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401312 |
---|---|
한자 | 李益培 |
영어음역 | Yi Ikbae |
이칭/별칭 | 자천(自天)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전병철 |
고려 후기 하동 지역에서 재직한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자는 자천(自天). 할아버지는 고려 후기의 이름난 문인인 이규보(李奎報)[1168~1241]이며, 아버지는 사재소감(司宰少監)을 지낸 이함(李涵)이다.
이익배(李益培)는 고려 후기 고종(高宗) 때 과거에 급제하여 하동감무(河東監務)로 벼슬을 시작하였으며, 임기를 마친 후 한림원(翰林院)에 뽑혀 들어갔다. 그 뒤 승진을 거듭하여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이 되었는데, 1270년(원종 11) 개경으로 환도할 때 예부의 문적(文籍)을 잘 수습한 공로로 우사간(右司諫)에 제수되었다. 1286년(충렬왕 12) 국자좨주[國子祭酒]로서 동지공거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였으며, 1288년(충렬왕 14) 부지밀직사사 판도판서 문한학사(副知密直司事版圖判書文翰學士)로 퇴직하였다. 1292년(충렬왕 18) 세상을 떠났다.
문학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1286년 왕명을 받아 자진원오국사(慈眞圓悟國師)의 묘비명을 지었다. 그러나 주색(酒色)을 좋아하고 절조가 없어 김홍유(金洪裕)라는 사람에게 뇌물을 받고 글을 대신 써 주어 급제시킨 일로 사림(士林)의 비난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