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401849 |
---|---|
한자 | -堂山祭 |
영어의미역 | Village Tutelary Festival in Jiso Village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지소마을 |
집필자 | 김성채 |
의례 장소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지소마을 |
---|---|
성격 | 마을 신앙|당산제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11월 그믐날 |
신당/신체 | 당산 할매[돌무덤]|당산 할배[돌무덤, 느티나무, 소나무, 바위] |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 지소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지소마을 당산제는 매년 동짓달 그믐날 아침에 고전면 성천리 지소마을 입구에 있는 당산 할매[돌무덤]와 네 방위의 당산 할배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지소마을은 예전에 닥나무가 많이 재배되어 그것을 이용해 한지를 생산하던 자연 마을이다. 지소마을에는 삼산봉의 정기가 서려 있고, 풍수지리상 계알봉을 중심으로 삼봉산의 품에 안긴 학(鶴)의 형국이다. 이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가진 사람들을 많이 배출했다고 한다.
[연원 및 변천]
본디 동짓달 그믐밤에 지냈으나 6년 전부터 마을의 노령화가 심화되어서 아침으로 제일을 옮겼다. 제관 및 진설하는 제물도 깨끗하고 정진(精進)하기 좋은 사람을 제관으로 선정하던 것에서 고령자와 이장이 중심이 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제물도 밥, 탕, 나물, 조기, 민어, 돼지고기, 소고기, 포, 감, 배, 사과, 한과 등 기제사와 흡사하게 준비하던 것에서 밥, 탕, 나물은 올리지 않는 것으로 바뀌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지소마을에는 신당은 없으나 다섯 개의 당산이 있다. 마을 입구의 돌무덤인 ‘당산 할매’를 중심으로 동서남북 네 방위에 ‘당산 할배’가 보좌하는 형국이라 한다. 동서남북 ‘당산 할배’의 신체를 열거하면 동쪽에는 돌무덤과 느티나무가 있고, 서쪽에는 소나무와 두꺼비 형상을 한 바위가 있다. 마을 남쪽 3·1 운동비 인근에는 소나무가 있고, 북쪽에는 느티나무와 소나무가 ‘당산 할배’의 신체로 모셔지고 있다.
[절차]
제의 날짜가 다가오면 제관인 이장이 당산제에 쓰일 제물을 구입한다. 제물은 돼지고기, 쇠고기, 포, 감, 배, 사과, 한과 등으로 간단하게 준비한다. 당산제를 지내기 전날에 제관은 당산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려 제장을 정화하며 당산제 지낼 준비를 한다. 이때 왼새끼를 꼬아 금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당산제를 지내는 아침이 되면 제관은 준비한 제물을 진설한다. 당산제는 제관인 이장 및 마을의 고령자들이 주도하며 초헌관과 아헌관은 고령 남성, 종헌관은 이장이 맡는다. 일반적인 절차는 강신[신을 내리게 하기 위하여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 위에 부음]→ 참신(參神)[신주 앞에서 절을 함]→ 초헌→ 독축[축문 읽음]→ 아헌→ 종헌→ 첨작[종헌으로 드린 잔에 다시 술을 채워 부음]→ 음복[제사를 끝내고 제사 음식을 나눠 먹음] 순으로 기제사와 비슷하다. 본디 당산제는 “동민들 모르게 지내는 것이 좋다.”고 한다. 그만큼 엄숙하게 정성을 들여 지내야 한다는 뜻일 것이다.
[현황]
지소마을의 당산제는 제관 선출 방법, 제의 시간 등이 변하기는 하였지만 지금까지 유교식 제의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일부 마을 주민이 제의 시간을 환원하자는 의견이 있어서 내년부터 동짓달 그믐밤에 지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