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었거나 현재 운영되고 있는 가마. 경상남도 하동 지역은 예로부터 우수한 고령토의 주산지로, 이 우수한 고령토가 하동 도자기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하동 지역의 고령토는 하동군에서 산청군에 이르는 맥을 이루며 매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맥을 따라 가마가 즐비했었는데, 현존하는 것은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의 가마들이 있고, 나머지는 터만 존재한다. 하동군 북천면 서황...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다원(茶苑). 고려다원은 이산다농(異山茶農) 하상연이 1979년 지리산의 화개동에 설립한 다원이다. 하상연은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고향인 하동에서 밤나무 조림과 은어 양식 등을 통하여 자주적인 농촌 경제 발전을 위하여 힘쓴 인물이며 2000년에 세상을 떠났다. 고려다원은 1979년 하상연이 전통 차의 재현을 위하여 설립하였다. 좋은 차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다원. 명원다원은 명원문화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다원이다. 명원문화재단은 쌍용그룹 창업주인 고 김성곤 회장의 부인인 명원 김미희가 1995년 설립한 재단으로 한국 차 문화의 정립·보급과 함께 역사적 재해석과 발굴에 주력하여 한국의 차 문화가 세계 차 문화의 중심국이 될 수 있도록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명원문화재단은 차 문화 보급을 위...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 있는 가마. 새미골요는 도예가 장금정이 운영하는 도요이다. 장금정은 30대 초반부터 일본의 국보로 정해진 조선 막사발을 재현하기 위해, 고대 문헌을 연구하고 분석하며 옛 사발의 파편을 모으고 토질과 유약을 연구하여 이를 성공시켰다. 장금정이 조선 막사발의 재현을 위해 조성한 것이 새미골요이다. 1974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 새미골에 도예가 장금정이...
-
조선 시대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효부이자 열녀. 본관은 합천(陜川). 남편은 손임식(孫任植)으로,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손임식 처 합천 이씨는 천성(天性)이 유순하고 부덕(婦德)을 겸비하여, 시부모를 효성으로 봉양하고 남편을 잘 섬겼다. 남편이 병들어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했으나 효험이 없이 죽자 남편을 따라 목숨을 끊으려 했다. 하지만 늙은 시부모와 어린 두...
-
개항기 하동의 열녀. 본관은 창녕(昌寧). 아버지는 조내섭(曺乃涉)이다. 남편은 양주기(梁柱基)로, 본관은 남원(南原)이다. 양주기 처 창녕 조씨는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장재동으로 시집을 왔다. 남편이 갑오년(甲午年) 농민 항쟁에 참여했다가 하동군 옥종(玉宗) 북방 고성산(高城山)에서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달려가, 시체가 산처럼 쌓이고 썩은 냄새가 진동하는 속에서 남...
-
조선 시대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열녀이자 효부.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이규하(李珪夏)이며, 남편은 유계주(劉啓周)로 본관은 거창(居昌)이다. 유계주 처 전주 이씨는 남편이 3년 동안 병으로 누워 있을 때 백방으로 정성을 다하여 구완하였으나 죽게 되자 슬픔으로 상을 치렀다. 다시 시아버지가 병이 들자 똥의 감고(甘苦)를 맛보며 봉양하였고, 시어머니가 병이 들자 하늘에 백일기...
-
조선 후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열녀. 본관은 웅천(熊川). 조봉대부 동몽교관 유명한(劉明漢)의 아내이다. 유명한은 효자 유경신(劉景新)의 아들로 그 자신도 효자였을 뿐 아니라 아들 유홍기(劉弘基)도 효자로 이름이 자자했다. 유명한 처 웅천 주씨는 남편이 죽자 3년상을 치르는 동안 단 한 번도 머리를 빗지 않는 등 치장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3년상을 마치는 마지막 날 자결을 하였...
-
조선 후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열녀. 조소사(曺召史)는 사노(私奴)였던 이노미(李奴未)의 아내로서,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 중에 왜적을 만나자 죽음으로 절의를 지켰다. 이 해 일본군은 1592년(선조 25)의 진주성 패배[진주대첩]를 만회하고자 10여만 명의 병사를 동원해 9일간 진주성을 함락하기 위해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결국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여 명의 군사...
