통이 발달하기 이전에 하동에서 진주나 산청 방면으로 가려면 돌고지재를 지나야 했다. 횡천역과 양보역이 있는 들판을 통해 진주 방면으로 갈 수도 있지만, 큰 마을이 있는 곳에서 장사를 하며 이동해야 하는 부보상으로서는 길은 빠르지만 진주까지 큰 마을이 없는 평탄한 길보다는 돌고지재를 지나 옥종면을 거쳐 진주나 산...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지리산 쌍계사의 말사. 현재 주지인 효문(曉門)은 무진암에 오기 이전에 통영 포교당 법륜사의 주지로 있었는데, 기도 중 계시를 받았다. 하동의 지리산 쌍계사에 다니러 가다가 현재 무진암의 자리를 보고 1997년에 부지를 매입하여 불사를 일으켰다. 1998년 목조 기와지붕 66.12㎡[20평]의 법당을 건립하고,...
-
개항기 하동의 열녀. 본관은 진양(晉陽). 겸재(謙齋) 하홍도(河弘度)[1593~1666]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하진문(河晉文)이다. 남편은 박이한(朴而翰)으로, 본관은 함양(咸陽)이다. 박이한 처 진양 하씨는 시집간 지 한 달 만에 남편 박이한이 독사에 물려 죽자, 독사가 나타난 곳으로 가서 슬피 울며 이틀을 기다려 독사를 잡아 물어서 씹어 죽이고는 시신을 입관한 뒤에 목을 매어...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는 개항기 진양 하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하진문(河晉文)의 딸 진양 하씨(晉陽河氏)는 함양 박씨(咸陽朴氏) 박이한(朴而翰)에게 시집갔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혼인 초에 남편이 독사에 물려 세상을 떠났는데, 진양 하씨는 독사가 나타난 곳으로 가서 슬피 울며 이틀을 기다려 독사를 잡아 물어서 씹어 죽이곤 자결을 하였다. 고종 연간에 나라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조공근(曺公根) 이하 4대를 모시기 위해 세운 재실. 하동군 횡천면의 창녕 조씨(昌寧曺氏)는 대부분 조선 초기에 평양감사와 이조판서를 지낸 충익공 조문택의 후예이다. 충익공의 후예인 조숙(曺淑)은 홍문관응교를 지낸 뒤 회양부사 등 다섯 고을을 거치면서 치적이 매우 높았으며, 조숙의 작은아들 조원우(曺元佑)가 하동의 입향조로서 400...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에서 쌍계사 구유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쌍계사 구유는 천년된 고리비 사리나무」는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 숙재마을에 위치한 절에 도삼이라는 스님이 커다란 고리비사리나무를 키우고 있었는데 빈대가 들끓어서 절은 망하였고, 폐허가 된 절터의 잿길에 쓰러져 있던 고리비사리나무의 나무둥치는 쌍계사의 나무 구유가 되었다는 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애치리라는 명칭은 애치마을에서 연유하였다. ‘숲재’ 또는 ‘쑥재’를 한자로 ‘애치(艾峙)’라고 표기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내횡보면의 온동동(溫東洞)·온서동(溫西洞)·수월동(水月洞)·전두동(田頭洞)·애치동 각 일부가 통합되어 횡천면 애치리가 되었다. 지리산 삼신봉에서 비롯된 산줄기가 말티재·돌고지재에서 남쪽으로...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여의리라는 명칭은 여의마을에서 유래하였다. 여의마을은 ‘여당이’라고도 불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내횡보면의 신여동(新如洞)·광암동(廣岩洞)·구여동(舊如洞)·수월동(水月洞)·토덕동(土德洞) 각 일부가 통합되어 횡천면 여의리가 되었다. 지리산 삼신봉에서 비롯된 산줄기가 말티재·돌고지재에서 남쪽으로 길게 뻗어 띠 모양의 분지를 형성하...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에 있는 고려 후기 석성. 원동산성(院洞山城)은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을 대비하기 위하여 쌓은 것으로 전해진다. 고려 말 대규모의 왜구가 침입하여 성이 함락되고 성내의 군창이 불탔으며, 성이 함락될 때 병사 수천 명이 혈전하다가 전사하였다 하여 혈주촌(血注村)이 생겨났다. 원동산성을 남산산성(南山山城)이라고도 한다. 원동산성은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 원동마...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들의 생김새가 반달 모양이므로 달의들·다랫들·달들이라 하였고 한자로는 월평(月坪)으로 표기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내횡보면의 답곡동(畓谷洞)·당북동(堂北洞)·월평동·월라동(月羅洞), 청암면의 시평동(矢坪洞)·신기동(新基洞)이 통합되어 횡천면 월평리가 되었다. 칠성봉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가 동남쪽으로 이어지다가 횡천면으로...
