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섬진강과 화개장터를 배경으로 한 가사에 곡을 붙여 가수 조영남이 부른 대중가요. 화개장터는 경상남도 하동군과 전라남도 구례군을 이어주는 옛날의 장터이다. 가수 조영남은 영남과 호남의 지역감정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1988년 5월 「화개장터」를 발표하였다. 「화개장터」는 그동안 조영남이 작곡·작사·노래까지 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2010년 7월 조영남이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부춘리 검두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검두마을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 하동군 화개면 부춘리 검두마을에 있는 당산나무, 뒷당산, 우물 등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2011년 2월 17일 부춘리 검두마을로 현장 조사를 나갔으나 당산제 연원에 대하여 알고 있는 제보자를 만나지 못해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가 없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다원(茶苑). 고려다원은 이산다농(異山茶農) 하상연이 1979년 지리산의 화개동에 설립한 다원이다. 하상연은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고향인 하동에서 밤나무 조림과 은어 양식 등을 통하여 자주적인 농촌 경제 발전을 위하여 힘쓴 인물이며 2000년에 세상을 떠났다. 고려다원은 1979년 하상연이 전통 차의 재현을 위하여 설립하였다. 좋은 차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지리산 쌍계사의 말사. 국사암은 신라 839년(문성왕 원년)에, 중국에 가서 공부하고 귀국한 진감선사(眞鑑禪師) 혜소(慧昭)가 암자를 세워 주석하니 당시 산 이름은 두류산이고 암자의 이름은 보월암이었다. 진감선사 혜소는 여러 차례 왕의 부름에도 나아가지 않았으나, 민애왕이 스승으로 봉하여 진감국사라고 칭하였기...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던, 조선 후기 최치원(崔致遠)의 영정을 모신 사당. 금천사(琴川祠)는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 영당마을 682번지에 위치하였다. 영당마을의 옛 이름은 가은곡(加隱谷)이고, 한동안 신덕촌(新德村)이라 불리었다. 금천사는 최치원의 영정을 모시기 위하여 1824년(순조 24)에 건립하였다. 쌍계사(雙磎寺)에 있던 최치원의 영정을 옮겨 와 봉안하였으나, 1...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유학자 김명기(金命紀)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전라남도 영광 출신인 운계 김명기[1576~1650]가 정유재란을 피해 지금의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로 이거하게 된 배경과 덕은리에서 도의와 학문을 가르친 그의 삶을 정리하여 새긴 비석이다. 운계 김명기의 후손이 선조의 유덕(遺德)을 기리기 위해 1984년에 유허비를 세웠다. 김명기 유허비(金命紀遺...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김주석(金周錫)은 1896년(고종 23) 2월 20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정금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쌍계사 승려로서 학생인 정상근(鄭湘根)·양봉원(梁奉源)과 함께 4월 6일 화개리 시장의 시위를 주도하였다. 김주석은 미리 태극기를 만들어 장날인 4월 6일 수백 명의 군중이 모이자 태극기를 나눠 준 뒤 “대한 독립 만세!...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의 김휘겸이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 김휘겸 소장 고문서는 소지(所志) 1점, 망기(望記) 5점, 교지(敎旨) 6점 등이 있다. 소지는 기묘년(己卯年) 김성천(金聖天)·김창규(金昌奎)·이유종(李有宗) 등이 하동부사(河東府使)에게 행상인 29명이 수계절목(修契節目)을 만들었으니 성첩(成貼)해 주기를 요청하는 내용이다. 망기에는 1957년 하동향교(河東鄕校)에서 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있는 칠불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나무말 타고 원님코를 납작하게 한 애기중」은 문수동자가 보이지는 않지만 상주하고 있다는 칠불사에 전해 오는 전설로서, 불교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던 하동 원님이 스님들을 시험했으나 문수보살이 현신한 애기중이 나무말을 타고 동헌을 돌아서 원님을 망신시켰다는 신이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와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운천리를 잇는 다리. 남도대교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와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운천리 사이의 섬진강을 가로질러 놓은 다리이다. 지방도 861호선 상에 있다. 총길이 358.8m, 총폭 18.4m, 유효폭 13.5m에 높이 15m이다. 경간 수는 5개이며 최대 경간 폭은 160.0m이다. 상부구조는 아치교이며 하부구조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있는 계곡. 단천계곡은 화개천에 나타나는 곡지 가운데 유일하게 동서 방향으로 발달한 계곡이다. 영신봉에서 삼신봉에 이르는 지리산 남부 능선이 남북 방향인 까닭에 지구조적 요인의 간섭이 없다면 곡지들은 능선에 직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단천계곡이 동서 방향으로 발달한 것은 당연할 수 있지만 직선상의 모습으로 상당한 거리에 걸쳐 계곡이 나타나는 경우는 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단천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단천마을 당산제는 매년 정월 대보름날 아침 대성리 단천마을에 있는 ‘윗당산’과 ‘아랫당산’에서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지리산 남부 해발 약 500m에 위치한 단천마을은 예부터 붉은내→밝은내→박달내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는 단천마을로 불린다. 