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논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501490
영어의미역 Songs Sung When Weeding a Rice Paddy.
이칭/별칭 「응호 소리」,「논지심매기」,「지심매기」,「논매기」,「호초(薅草)」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
집필자 이소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요|노동요
형성시기 고대~조선시대
토리 무반음전음계의 라선법[L4.t4.v1,4]
출현음 라·도·레·미
기능구분 농업노동요
형식구분 멕받형식
박자구조 자유리듬곡
가창자/시연자 김철룡[1910년생]

[정의]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서 여럿이 논을 매며 부르던 노래.

[개설]

대부도(大阜島)는 안산시 대부동으로 편입되기 이전에는 옹진군 대부면에 속해 있던 큰 섬이다. 남양 쪽에서 대부도를 바라보면 섬 같지 않고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대부도라고 불렀다. 안산 지역의 논맴 소리는 「응호 소리」·「논지심매기」·「지심매기」·「논매기」 등으로도 불린다.

대부동동의 논맴 소리에는 「논맴 양산도」·「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어럴럴럴 상사」·「방아 소리」·「얼카덩어리」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실모 소리」·「둘레 소리」·「응호 소리」·「몸돌 소리」 등은 경기도 특수 지역의 소리이고, 「어럴럴럴 상사」·「방아 소리」 등은 경기도 일반 지역의 소리이다. 「논맴 양산도」「얼카덩어리」는 남쪽 지방의 소리가 안산시까지 전파된 것이다.

[채록/수집상황]

1999년 안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안산시사』에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1987년 서해안의 섬 대부도에서 주민 김철룡[남, 77]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멕받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자유리듬곡, 라선법이며 ‘레’에서 종지한다.

[내용]

[메]천지지간 만물지중에/ 민지대본 농사로다/

[받A]에에 위위 응호/

[받B]아 아아 아아 응호.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대부동동에서는 20~30명씩 논을 매며 소리를 하는데, 받음소리꾼들을 두 패로 나누어 첫 패가 “에­ 에­ 위, 위응호” 하면, 둘째 패는 ‘에’ 대신에 ‘아’로 시작하여 “아­ 아­ 아, 아아응호”로 받는다.

[현황]

제초제를 사용하면서부터 논맬 필요가 없게 되어, 논맴 소리는 들에서 사라지고 선소리꾼의 기억 속에서만 남게 되었다. 1980년대에 70세 전후의 토박이 농민으로부터 논맴 소리를 녹음하였으며, 그 당시 60세는 간단한 소리를 아는 정도였다. 지금은 고인이 되신 분이 많다.

[의의와 평가]

「응호 소리」는 안산시 단원구에 위치한 대부도 섬의 향토성이 진한 고유한 논맴 소리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