-
개항기 하동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익능(益能). 매헌공(梅軒公) 이인형(李仁亨)의 후손이다. 임진왜란의 원종일등공신 이장(李檣)의 9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증좌승지(贈左承旨) 이찬(李欑)이고, 할아버지는 증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贈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使) 이정립(李廷立)이며, 아버지는 수숭정대부 용양위상호군 동지중추부사(壽崇政大夫龍驤衛上護軍兼同知中樞府使) 효자...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의 장봉필이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 장봉필 소장 고문서는 토지 매매에 관한 명문(明文) 1점, 노비에 관한 명문 1점이다. 1904년(고종 41) 정월(正月)에 심능환(沈能煥)을 발급자로 하는 토지 매매 명문 1점과 1813년(순조 13) 정월(正月) 18일 노비의 주인 박종철(朴宗哲)을 발급자로 하는 「전판우장식전명문(前判友張湜前明文)」 1점이 있다. 명문이...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대리의 명칭은 전대마을에서 유래하였다. 마을의 지형이 전대(錢帶)처럼 생겼다하여 지어진 지명이라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내횡보면 죽전동(竹田洞)·전두동(田頭洞)·애치동(艾峙洞) 각 일부, 청암면 전대동(田垈洞)이 통합되어 횡천면 전대리가 되었다. 지리산 삼신봉에서 뻗어 나온 산줄기가 말티재와 돌고지재에서 남쪽으로 길게 뻗어...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전대리에 있는 삼국 시대 유물 산포지. 하동군 횡천면 전대리는 죽전마을, 전대마을, 윗안양마을, 아래안양마을 등 4개 마을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이다. 하동군 횡천면 전대리의 전대마을은 전대꼴, 전두리라고 불렸는데, 마을 형세가 전대 주머니와 닮았다고 하는 데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하동군 횡천면 전대리는 횡천면 소재지에서 지방도 59호선을...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의 정흥식이 소장한 조선 시대 고문서. 정흥식 소장 고문서는 세계(世系) 문서 1점이다. 세계 문서의 형식은 정해진 일정한 양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작성자의 편의에 따라 휴대하거나 내용을 파악하기 쉽게 간단하게 요약해서 기록하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 문서의 외형적 형태는 몇 번을 접어서 첩(帖)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과 첩의 형태가 아닌 일반적인 문서...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소속 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는 마르틴 루터가 주창한 개신교 종교 개혁 사상의 핵심인 오직 성경, 오직 믿음, 오직 은혜의 개혁 신앙을 근본으로 하여 십자가 중심, 성경 중심의 신앙을 철저히 고수하고 있는 기독교 교파이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의 명칭 중 ‘제칠일안식일’은 기독교가 준수해야 할 안식일이 성경에 기록되어...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지리산청학농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제고하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를 확대하고 유통을 원활히 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농사 기술, 농사 자금, 농업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1966년 12월 20일 7개 이동농업협동조합(里洞農業協同組合)을 합병하여 횡...
-
일제 강점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탁영래(卓泳來)[1922~ ]는 경상남도 통영시 태형동 284번지에서 태어났다. 일본 와세다대학 재학 중무력항쟁을 기획하다 검거되어 옥고를 치렀다. 부인은 신상임(辛祥任)이며,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다. 탁영래는 1940년 3월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유학하던 중 학생 김인준(金寅準)과 구국 운동에 뜻을 다지고 동지들을 모았다. 7월경...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학리의 명칭은 학마을에서 유래되었다. 마을 앞 소나무 숲에 백로가 많이 서식하여 붙인 이름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내횡보면 인동(仁洞)·마치동(馬峙洞)·학동(鶴洞)·개인동(開印洞)·하남동(下南洞), 적량면 상속산동(上束山洞) 각 일부가 통합되어 횡천면 학리가 되었다. 칠성봉에서 갈라져 나온 산줄기가 동남쪽으로 뻗어 오다가 횡천면...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학리에 있는 수령 400년의 보호수. 팽나무는 느릅나뭇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포구나무, 달주나무, 매태나무, 평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한국이 원산지이며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과 같이 정자목으로 흔히 심는다. 팽나무의 꽃은 5월에 피며, 꽃받침조각은 4개이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7mm가량의 엷은 황색으로 10월에 익으며 단맛이 난다. 나무의 껍질은 회색...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고신] 소속 교회. 횡천교회는 기독교 복음을 통하여 허물과 죄로 죽었던 영혼을 다시 살리며 잃어버린 하나님의 형상을 다시 회복하여 삶의 현장 속에서 하나님의 사랑과 이웃 사랑을 실천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횡천교회는 1906년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광암촌 한 사저주택에서 자생적 예수교 집회에 26명이...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는 재래시장. 