단천(檀川)은 ‘박달나무가 많은 시냇가 마...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서 대금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대금들에 핀 애절한 사랑」은 대금을 잘 부는 경상도 사는 총각과 소리를 잘하는 전라도 처녀가 사랑하게 되어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 섬진강 변에 있는 들판에서 만나기로 하였으나 갑자기 쏟아진 폭우로 인하여 만나지 못하고 서로 마주 보면서 두 달 동안 대금과 춤으로 연정을 주고받았다는 비극적인 애정담이다. 또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정금리에 있는 사찰. 대비암(大妃庵)은 하동 화개장터와 지리산 쌍계사의 중간에 있는 대비마을 오죽 숲에 쌓인 작은 암자이다. 가락국김수로왕의 왕비가 된 인도 아유타국 허황옥 공주는 오빠인 장유 화상과 함께 출가하여 수도하는 일곱 왕자를 그리워하여, 이곳 대비암 터에 암자를 짓고 칠불암을 오가면서 아들을 만났다고 한다. 가락국 황후가 머물렀다고 하여 절의 이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있는 계곡. 대성계곡은 지리산 남부 능선의 물이 모여 든다 해서 붙인 이름이다. 지리산 남부 산지의 화개천 계곡에는 위성사진으로 보아도 직선인 곡지가 두 개 나타난다. 가장 뚜렷한 곡지는 벽소령에서 의신계곡의 삼정마을, 연동계곡의 칠불사 입구, 목통마을을 지나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연곡사까지 발달한 곡지로 칼로 벤 듯이 뚜렷하다. 다른 하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성리라는 명칭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 생긴 이름으로, 관내의 자연마을이었던 (원)대성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대성마을은 마을에 터가 있던 대승암(大乘庵)에서 비롯한 이름으로 여겨진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대성동, 덕평동, 기수곡, 평지촌, 빗점, 삼점, 사리암, 고사암, 송대, 의신, 단천이 통합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의신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대성리 의신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초하룻날 의신마을에 있는 뒷당산의 당산나무에서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하여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당산제의 연원에 대해서 알고 있는 제보자를 만날 수 없어 연원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가 없다. 신체로는 나무 두 그루가 있었으나, 뒷당산이라 일컫...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은리는 자연마을인 덕은마을에서 유래되었으며, 덕은마을의 지명에 관하여, 김명기(金命紀)가 지은 『운계집(雲溪集)』에 “덕은동은 방장산[지리산] 남쪽이며, 작은 산으로 가려진 땅이다. ……덕은동은 본시 도탄인데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1450~1504] 선생이 거처하여 그 유덕이 갈무리되어 있는 곳이라 하여 덕이 숨은 곳, 덕은(德隱)...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정여창의 사당. 덕은사(德隱祠)는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1450~1504]이 학문을 연구하고 후진을 가르치던 악양정(岳陽亭) 뒤편에 있다.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 상덕마을 중앙로를 오르면 악양정 뒤편에 자리한 덕은사에 이르게 된다. 1490년(성종 21)에 지은 악양정보다도 먼저 건립되었다. 그러나 언제인지 모르게 없어졌다가 1...
-
1487년 추강 남효온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를 보고 지은 한시. 「독쌍계사비(讀雙磎寺碑)」는 남효온(南孝溫)[1454~1492]의 『추강집(秋江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남효온은 1487년(성종 18) 9월 27일부터 10월 13일까지 약 보름 동안 지리산[1,915m]을 두루 유람하였다. 10월 9일 전라남도 구례를 떠나 경상남도 화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용강리 일원에 서식하는 되샛과에 속하는 겨울 철새. 몸길이는 약 15~16㎝로 작다. 머리 부분은 짙은 검은색, 목 뒷덜미는 흰색, 등의 앞부분과 중간은 회색, 등의 뒷부분은 검은색, 가슴은 갈색빛을 띤 검은색, 허리 중간 부분과 배는 흰색이다. 허리의 양옆은 흰색, 어깨 깃은 갈색, 턱 밑에서 가슴 사이는 붉은빛을 띤 갈색, 아래 꼬리를 덮는 깃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조선 시대 선비들의 하동 유람록에 자주 등장하는 바위. 조선 시대 선비들이 청학동이라 일컬었던 하동 쌍계사(雙磎寺)와 불일암(佛日庵) 사이에는 수많은 유적이 존재한다. 불일폭포, 완폭대(翫瀑臺), 불일평전, 환학대(喚鶴臺) 등이 있으며, 마족암(馬足巖)도 그중 하나이다. 마족암은 청학동에 깃들어 살던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다원. 명원다원은 명원문화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다원이다. 명원문화재단은 쌍용그룹 창업주인 고 김성곤 회장의 부인인 명원 김미희가 1995년 설립한 재단으로 한국 차 문화의 정립·보급과 함께 역사적 재해석과 발굴에 주력하여 한국의 차 문화가 세계 차 문화의 중심국이 될 수 있도록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명원문화재단은 차 문화 보급을 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부춘리에 있는 하동녹차 연구 사업단. 명품하동녹차사업단은 하동의 특산물 녹차의 명품화를 위한 아젠다로, 2008년 지식경제부의 지역 연고 산업 육성 사업[RIS:Regional Innovation System]으로 선정되었다. 문화와 과학이 공존하는 명품 하동녹차 산업을 육성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명품하동녹차사업단은 2008년 6...
