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전승되어오는 문학. 구비 전승은 글로 기록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것으로 배경이 되는 지역에 따라 전승 집단의 생활 감정 등을 반영하고 있다. 구비 전승은 그 지역 사람들의 의식 구조, 생활 모습이나 그 지역의 특성 등을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하동의 구비 전승은 하동 사람들의 문화적 소산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구비 전승에는 설화·민요·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불일폭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일폭포 용추의 쌀바위」는 불일암(佛日庵)에서 수도하던 스님이 바위에서 나오는 쌀을 발견하게 되고, 빨리 부자가 될 욕심에 구멍을 인위적으로 넓혀 다시는 쌀이 나오지 않았다는 허욕담이다. 이를 「용추 쌀바위」, 「용추 쌀바위 전설」 등이라고도 한다. 1986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궁항리에서 들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탄정과 들돌 이야기」는 하동군 옥종면 궁항리에 있는 궁항천 냇가의 정자나무 아래에 있는 청석[들돌]을 들지 못하면 벌금으로 술과 안주를 내야만 했던 여자가 가볍게 돌을 들어 옮겼다는 여성영웅담이다. 또한 정자나무가 불에 탔기 때문에 불탄정이라고 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정자나무 거리 들돌 이야기」라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에서 비까리와 새모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비까리와 새모」는 고려 때 덕호마을에 살던 부자 형제가 이대, 삼대까지 부자가 못 나오게 하는 형제봉 때문에 형은 새동네란 뜻의 새모[상신대]로, 동생은 덕호마을에서 비껴 앉았다는 뜻의 비까리[하신대]로 이사하였다는 마을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북방리에서 명원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궁들 도깨비보 이야기」는 홍수가 나면 발생하는 산사태가 도깨비의 장난인 것을 알고 이를 예방하고자 ‘명원보’를 ‘도깨비보’로 개명하고, 여기에서 매년 도깨비가 좋아하는 씨름 대회를 열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내용이 상세히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에서 새미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새미골을 아흔아홉골이라 부르게 된 연유」는 새미골에 왁쇄기라 불리는 노인이 살았는데 부자였으나 수확이 아흔 아홉 석을 넘기지 못해 왕겨를 한 섬 넣어 백 석을 채웠더니, 그만 죽고 말아 새미골을 ‘아흔아홉골’이라 한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내용이 상세히 실려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신흥리에서 세이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세이암 전설」은, 하동군 화개면 신흥리의 의신 쪽에서 흘러오는 냇물을 따라가면 절벽에 ‘세이암(洗耳岩)’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신라 말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여기서 귀를 씻고 신선이 되어 지리산으로 입산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86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한 『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서 칠불사 부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년부도 이야기」는 칠불사 중건 공사에 희생된 소년 승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칠불사 탑에 푸른 이끼가 돋았다는 부도유래담이다. 이를 「중창불사와 소년스님」이라고도 한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고, 2002년 화개면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화개면지』에는 「중...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목도리에 손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손장군 이야기」는 하동읍 목도리 출신의 손장군이 한 노승의 도움으로 호랑이 밥이 될 사람들을 구한 신이담이자 민간영웅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쇠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쇠재 전설」은 옛날 진주목에서 하동현으로 가는 고개를 남매가 넘어가는데 갑자기 소나기가 내려 젖은 누이의 속살을 보고 충동을 느낀 오빠가 자신의 남근을 쳐 죽자 누이가 “소처럼 대어나 보지.” 