경상남도 하동 지방 상권의 중심에 있었던 횡천시장은 1770년대 당시에는 하동군 횡천면 여의리에 있었으며, 매달 3일을 기점으로 하여 5일 간격으로 장이 섰다. 광복 이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 735-1번지로 옮겨와 매달 5일을 기점으로 한 오일장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다가, 1993년부터 현재의 시장에서 상거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바른 품성을 가꾸는 덕성 교육, 소질과 적성을 살리는 인재 교육, 지식 기반 사회를 선도하는 미래 교육을 통해 미래 사회를 주도할 능력 있고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였다. 1952년 5월 3일 횡천고등공민학교로 개교해서 1953년 3월 15일 정식 인가를 받았다. 1954년 4월 22일 신축 교사를 준...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인, 바른 생활을 실천하는 도덕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특기를 기르는 창조인을 목표로 하여 미래 사회를 주도할 능력 있고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28년 10월 1일 4년제 횡천공립보통학교로 개교했으며 1~6대 교장은 일본인이었다. 1946년 5월 1일 횡천공립국민학교로 개...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횡천리는 횡천마을에서 유래하였다. 횡천(橫川)은 횡계(橫溪)라고도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내횡보면 신대동(新垈洞), 횡계리(橫溪里), 장기동(場基洞), 서원동(書院洞), 고읍동(古邑洞), 토덕동(土德洞) 일부가 통합되어 횡천면 횡천리가 되었다. 칠성봉에서 갈라져 나온 산줄기가 동남쪽으로 뻗어 오다가 횡천면으로 접어들면서 아래로...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 횡보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인돌. 횡천리 고인돌은 횡천삼거리를 지나면 나오는 횡천초등학교에서 북동편으로 농로를 따라 약 5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고인돌은 1기가 남아 있으며, 덮개돌[上石]과 고임돌[支石]의 형태로 보아 기반식 고인돌로 추정된다. 덮개돌의 재질은 화강암이고, 형태는 상면이 편평한 장방형이다. 장축 방향은 동서향이며, 크기...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 횡보마을에 있는 청동기 시대에서 삼국 시대에 이르는 유물 산포지.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는 횡보마을, 횡계마을, 중앙마을 등으로 이루어진 행정 구역으로 면 소재지에 해당하며, 횡천강 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원래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 횡보마을은 ‘내기[안터]’라 불렸던 마을로, 주민 건의로 인하여 지명을 횡보마을로 개명하였다.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의...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행정 구역. 횡촌 또는 횡계촌이라는 옛 지명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삼한 시대에 횡촌, 삼국 시대에 횡계촌 지역으로 1704년(숙종 30) 내횡보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내횡보면의 원동(院洞)·학동(鶴洞)·상남동(上南洞)·중남산(中南山)·서원동(書院洞)·고읍동(古邑洞)·개인동(開印洞)·인동(仁洞)·양기동(陽基洞)·마치동(馬峙洞)·상덕동(上德...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횡천면 복지회관은 지역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 증진과 여가 선용, 친목 도모에 기여하고,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지역 주민 상호간의 연대감을 증진하고자 설립되었다. 1988년에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 735-6번지에 횡천면 복지회관이 준공되어 목욕탕, 체육관, 피아노 교습소로 임대하여 사...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횡천면 상부 소리」는 횡천면의 상여꾼들이 상여를 운반하며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이를 횡천면에서는 「만가」라고 한다. 「횡천면 상부 소리」인 「만가」는 상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운반하는 과정까지의 노래가 전승되어 온다. 상여꾼들의 노동 진행 상황이 메기는 소리에 반영되어 있어 노동요적 성격도 지니고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횡천리에 있는 철도역. 횡천역은 양보역과 하동역 사이에 있는 3급 보통역으로 1967년 10월 5일 역사를 착공했으며 1968년 2월 7일 순천~진주 간 경전선의 개통식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 1968년 2월 29일 현재의 역사를 준공하였다. 횡천역으로 이름을 정한 것은 하동군 횡천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물의 유동량이 감소함에 따라 1976년 7...
-
고려 시대부터 1894년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 설치된 교통 통신 기관. 역참(驛站)은 육로의 운송을 담당하는 교통 기관으로 중앙과 지방 관서 간의 공문서 전달, 어사와 관리의 왕래 및 숙박, 관물(官物)의 수송을 돕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횡포역(橫浦驛)은 경상남도 서부와 중앙을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고려사(高麗史)』 병지에는 산남도(山南道) 소속 역으로 되어 있으며...
-
고려 시대부터 1894년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남산리에 설치된 숙박 시설. 원(院)은 고려와 조선 시대, 지방에 파견되는 관리나 상인 등 여행자들에게 숙식의 편의를 위해 교통의 요지에 설치한 숙박 시설이다. 횡포원(橫浦院)은 횡포역(橫浦驛) 근처에 이용자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횡포원이 “횡포역 동쪽 1리 지점에 있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