-
경상남도 하동군으로 이주한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백운룡(白雲龍)은 1925년 2월 28일 평안북도 신의주 신의주시 미륵동 151번지에서 태어났다. 1943년 일제의 징병령이 강화될 즈음 만주로 피신했다가 같은 해 11월 산동성 청도 지구의 적지구공작대(敵地區工作隊)에 입대하여 적지구 특파 공작대원으로 광복군의 징모(徵募) 공작을 전개하였다. 1944년 1월 광복군 소속인 윤창호...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범왕리(凡旺里)는 자연마을인 범왕(梵旺)에서 유래되어 음차한 이름이다. ‘범왕’이라는 명칭은 지난 날 마을에 있던 범왕사(梵王寺)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여겨진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범왕동(凡旺洞), 신흥동(新興洞), 호동(虎洞), 화천동(花川洞), 목통동(木桶洞), 사시동(獅嘶洞)이 통합되어 화개면 범왕리가 되었다. 지리산 통꼭봉...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와 함양군 마천면을 연결하는 고개. 벽소령은 달밤이면 푸른 숲 위로 떠오르는 달빛이 매우 희고 맑아서 오히려 푸르게 보이므로 ‘벽소한월(碧宵寒月)’이라 한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벽소령의 달 풍경을 일컫는 벽소명월(碧霄明月)은 지리산 십경 중 제4경이다. 밀림과 고사목 위로 떠오르는 달은 천추의 한을 머금은 듯 차갑도록 시리고 푸르다. 지리산은 동서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절터. 봉상사지 일대에 탑[탑리 삼층석탑]이 있어 마을 이름이 탑리로 불리게 되었다 한다. 탑의 기단부[받침 부분]는 단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3층으로 된 탑신부[몸체 부분]는 통일 신라 시대의 일반적인 석탑 양식을 보인다. 몸체를 받쳐주는 괴임은 1층에만 2단으로 만들어, 1층이 2, 3층에 비해 훨씬 높은 편이다. 탑은 전체적으로 조각 수법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부춘리 지명은 부춘마을에서 연유하였다. ‘부춘’은 고려 시대 원강사(元崗寺)라는 절이 있어 부처골, 고려 시대 한유한(韓惟漢)이 은거한 마을이어서 불출동(不出洞), 성제봉[일명 형제봉] 아래 산허리에 붙어 있는 마을이어서 부치동이라 한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는 세 가지 설이 전해 온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부춘동(富春洞), 신기동(...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서 보설루 현판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에 탄 동국제일선원」은 나그네가 칠불사의 정문에 있는 보설루에 ‘동국제일선원(東國第一禪院)’이라는 글자 때문에 불이 난다고 알려 주어서 국(國), 제(第), 선(禪), 원(院)자에서 한 획씩을 빼어 불[火]을 없애려고 했으나 그 기운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 풍수담이자 파자담(破子談)이다. 이를 「동...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폭포. 조계종의 창시자인 보조국사 지눌이 입적하자 고려 21대 왕 희종(熙宗)이 지눌이 머물던 암자에 ‘불일(佛日)’이라는 시호를 내려 암자 이름을 불일암(佛日庵)이라 하였는데, 그 가까이 있는 폭포이므로 불일폭포라 하였다. 불일폭포는 지리산 남쪽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화개천 계곡 상류에 있는 폭포로 높이는 약 60m에 이른다. 이 지역은 높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사찰. 지리산 10경 중의 하나인 불일폭포 위에 있는 불일암(佛日庵)은 신라 시대 진감국사(眞鑑國師)가 창건하였다. 고려 시대 때 이곳에서 수도한 목우자(牧牛子) 지눌(知訥)의 호가 불일보조(佛日普照)이기 때문에 암자의 이름을 ‘불일암’이라고 지었다고 전한다. 「불일암기」에 “쌍계사에서 10리 남짓한 곳에 있으며, 고려 중기에 국사였던 목우자의...