하며 한탄하여 쇠재가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우치 전설」이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에서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신선암과 구경암」은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 뒷산에 두 개의 바위가 있는데 그중에서 큰 바위는 신선이 쉬면서 바둑을 두었다 하여 신선암이라 부르고, 다른 바위는 사람들이 모여 구경하였다고 하여 구경암이라 부른다는 암석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계천리 영천마을에서 여우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우바위의 전설」은 낳은 지 보름 만에 죽은 아이를 뒷산에 묻었는데 여우가 시신을 파먹자, 이에 아비가 복수하려고 영천마을 중송골에 있는 바위로 찾아갔으나 꾀 많은 여우를 당하지 못했다는 동물담이다. 또한 그 바위를 여우바위라고 불렀다는 암석유래담이기도 하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에서 진주 강씨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장부 강씨 부인」은 북천 남포동에서 호랑이 할매라고 불리던 최효병의 아내 진주 강씨가 외손자의 약을 구해 오다 호랑이를 만나지만 설득하여 물러가게 하였다는 동물담이자 신이담(神異談)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서 발행...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관리 금강마을에서 들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연모의 들돌」은 정안봉(鄭晏峯) 남신이 구재봉(龜在峯) 여신에게 힘자랑 시험으로 던진 들돌이 폭풍으로 적량면 관리 금강마을의 ‘귀밑에’와 율곡마을 중간에 있는 들에 떨어져 그곳을 ‘들돌거리’라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동해량마을에서 오룡정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오룡정 이야기」는 예전 하동읍 해량촌에 있었다던 오룡정 주변의 다섯 그루 느티나무 그늘이 섬진강에 비쳐 물결이 흔들릴 때는 다섯 마리의 용처럼 보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내용이 상세히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에서 울띠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울띠촌 이야기」는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에 있는 수척마을의 초기 이름이 울띠였는데, 산허리에 터를 잡으며 울섶으로 세운 울타리를 멀리서 보면 산허리에 띠를 맨 것 같아 울띠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우계리에서 원우마을 앞 저수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원우마을 소류지 전설」은 하동군 적량면 우계리 원우마을의 앞에 있는 늪과 관련된 내용으로 시주 스님을 박대한 강씨를 징계하기 위해 도사가 마을 웅덩이를 메우게 하여 재앙이 끊일 날이 없게 했다가 다시 못을 파서 예전으로 되돌아갔다는 응보담이자 일종의 풍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과 진교면 경계에 있는 이맹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맹산 전설」은 산 정상에 있는 못에 사는 이무기 때문에 마을 사람이 눈이 멀게 된다고 하여 이맹산이라 하였고, 불에 달군 돌을 못에 넣어서 이무기를 쫓아냄으로써 맹인이 눈을 뜨자 왕명으로 이명산으로 개칭하였다는 괴물퇴치담이자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에서 만지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라도에서 팔려온 만지들」은 섬진강의 흐름에 따라 생긴 들판이 경상도와 전라도의 경계 지점에 있는 만지들로서, 경작은 하동 사람이 하고 세금은 전라도 광양의 관리가 징수해 항상 분쟁이 일어났는데 하동부사와 광양현감이 합의하여 그 들을 전라도에서 경상도에 팔게 되었다는 토지매매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서 정기룡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정기룡 장군의 탄생과 명마」는, 임진왜란 때의 명장 정기룡(鄭起龍)[1562~1622] 장군이 사망한 모부인의 태중에서 이틀을 지낸 후 태어났다는 영웅탄생담이다. 또한 정기룡 장군이 왜적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준 말을 둘째 부인 권씨가 키웠다는 명마획득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정기룡 장군의 이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정기룡이 된 정무수」는 본래 이름이 정무수(鄭茂壽)였는데 용이 일어나는 꿈을 꾼 선조(宣祖)[1552~1608]가 ‘기룡(起龍)’이라는 이름을 내리고 무과에 급제시켰다는 민간영웅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가재골에서 돌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조장군과 가재 돌다리」는 옛날 조장군이라는 칭호를 듣던 힘센 자가 마을 사람들에게 가재골에 돌다리를 올려놓겠다고 하고는 3일 동안 노력을 했는데, 돌다리를 누가 먼저 올려놓아 풀이 죽어 돌아왔는데 알고 보니 그의 누이였다는 여자영웅담이자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지례리에서 지네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네골 만석꾼 김씨와 지네」는 지례리 예성마을의 옛 이름인 지네골에서 김씨 성을 가진 만석꾼이 지네가 다니는 길에 박석[얇고 넓적한 돌]을 깔아 지네를 눌러 죽여 살림이 기울어졌다는 풍수담이자 명당파손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에서 마고할매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리산신 마고할매」는 하동 고소성을 쌓다가 중단한 이야기, 남해 금산을 가면서 치마도 걷어 올리지 않고 노량 앞바다를 성큼성큼 건너갔다는 이야기 등 지리산 곳곳에서 전승되는 마고할매의 여성영웅담이자 신이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상이리에서 지방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방암과 백일홍」은 하늘로 오르던 용이 한 처녀에게 목격되자 곧장 떨어졌는데, 그 흔적으로 청암면 상이리 시목마을의 지방암에 청색의 기다란 줄무늬가 남았다는 암석유래담이다. 