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400854 |
---|---|
한자 | 晩山亭 |
영어의미역 | Mansanjeong Pavilion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감당리 상쌍마을 36-9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강정화 |
건립 시기/일시 | 1917년![]() |
---|---|
현 소재지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감당리 36-9 |
성격 | 누정|정자 |
양식 | 목조 슬레이트 기와|홑처마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3칸 |
관리자 | 연일 정씨 문중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감당리 상쌍마을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정자.
만산정(晩山亭)은 쌍계거사(雙溪居士) 정혼기(鄭渾基)가 만년에 장수(藏修)[학문을 할 때 조금도 변함없이 열심히 한다는 의미]하던 곳이다. 정승현(鄭承鉉)이 쓴 「만산정기(晩山亭記)」에 의하면, 정혼기는 가난한 집안 살림에도 불구하고 50여 년 동안 부모 봉양을 정성껏 하였는데, 후에 모친의 권유로 하동군 양보면 감당리 기슭에 정자를 지어 만년을 지냈다고 한다. 정혼기의 자는 화원(和元)·화언(和彦)·화언(華彦), 호는 만산(晩山), 본관은 연일(延日)이다.
하동에서 출발하여 하동~진주 간 국도 2호선을 타고 횡천을 지나 양보·진교 방면 삼거리에서 지방도 1003호선을 따라 오른쪽으로 300m 가면 삼거리가 나타나고, 다시 오른쪽으로 1㎞ 정도 더 가면 상쌍마을이 나온다. 만산정은 하동군 양보면 감당리 상쌍마을 한가운데 있는 소나무 숲을 지나 마을 끝 산자락에 위치한다.
만산정은 정혼기가 만년에 학문을 수양하고 자제와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남상수(南相洙)의 「만산정 이건기(晩山亭移建記)」에 의하면, 만산정의 본래 위치는 지금보다 더 마을 가까이에 있었던 듯하다. 정혼기는 생전에 만산정이 오랜 세월에 낡아지고 방도 좁아 증축을 시도하려 하였는데, 미처 시행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정혼기의 후손 정재용(鄭在鎔)이 선대의 뜻을 받들어 옛터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3칸의 정자를 짓고 기와를 얹어, 시를 읊고 강학하는 장소로 활용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기와를 걷어 내고 슬레이트를 얹은 모습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로, 목조 구조의 슬레이트가 덮인 팔작지붕집이다. 양쪽으로 방이 2개 있으며, 중앙이 대청마루이고 양쪽 방엔 툇마루가 있다. 눈썹지붕[벽이나 지붕 끝에 물린 좁은 지붕]과 홑처마로 되어 있다. 오른쪽 측면에는 후대에 쪽마루를 달아내었다. 대문은 맞배지붕의 평대문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되어 있다. 대문을 중심으로 양쪽에 툇마루가 달린 방이 있다.
정현복(鄭鉉輻)이 쓴 ‘만산정’ 현판을 중심으로 좌우의 방에 각각 ‘만산정’과 ‘제천재(濟川齋)’ 현판이 걸려 있다. 오른쪽 측면에서 처마를 향해 바라보면, 1941년 12월에 쓴 ‘만산금사(晩山唫社)’라는 현판과 ‘낙호재(樂乎齋)’라는 현판이 붙어 있다. 대청마루에는 하영태(河泳台)[1875~1936]의 「만산정 상량문(晩山亭上樑文)」과 남상수의 「만산정 이건기」, 정승현의 기문이 걸려 있다.
2011년 현재 만산정의 관리자는 연일 정씨(迎日鄭氏) 문중으로 되어 있다. 마을 주민에 의하면 연일 정씨 문중에서 연중 향사를 지낸다고 하나, 관리 소홀로 인해 마루와 방문이 떨어져 나가고 담장이 무너지는 등 훼손된 곳이 많다.
정혼기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하동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인물이다. 『이당집(而堂集)』에는 송산(松山) 권재규(權載奎)[1870~1952]가 1935년 정혼기에게 준 편지가 전한다. 남상수의 「만산정 이건기」에 의하면, 정혼기는 당대에 만산정을 중심으로 시사(詩社)를 결성해 활동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만산정은 하동군 양보면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당시 문인들의 시회(詩會) 등 학문 및 문학 활동을 살필 수 있는 좋은 근거가 되는 장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