-
조선 전기 서산대사 휴정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불일암에서 지은 한시. 「불일암(佛日庵)」은 『청허당대사집(淸虛堂大師集)』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불일암(佛日庵)은 쌍계사(雙溪寺)에 소속된 암자로 예로부터 선승들이 즐겨 찾던 곳이다.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休靜)[1520~1604]이 지리산[1,915m]에 주석할 때 불일암에서 참선하면서 지은 시로, 선정에 든...
-
조선 후기 어우당 유몽인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불일암을 유람하면서 지은 한시. 「불일암(佛日菴)」은 유몽인(柳夢寅)[1559~1623]의 시문집 『어우집(於于集)』 후집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유몽인은 남원부사로 재직하던 1611년(광해군 3) 3월 29일부터 4월 8일까지 지리산[1,915m]을 유람하고 「유두류산록(遊頭流山錄)」을 남겼다. 전라북도 남원에서 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불일폭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일폭포 용추의 쌀바위」는 불일암(佛日庵)에서 수도하던 스님이 바위에서 나오는 쌀을 발견하게 되고, 빨리 부자가 될 욕심에 구멍을 인위적으로 넓혀 다시는 쌀이 나오지 않았다는 허욕담이다. 이를 「용추 쌀바위」, 「용추 쌀바위 전설」 등이라고도 한다. 1986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서 불일폭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라진 청학동에 생긴 불일폭포」는 청학이 없어지자 용추에서 살던 용이 승천하며 발생한 산을 가르는 산사태 때문에 새로운 물줄기가 골짝을 더욱 가파르게 파헤쳐서 청학동은 험한 바위들만 남아 골산이 되었고, 시내는 지금 같은 큰 규모의 불일폭포가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예부터 청학동 하면 열에 아홉은 화개동을 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암자. 본래 사시(獅嘶)는 지리산 사자봉 아래 있는 절터였다. 사자가 포효한다고 해서 이곳의 이름을 ‘사시’라고 불렀다고 한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승려가 이 절터에서 공부를 하면 부처가 사자후(獅子吼)를 하듯이 설법을 자유자재로 하였다고 한다. 한편 본래 암자였던 이곳에 절이 폐사되자 사람들이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는데, 이곳에서 공...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함양군 마천면,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삼각고지는 3개도에 걸쳐 있는 산으로써, 북서쪽으로는 뱀사골, 북동쪽으로는 백무동 계곡, 남쪽으로는 지리산 불교문화의 요람인 화개천 계곡·대성계곡·의신계곡을 모두 조망할 수 있는 산이다. 삼도봉에서 삼각고지, 영신봉에 이르는 지리산 주능선은 혼성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표 1m 안팎까지 풍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부터 지리산을 삼신산이라 일컬었는데, 마을 뒤로 멀리 지리산 삼신봉과 봉래봉이 있으며, 삼신사(三神寺)라는 절이 있었으므로 삼신리라 하였다. 삼신리는 1632년(인조 10) 편찬된 『진양지(晉陽誌)』에 황전촌(黃田村)으로 기록된 유서 깊은 마을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삼신동·법하동(法下洞)·침점동(針店洞)이 통합되어 삼신리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석문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문마을 당산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에 운수리 석문마을의 ‘아랫당산’과 ‘윗당산’에서 마을의 무탈함을 빌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석문마을은 신라 천년 고찰 쌍계사 인근에 위치한 마을이다. 마을 아래쪽에 우리나라 최초의 차 시배지가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따르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있는 계곡. 지리산이 갖는 특성 가운데 하나는 신선설과 이상향에 대한 인간의 갈망이 곳곳에 배어 있다는 점이다. 지리산에서 유독 신선과 이상향의 전설이 많이 전해져 오는 골짜기는 단연 화개천 언저리이다. 특히 화개천의 선유동 계곡과 신흥마을이 그러하다. 신흥마을은 최치원(崔致遠)이 삼신동(三神洞)으로 이름을 지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선유동(仙遊洞...