-
조선 후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효부. 본관은 남평(南平). 아버지는 문경협(文景俠)이다. 남편은 조봉대부 동몽교관(朝奉大夫童蒙敎官) 이인표(李仁杓)로, 본관은 합천(陜川)이다. 이인표 처 남평 문씨는 천품이 유순하고 부덕을 겸비하여 남편을 잘 따르며, 시부모를 잘 봉양하여 효부라 일컬어졌다. 1884년(고종 21) 효로 정려를 받아 하동군 진교면 이곡(梨谷)[일명 배골]에 정려비...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양(晉陽). 이름은 정순종(鄭舜鍾), 자는 재백(再伯)이다. 자를 ‘ 재백(在伯)’으로 잘못 기록한 곳도 있다. 정순종이라는 본명 보다 자인 정재백으로 더 많이 알려졌다.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독립운동사』 3권에도 정재백으로 쓰여있다. 정순종은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통정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29일 진교장날 정...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독립 운동의 불길이 전국으로 퍼져 나가자, 이에 부응하여 4월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지소마을에서는 박영묵(朴永默)의 주도 아래 일신단(一身團)을 중심으로 만세 운동에 동참하려는 준비가 진행되었다. 정윤용(鄭潤鎔)은 이때 일신단의 일원으로 만세 운동을 준비하고 주도했던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당시 같은 마을에 사는 이종인(李宗仁...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1일 기미 독립 만세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자 하동군에서도 하동읍·고전면·북천면·옥종면·청암면·화개면 등지에서 만세 운동이 다발적으로 전개되었다.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우복리 출신의 정이백(鄭移伯)은 동료 이경호(李璟鎬)와 함께 하동장날에 전개된 독립 만세 운동에 700여 명의 군중을 동원하여 참가하였다. 이날의 만세 시위는...
-
조선 시대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열녀이자 효부. 본관은 경주(慶州). 남편은 정인우(鄭仁佑)로 본관은 진양(晉陽)이다. 정인우 처 경주 김씨는 규수(閨秀)로서의 범절을 잘 지키며 다른 집에 살면서도 시부모에 대한 혼정신성(昏定晨省)을 다하였고, 특별한 음식을 얻으면 반드시 시부모에게 올렸다. 무엇보다 시부모의 마음을 잘 헤아리는 며느리였다. 남편이 25세에 병을 얻어 일어나지 못하...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의 배다리장터에서 열린 만세 운동에는 인근 양보·진교·금남 주민 1천여 명이 동참하여 하동군 내 어느 지역보다 규모가 컸다. 이들이 만세 운동을 진행했던 배다리장터에는 현재 장은 서지 않고 그 터만 남아 있으며, 만세 운동을 기념해 하동군 고전면민 만세 운동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배다리장터는 ‘배더리장터’...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재완(鄭在涴)의 호는 물헌(勿軒))이다. 정재완은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에서 태어났다. 근검절약하여 재산을 모아 만석 거부(萬石巨富)가 되었는데, 일제 강점기 백산(白山) 안희제(安熙濟)를 통해 상해 임시 정부에 자금 지원을 하였다. 또한 부산 동래에 산해관(山海館)을 건립하여 독립지사의 연락 및 은신처로 제공하였다. 정재완의...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재운(鄭在雲)의 본관은 진양(晉陽)으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정기룡(鄭起龍)의 후손이다. 1895년 5월 4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 628번지에서 태어났다. 하동군 금남면 대치리에 있던 금양국민학교의 전신인 현산학교에 들어가 신학문을 배우고 어려서부터 집 안에서 한학을 배웠다. 1919년 3월 29일 진교장날 정재운은 하동...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전국적으로 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하동군에서도 하동읍·고전면·북천면·옥종면·청암면·화개면 등지에서 만세 운동이 다발적으로 전개되었다. 이 만세 운동 중 하동보통학교 학생 160여 명이 하동시장에 모여 만세를 부른 운동이 있었다. 1919년 4월 7일 하동보통학교 학생들이 광평 송림으로 소풍을 가는 날, 학생들은 박문화(朴汶和) 등 4학...
-
개항기 하동의 효부. 본관은 김해(金海). 아버지는 김종수이다. 고려 시대 우곡(愚谷) 정온(鄭溫)[1324~1402)의 후손인 정형수(鄭亨秀)의 처다. 정형수 처 김해 김씨는 성품이 순박하고 지극히 효성스러웠으며, 동기간에 우애가 있었다. 시어머니의 눈이 멀고 가세가 빈한하였으나 매일 시어머니의 뒷간 길을 업어 나르고, 하루도 거르지 않고 밤마다 하늘에 기도하기를 25년간 계속하...
-
개항기 하동의 열녀. 본관은 밀양(密陽). 아버지는 손영지(孫永芝)이며, 남편은 정환탁(鄭煥倬)으로 본관은 영일(迎日)이다. 정환탁 처 밀양 손씨는 일찍부터 홀로된 어머니를 정성껏 봉양한 것으로 향리에 칭찬이 자자하였다. 정환탁에게 시집온 후 남편이 병이 들자 시부모를 극진하게 봉양하는 한편으로 남편의 병에 대해서는 항상 시부모에게 좋아지고 있다고 고해 걱정을 덜어 주었다. 또한...
