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401065 |
---|---|
한자 | 岳陽亭-兪好仁- |
영어의미역 | Akyangjeong Pavilion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최석기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445년![]() |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494년![]() |
배경 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
![]() |
성격 | 한시|서정시|칠언 율시|차운시 |
작가 | 유호인(兪好仁)[1445~1494] |
1490년경 유호인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정여창의 은거지 악양정을 두고 읊은 차운시.
「악양정(岳陽亭)」은 유호인(兪好仁)[1445~1494]의 『뇌계집(㵢溪集)』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정여창(鄭汝昌)[1450~1504]의 『일두집(一蠹集)』 권3의 시장(詩章)에 수록되어 전한다. 「악양정」의 서문을 보면, 정여창이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근무할 때 함께 세자를 모시고 강의를 하였다고 하였으니, 유호인도 세자시강원의 직책을 맡고 있었던 듯하다. 정여창이 세자시강원설서가 된 것은 1490년(성종 21) 12월이었으니, 「악양정」을 지은 시기도 그때쯤일 것이다.
정여창은 벼슬에서 물러나 자신의 은거지인 악양정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그러지 못하는 심경을 토로하며 두보(杜甫)[712~770]의 「복거(卜居)」에 차운하여 시를 짓고, 유호인에게 화답시를 요구하였다. 이에 유호인이 화답시로 「악양정」을 지은 것이다.
유호인의 자는 극기(克己), 호는 임계(林溪)·뇌계(㵢溪),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경상남도 함양 출신으로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문인이다. 1462년(세조 8) 생원이 되고, 1474년(성종 5)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봉상시부봉사(奉常寺副奉事)를 거쳐 1478년(성종 9) 사가독서한 뒤 1480년(성종 11)에 거창현감으로 부임하였다. 그 뒤 공조좌랑을 지내고, 1486년(성종 17)에 검토관을 거쳐 이듬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홍문관교리로 있다가 1488년(성종 19) 의성현령으로 나갔다.
시를 잘 지어 글을 좋아하는 성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94년(성종 25) 사헌부장령을 거쳐 합천군수로 재직 중 병으로 사망하여 경상남도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술로 『뇌계집』이 있다.
정여창은 유호인과 함께 김종직의 문하에서 함께 수학한 동문이며, 동향의 벗이다. 39살 때인 1488년 섬진강 가에 악양정을 짓고 살다가 이후 김일손(金馹孫)[1464~1498]의 천거로 출사하였다. 악양정은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정여창의 은거지를 가리킨다.
칠언 율시의 구성법에 맞추어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악양정」 앞에 긴 서문이 있는데, 유호인이 세자시강원에 근무할 때 악양정 주위의 경치와 함께 정여창이 악양정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뜻을 듣고서 정여창의 시에 차운해 짓게 되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 유호인은 악양정에 가 보지 못한 상태에서 정여창으로부터 악양정의 풍경에 대해 듣고서 그 산수의 아름다움을 상상하며 벗 정여창이 악양정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마음을 노래하였다.
미련의 ‘서연(書筵)’은 세자시강원의 강연을 말하는 것으로, 하루에 세자가 세 번씩 만나기를 재촉하기 때문에 정여창은 고향으로 돌아갈 꿈을 저버리게 되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정여창이 돌아가고 싶어 하는 악양정에는 빈 배에 달빛만 가득할 것이라고 읊은 것이다.
‘두곡(杜谷)’은 당나라 때 두씨(杜氏)가 살던 섬서성 장안현에 있는 종남산 기슭을 말한다. 두씨가 종남산 기슭에서 대대로 살아 붙여진 이름인데, 산수가 아름다워 묻혀 살 만한 곳의 대표적인 장소로 일컬어졌다. 또 ‘망천(輞川)’은 당나라 때 시인 왕유(王維)[699~759]가 은거하던 산수가 빼어난 곳으로, 산수가 아름다운 곳의 대명사로 쓰인다.
일국귀심천진두(一掬歸心天盡頭)[하늘 끝 맞닿은 곳으로 돌아가고픈 한 줌 마음]
악양무처불청유(岳陽無處不淸幽)[악양은 한 곳도 맑고 그윽하지 않은 데 없다지]
운천력력편공흥(雲泉歷歷偏供興)[운무에 덮인 산수 깨끗하여 자꾸 흥을 돋우건만]
헌면유유야기수(軒冕悠悠惹起愁)[벼슬길에 있다 보니 근심만 꾸역꾸역 일어나네]
두곡림당춘일난(杜曲林塘春日暖)[두씨 살던 종남산 숲 속 연못 봄날이 따뜻했고]
망천연우모산부(輞川烟雨暮山浮)[왕씨 망천은 안개비 속에 저무는 산이 솟았네]
서연매피최삼접(書筵每被催三接)[서연에서 하루에 세 번 만나길 매번 재촉하니]
고부정전월만주(辜負亭前月滿舟)[뜻이 어긋나 악양정 앞엔 달빛만 빈 배에 가득]
두보의 칠언 율시 「복거」에 차운한 시이므로, ‘두(頭)’, ‘유(幽)’, ‘수(愁)’, ‘부(浮)’, ‘주(舟)’를 운자로 그대로 쓰고 있다.
「악양정」은 정여창이 은거지 악양정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마음과 악양정의 풍경을 상상해 노래한 유호인의 차운시로, 정여창과 악양정의 정취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