그 뒤 백일홍 두 그루가 자랐는데, 그 형상이 용과 같았다고 하는 식물유래담이기도 하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진교리에서 민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진교 민다리 놓은 이야기」는 이맹산에서 쫓겨난 용이 숨었다고 하여 놓은 다리가 비에 떠내려가자 도승이 금오산 부부 바위 두 개를 밀고 와서 다리를 놓게 되어 ‘민다리’라고 하였고, 이무기가 용이 되어 하늘로 오르기 위해 하늘로 사다리를 놓았던 곳이라 하여 ‘미르다리’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 학동마을에서 호랑이로 둔갑한 효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최호랑이로 변한 효자 최씨」는 청암면 묵계리 학동마을 건너편의 최씨네골에서 살던 최씨가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호랑이로 변하는 귀문 둔갑술을 익혀 개를 잡았는데 부인이 주문이 적힌 책을 태워 버려 사람으로 변신하지 못하고 죽었다는 효행담이자 변신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서 칠불사 영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칠불사 영지에 비친 칠왕자」는 김수로왕과 허왕후가 출가한 일곱 아들을 만나러 왔다가 칠불사 입구에 있는 연못에 비친 얼굴만 보고 갔는데, 그 연못을 영지(影池)라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에서 바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탕건바위 각시바위」는 옛날 궁항마을 노총각 머슴이 산에 나무하러 갔다가 여인을 만나 서로 연모하였으나 총각은 탕건바위가 되고 여인은 각시바위가 되었다는 암석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서 발행한 『하동의...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비파리에서 백마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하얀 말이 하늘로 올라간 백마지」는 가난하고 천한 농부가 날개가 돋은 영웅 아이를 낳았으나 이를 두려워한 아버지가 사흘 만에 아이를 죽인 후에 동네 앞개울에서 하얀 말이 나와 울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그 자리를 백마지라고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내...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장암리에서 칼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형제들의 칼부림고개」는 주씨 성을 가진 부자 영감의 아들 형제들이 재산 분배를 받던 중 양보면 장암리 산록마을의 고개에서 칼부림 나게 싸우다가 한 명이 죽었다고 하여 칼부림고개라고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칼고개의 형제」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호랑이 눈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 눈썹으로 얻은 아내」는 금오산 산록마을의 가난한 젊은이가 죽으려고 호랑이 굴에 갔다가 호랑이 눈썹을 얻었고, 이 눈썹으로 자기에게 맞는 여자와 자기 아내를 서로 바꾸어서 잘 살았다는 아내교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효성이 지극한 며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도 감동한 효부」는 하동군 악양면과 적량면 사이에 있는 구자산 아래 마을에 살던 며느리가 장에 간 시아버지가 해가 져도 오지 않아 찾아갔더니 호랑이 밥이 되기 직전이라 아이를 내주고 시아버지를 업고 왔는데, 감복한 호랑이가 아이를 돌려줬다는 효행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화개동천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화개동천 이야기」는 신선이 사는 항아리 속 별천지라 하여 운수리 화개마을을 화개동천(花開洞天)이라 불렀고, 삼법화상이 눈 쌓인 계곡의 칡꽃이 핀 자리에 육조(六祖) 혜능(慧能)선사[638~713]의 정상(頂上)[머리]을 묻었다 하여 화개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화개의 지명유래」라고도 한다. 1...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에서 천석군 집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황부자와 복치혈」은 청암면 중이리 논골마을에 사는 황씨 모자가 한 스님이 묘 터를 잡아줘 부자가 되었는데, 그 묘 터가 복치혈(伏雉穴)이라 상석을 놓지 말라고 했지만 부자가 되자 잊어버리고 상석을 해 다시 망했다는 풍수담이다. 이를 「황부자와 천석군터」라고도 한다. 1992년 청암향토지발간추진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