-
조선 후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열녀. 조언세(曺彦世)의 처인 하소사(河召史)는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 중에 왜적을 만나 위급해지자 스스로 목을 찔러 자결하였다. 이 해 일본군은 1592년(선조 25)의 진주성 패배[진주대첩]를 만회하고자 10여만 명의 병사를 동원해 9일간 진주성을 함락하기 위해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결국 진주성이 함락되고 7만여 명의 군사와 관리...
-
조선 시대 하동에서 활동한 열녀.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신태진(申兌鎭)이며, 남편은 조우현(趙禹顯)으로 본관은 평양(平壤)이다. 조우현 처 평산 신씨는 정숙한 부녀로서의 자품(姿品)을 지녀서, 비록 집안은 가난했으나 시부모를 섬기고 탕약을 바치는 데 정성을 다하였다. 어느 날 남편이 병을 얻어 몇 번이나 혼절하자, 신씨가 자신의 오른쪽 허벅지를 베어 피를 먹이자 효험이 있...
-
조선 시대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효녀.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최경식(崔敬植)이다. 전씨(全氏) 가문으로 출가하였다. 최경식 여 전주 최씨의 친정어머니가 중풍에 걸렸는데 모든 약이 효험이 없었다. 결국 폐인이 되자 고을 사람들이 여막으로 내쳤는데, 이에 최씨가 와서 어머니를 간호하며 다리의 살을 베어 구워 먹이니 병에 차도가 있어 어머니가 온전한 사람이 되었다. 이때 전주...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 있는 가마. 춘강요는 춘강 박종환이 운영하고 있는 가마이다. 본래 춘강요는 박종환의 부친인 박정수가 경기도에서 운영하던 가마였다. ‘춘강’이라는 가마의 이름은 박종환의 부친인 박정수의 호이며, 이 호를 아들인 박종환도 같이 사용하고 있다. 박정수는 경기도에서 경상남도 김해시를 거쳐, 1986년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 마을의 토질이 도자기를 빚...
-
경상남도 하동군 지역에서 생산되는 투박하고 거친 질감의 찻그릇. 하동군 진교면과 양보면의 경계를 이루는 곳에 ‘대장골’이라는 골짜기가 있는데, ‘대장’은 도자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물레를 다루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옛날부터 이곳에 많은 도공들이 살았음을 추측해 볼 수 있는 지명이다. 하동 막사발은 대장골과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를 중심으로 생산된 막사발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매년 4월 하동군민의 날 행사 기간에 개최되는 전시회. 하동예총 예술 단체 종합전은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하동지회, (사)한국연예예술인협회 하동지회, (사)한국미술협회 하동지부, (사)한국문인협회 하동지부, (사)한국국악협회 하동지부 및 하동군 지역의 동아리 단체가 연합하여 매년 4월에 개최하는 전시회이다. 하동군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동아리는 2010...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 있는 가마. 하동요는 도예가 후암 정웅기(鄭雄基)가 전국을 돌며 가마터를 조사한 뒤 정착한 곳이다. 정웅기는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 사기마을이 옛날 가마터인데다 사기마을 가마에서는 사발, 대접과 같은 생활 도자기를 많이 제작하고, 도자기들이 주는 질감이 좋아서 정착하게 되었다. 그리고 흙이나 유약의 재료로 쓰이는 석회석·재·잔돌 등의 질이 좋...
-
개항기 하동의 열녀이자 효부. 본관은 합천(陜川). 남편은 학생(學生) 한덕동(韓德東)이다. 한덕동 처 합천 이씨는 15세에 한씨 집안으로 출가하였다. 시부모에게 효성을 다하고 남편을 예로 섬겨 일가가 화목하여 향리 사람들이 모두 열복(悅服)하여 칭송하였다. 19세에 자식도 없는데 남편이 중병에 걸려 몇 달 동안 병상에 눕게 되었다. 모든 약이 효험이 없자 이씨는 산천에 기도하며...
-
조선 후기 하동 지역에서 활동한 열녀. 본관은 진양(晋陽). 남편은 허수(許樹)로,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허수 처 진양 정씨는 한밤중에 호랑이가 방에 들어와 남편을 물고 달아나자 남편의 다리를 잡고, 또 호랑이의 꼬리를 붙잡고 넘어지며 5리를 따라갔다. 결국 남편은 죽었지만 끝까지 따라가서 남편의 시체를 업고 돌아왔다고 전한다. 정씨의 열행(烈行)이 알려져 1772년 나라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 있는 가마. 현암요는 도예가 현암(玄菴) 최정간(崔楨幹)이 1980년대 초에 건립한 가마이다. 최정간은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태어나 고고학자인 부친 최남주(崔南柱)에게 한국 미술사를 사사받았다. 그 후 중세 한일 도자기 교류사를 전공하여 한국과 일본 학계의 주목을 받았는데, 일본 이도다완[井戶茶碗]의 고향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 사기마을의 새미골 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