-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금성면을 지나 광양만으로 흘러드는 하천. 섬진강은 총 길이 212.3㎞, 유역 면적 4,896.5㎢로 남한에서는 한강, 낙동강, 금강에 이어 네 번째로 긴 강이다. 국가 하천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하동군 내 섬진강의 시점은 화개면 탑리, 종점은 금성면 갈사리이다. 섬진강은 노령산맥 동쪽 비탈면과 소백산맥 서쪽 비탈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신흥마을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수중 자연 암반 비석. 세이암(洗耳嵒)은 신라 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이 쓰고 새겼다고 하는 수중 자연 비석이다. 수중 비석 말고도 바로 그 건너편 절벽에 각자된 것도 있다. 세이암 석각이라 하면 수중 석각이 원 석각이고, 절벽 석각은 후세 사람이 새겼으리라 추측된다. 그러나 원 석각도 최치원이 새겼...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신흥리에서 세이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세이암 전설」은, 하동군 화개면 신흥리의 의신 쪽에서 흘러오는 냇물을 따라가면 절벽에 ‘세이암(洗耳岩)’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신라 말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여기서 귀를 씻고 신선이 되어 지리산으로 입산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86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한 『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서 칠불사 부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년부도 이야기」는 칠불사 중건 공사에 희생된 소년 승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칠불사 탑에 푸른 이끼가 돋았다는 부도유래담이다. 이를 「중창불사와 소년스님」이라고도 한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고, 2002년 화개면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화개면지』에는 「중...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의 하동 전통 수제 녹차 제조 명인. 전통식품의 명인 제도는 조상으로부터 전해내려 오는 고유한 조리·가공 방법을 원형대로 보존하여 전통 식품의 맛과 향·색깔 등을 그대로 실현할 수 있는 자를 보호·육성하기 위해 1994년부터 운영되어 오고 있다. 농림식품부는 1999년 5월 15일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거주하는 박수근(朴秀根)을 국내 최초로 전통 수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신흥마을에 있는 절터. 신흥사지는 지리산 화개동천의 중심에 위치하여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 신흥사는 풍수지리상 금계포란형(金鷄包卵形)의 형국으로 쌍계사와 함께 지리산 남쪽에서 번창했던 사찰이었다. 서산대사는 ‘하늘이 숨겨둔 아름다운 곳, 신선의 땅’이라 극찬하였으며, 많은 선승들이 머문 곳이기도 하다. 고려 시대에 벼슬을 버리고 지리산에 숨어 든 선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최치원의 글씨. 쌍계사 석문(雙磎寺石門)은 문창후(文昌候) 최치원(崔致遠)[857~?]의 친필로 전하는 ‘쌍계석문(雙磎石門)’ 4자를 말한다. 쌍계사(雙磎寺)는 723년(성덕왕 23) 의상(義湘)[625~702]의 제자인 삼법(三法)이 창건한 절이라고 한다. 절 이름은 절 문 앞으로 흐르는 쌍계에서 비롯하였으며, 이로부터 쌍계사...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기초와 기본을 갖춘 실력 있는 어린이, 사고가 깊으며 창의적인 어린이, 예의범절을 중히 여기고 덕성을 갖춘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하고 깨끗한 어린이로 육성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63년 10월 설립 인가를 받아 1964년 9월 5일 쌍계국민학교로 개교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삼세불탱.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탱」은 하동쌍계사 대웅전[보물 제500호]에 봉안되어 있다.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2003년 2월 3일 보물 제1364호로 지정되었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약사불도, 오른쪽에 아미타불도를 배치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에 소장된 조선 후기 고문서. 쌍계사(雙磎寺) 소장 고문서로는 「사천왕복장문(四天王腹藏文)」·「운흥사개금겸사적록(雲興寺改金兼事蹟錄)」·「임진전망축원유전(壬辰戰亡祝願遺傳)」 등이 있다. 「사천왕 복장문」은 사천왕상의 복장문(腹藏文)으로, 대부분 초서로 되어 있으며 글의 뜻을 잘 알 수 없다. 「운흥사개금겸사적록」은 1740년 4월에 쓴 「불...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영산회상도. 영산회상도란 석가여래가 영취산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법한 모임을 도상(圖像)으로 묘사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는 1687년(숙종 13)에 제작되었으며, 1987년 7월 16일 보물 제925호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을 한 것으로, 길이 410㎝, 폭 273㎝의 크기이다. 석가여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팔상전 팔상탱. 팔상도란 석가모니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압축하여 묘사한 것이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팔상전 팔상탱」은 1728년(영조 4) 일선(一禪), 후경(後鏡), 명정(明淨), 최우(最祐), 원민(元敏), 처영(處英), 신영(信...
-
1618년경 현곡 조위한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를 보고 지은 차운시. 「쌍계사차기암운(雙磎寺次畸庵韻)」는 조위한(趙緯韓)[1567~1649]의 시문집 『현곡집(玄谷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조위한은 1618년(광해군 10) 4월 11일부터 4월 17일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 방면을 유람하고 「유두류산록(遊...
-
1490년경 유호인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정여창의 은거지 악양정을 두고 읊은 차운시. 「악양정(岳陽亭)」은 유호인(兪好仁)[1445~1494]의 『뇌계집(㵢溪集)』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정여창(鄭汝昌)[1450~1504]의 『일두집(一蠹集)』 권3의 시장(詩章)에 수록되어 전한다. 「악양정」의 서문을 보면, 정여창이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근무할 때 함께 세자...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양봉원(梁鳳源)은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의 장날에 쌍계사 승려 김주석(金周錫), 학생 정상근(鄭湘根) 등과 함께 화개장터에서 만세 시위를 하기로 결의하였다. 4월 6일, 양봉원 등은 준비한 태극기를 장터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화개면 주민과 전라도·충청도 상인 등 400여 명과...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계곡. 화개장터에서 화개천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신흥마을이 나오고, 여기서 칠불사 방향으로 약 3㎞ 포장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지리산의 전형적인 산간 마을인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목통마을이다. 연동계곡은 목통마을 앞으로 약 1km 정도 길게 뻗어 있다. 연동계곡은 골짜기 안에 이전에 화전민 마을인 연동이 있었던 곳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용강리에 있는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소속 교회. 영남순복음교회는 1972년 7월 신종순 전도사가 쌍계사, 칠불사 등 1,600여 년 된 고찰로 인하여 기독교 복음의 불모지였던 곳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74년 10월 김재봉 목사가 부임하였고, 1977년 1월 홍장표 목사가 부임하였으며 1978년 3월에는 백종우 목사가 부임하였다. 경상남도 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함양군 마천면, 산청군 시천면에 걸쳐 있는 산. 지리산 영신봉은 높이 1,651.9m로 백두대간 낙남정맥의 출발점이다. 서쪽으로 칠선봉[1,576m]·삼각고지[1,470m], 동쪽으로 촛대봉[1,703.7m]·천왕봉[1,915m], 남쪽으로 삼신봉[1,284m]과 이어지는 주요 능선들이 영신봉에서 갈라지며, 남쪽 비탈면에 산청군 시천면 거림골, 하동군 화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던, 조선 시대 선비들의 하동 유람록에 자주 등장하는 바위. ‘완폭대(翫瀑臺)’의 ‘폭’은 불일폭포를 말하는 것으로, ‘불일폭포를 완상하며 노니는 바위’라는 뜻이다. 완폭대는 불일암(佛日庵) 바로 앞에 있던 바위로, 불일폭포와 청학동 경관을 조망하기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던 곳이다. 청학동을 유람하던 선비들이 유람록에서 자주 언급함으로써 더욱 알려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옛날 쌍계사 연못에 불기운이 비치면 건너편 산에 구름이 일고 비가 내리곤 하였는데, 쌍계사 승려들이 구름이 항상 서리어 있는 건너편 산등성이에 용이 산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용강(龍岡)이라 하였다. 1632년(인조 10) 편찬된 『진양지(晉陽誌)』에 용강리가 화개현 옛터로 기록된 것으로 미루어 조선 중기까지 화개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용강리의 하동 우전차 제조 명인. 우전차는 곡우(穀雨)[4월 20일] 전에 처음 피는 차의 어린 눈과 잎으로 만든 차를 말하는데, 맛과 향이 뛰어나다. 경상남도 하동군의 우전차 명인으로는 2006년 농림부로부터 대한민국 식품명인 28호로 지정을 받은 김동곤이 있다. 김동곤 명인은 손자까지 포함해 12대째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서 살고 있는 하동 토박이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수리의 명칭은 쌍계사의 동쪽에 있는 운수동(雲樹洞)에서 유래하여 음차된 것이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운수동·신촌동(新村洞)·석문동(石門洞)·목압동(木鴨洞)·맥전동(麥田洞)이 통합되어 화개면 운수리가 되었다. 1632년(인조 10) 편찬된 『진양지(晉陽誌)』에 화개의 열 개 마을 중 지금의 운수리에 속한 곳이 쌍계촌[지금의 석문]...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수령 약 600년의 보호수. 은행나무는 흔히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중국에서 불교와 유교가 전해져 올 때 들어 왔다고 전해진다.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암수 딴 몸이다. 높이 20~30m에 이르며, 5월경에 지름 3㎜ 내외의 아주 작은 꽃이 피므로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수꽃은 1~5개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있는 계곡. 화개장터에서 지방 도로를 따라 12㎞ 정도 올라가면 50가구가 사는 의신마을에 이른다. 의신계곡은 이 마을 앞에 있다. 의신계곡은 예전 의신사(義神寺)라는 절이 있어 붙인 이름이다. 김일손(金馹孫)[1464~1498]이 정여창(鄭汝昌)[1450~1504]과 함께 지리산을 다니며 쓴 「속두류록(續頭流錄)」에 다음과 같은 글이 전한다. “의...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기종(李起淙)으로도 불리는 이강률(李康律)은 1902년(고종 39) 1월 6일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 111번지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6일 하동군 화개면 장날, 쌍계사 승려 김주석(金周錫)과 학생 정상근(鄭湘根)·양봉원(梁奉源) 등의 주도로 전개된 만세 시위에 이정수(李汀秀)·이정철(李正哲)·임만규(林萬圭) 등과 함께 참가하였다...
-
의신마을은 지리산 화개동 골짜기 상류에 둥지처럼 에워싸인 아늑한 산간 분지에 터를 잡고 있는 마을이다. 행정 구역으로는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의 자연 마을에 속한다. 대성리에는 의신마을을 포함하여 단천·덕평동·기수곡·평지촌·빗점·삼점·사리암·고사암·송대 등의 자연 마을이 있었지만, 현재는 의신마을과 단천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의신’이라는 마을의 한글 이름은 이 마을에 조선 전기까지...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정수(李汀秀)는 1888년(고종 25) 9월 3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정금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6일 하동군 화개면 장날, 쌍계사 승려 김주석(金周錫), 학생 정상근(鄭湘根)·양봉원(梁奉源) 등의 주도로 전개된 만세 시위에 이정수는 이강률(李康律)·이정철(李正哲)·임만규(林萬圭) 등과 함께 참가하였다. 이날 화개면 주민과...
-
일제 강점기 하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임봉규(林奉圭)로도 불리던 임만규(林萬圭)의 본관은 나주(羅州)로, 1893년(고종 30) 1월 10일 지금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정금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4월 6일 하동군 화개면 장날, 쌍계사 승려 김주석(金周錫), 학생 정상근(鄭湘根)·양봉원(梁奉源) 등의 주도로 전개된 1차 만세 시위에 임만규는 이강률(李康律)·이정수(李汀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정금리는 자연마을인 정금에서 유래되었다. 마을 지형이 풍수지리상 옥녀가 가야금을 타는 형국이어서 탄금(彈琴)이라 하였는데 언제부터인지 정금(停琴)으로 바뀌고 다시 정금(井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정금동·대비동(大比洞)·중촌동(中村洞)·도심동(道心洞)이 통합되어 화개면 정금리가 되었다. 정금·대비·도심·중촌·회강 등의 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의 죽로차 제조 대한민국 식품명인. 정부에서는 1994년부터 운영되어 오는 「농산물 가공 산업 육성법」에 의해 전통식품의 우수 제조 기능 보유를 가진 사람들에게 대한민국 식품명인 칭호를 주고 있다.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 원탑마을의 홍소술은 2007년 농림부가 선정한 차 분야 대한민국 식품명인으로 선정되었다. 홍소술 명인은 1958년부터 50여 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기도원. 지리산기도원은 1983년 홍정순 원장을 중심으로 한 목요회 회원 25명을 주축으로 조국을 위한 순수 기도원으로 개설되었다. 1984년까지 김광배 집사가 관리하였고 1985년부터 안규순 권사, 김중건 장로, 김응순 장로가 중심이 되어 관리하였다. 1990년 1월 29일 김정훈 전도사와 최영자 권사 부부가 미국 시애틀에 선교사로 가게 되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전통 사찰. 신라 시대 의상(義湘) 대사의 제자인 승려 삼법(三法)은 대비(大悲)·선백과 함께 당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정상(頂相)[머리뼈]을 모시고 신라로 돌아와서, 봉안한 뒤 조그만 암자를 세우고 정진하다가 입적(入寂)하였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폐사되었는데, 그 뒤에 진감 선사(眞鑑國師) 혜소(慧昭)...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에 있는 역사관. 지리산 일대 화전민의 생활상 및 지리산을 근거지로 활동했던 빨치산의 루트와 국군 토벌대의 활동 등의 자료 전시를 통하여 역사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지리산 역사관을 건립하였다. 2000년 10월 사업비 2억여 원을 투입하여 대지 면적 4,311㎡에 연면적 149㎡의 지상 1층 건물을 착공하여 2002년 10월 완공하였다. 전시 내용은 농...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 칠불사(七佛寺)는 지리산 반야봉(般若峰) 남쪽, 쌍계사 북쪽 30리에 있는 사찰이다. 언제 창건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가락국 수로왕의 일곱 왕자가 창건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1568년(선조 1) 부휴(浮休) 선사가 중창하였고, 1830년(순조 30) 금담(金潭)과 그 제자 대은(大隱)이 중창하였다. 1948년 여수·순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칠불사에 부속된 연못. 칠불사(七佛寺)는 약 1세기경 가락국의 시조 김수로왕(金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칠불사에서 수도한 지 2년 만에 성불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김수로왕과 허황후는 일곱 아들이 수도하여 성불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보고 싶은 마음에 칠불사를 찾아가 만나기를 청하였다. 그러나 불법이 심하여 사찰 안으로 들어가지도 못할 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서 칠불사 영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칠불사 영지에 비친 칠왕자」는 김수로왕과 허왕후가 출가한 일곱 아들을 만나러 왔다가 칠불사 입구에 있는 연못에 비친 얼굴만 보고 갔는데, 그 연못을 영지(影池)라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신흥마을에 있는 자연석 각자. 탁영대(濯纓臺)는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이 26살 되던 해 지리산[1,915m]을 둘러보고 신흥사 계곡[화개천] 바위에 새긴 글자이다. 김일손은 신흥사 계곡의 맑은 물을 보며, 자신의 몸과 마음을 맑게 하고 세상을 깨끗하게 하겠다는 의지를 다지려고 전서체로 ‘탁영대(濯纓臺)’ 세 글자를 새겼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인 원탑(元塔)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원탑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0호인 탑리 삼층석탑이 있어 탑몰[일명 탑말], 탑촌, 탑동으로 불리어 왔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탑촌동(塔村洞)과 가탄동(加灘洞)이 통합되어 화개면 탑리가 되었다. 화개천이 섬진강과 만나는 곳에 원탑마을이, 지리산 삼신봉에서 뻗어 나온 성제봉[일명 형...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녹차 재배 및 가공 단체 협의회. 하동녹차발전협의회는 하동차영농조합법인을 바탕으로 명품 하동녹차를 만들고 홍보하며 천년 역사를 가진 하동녹차의 전통을 이어갈 공동 브랜드 개발과 차 문화 육성 및 교육 연구 개발을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이다. 하동군의 녹차 생산 및 제다업체 등 녹차 관련 주체들이 하동녹차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부춘리에 있는 녹차 전문 연구소. 하동녹차연구소는 녹차의 과학적 연구를 통한 인적 물적 인프라의 구축과 함께 식·의약품 및 기능성 소재 개발 등 혁신적 기술 개발을 수행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고, 나아가 하동을 녹차 산업의 메카로 부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9월 9일 하동녹차연구소 설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였고, 12월 20일 하동녹차연구소...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보호수. 푸조나무는 곰병나무·팽목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만, 일본, 중국의 따뜻한 지역에 서식하는 난대성 수종이다. 느릅나뭇과의 낙엽교목으로서 산기슭이나 계곡 주변에 주로 자란다. 푸조나무의 줄기는 곧지만 수관은 느티나무처럼 우산 모양으로 넓게 퍼진다. 나무의 껍질은 엷은 회색이며, 새 가지에 털이 나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감로왕도.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는 쌍계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감로왕도란 지옥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음식을 공양하는 의식 절차를 그린 불화를 말한다.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는 1728년 명정(明淨), 최우(最祐) 등이 그렸으며, 전체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는 2...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탱화. 「쌍계사 국사암 아미타후불탱」은 아미타 후불탱화로,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당초 국사암 인법당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쌍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3년 4월 17일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386호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 대비화상과 삼법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쳤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선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었다. 쌍계사 금강문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 대비화상과 삼법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쳤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선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은 건물이다. 쌍계사 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때 조성한 것을 중건한 조선 후기의 건축물. 쌍계사 대웅전 영역의 중심 부분에 위치한다.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 대비 화상과 삼법 화상에 의해 처음 세워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처음에는 옥천사라 하였는데,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 하여 정강왕[?~887]이 쌍계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 뒤의 변동 내역은 알...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동종. 쌍계사 동종은 1641년(인조 19)에 제작된 것으로, 17세기 전반 경상도 지역의 범종의 유형뿐만 아니라 당시에 활동한 유파를 파악할 수 있다는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3월 5일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479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다 문화재청이 추진하고 있는 불교 문화재 일제 조사 사업[2002~2016]의 일환으...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고려 시대의 마애 석불. 쌍계사 경내에 있는 큰 암석의 한 면을 움푹 들어가게 파내고, 그 안에 여래형의 좌상을 두텁게 돋을새김한 고려 시대 마애불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감실(龕室) 안에 불상을 안치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 마애불은 감실 안에 봉안한 불상같이 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에 대비 화상과 삼법 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라 바꾸어 불렀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 대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었다. 쌍...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 사천왕상. 사천왕은 『불설장아함경(佛說長阿含經)』에 나타난 인도의 재래신이다. 수미산(須彌山)에 거주하면서 동서남북의 사천국을 다스리는 왕들인데, 동주 지국천왕, 서주 광목천왕, 남주 증장천왕, 북주 다문천왕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승 불교에서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수호하는 호법신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는 귀족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은 쌍계사 대웅전에 있는 나무로 만든 칠존불을 말한다. 삼세불좌상은 석가모니불과 아미타불 및 약사불이며, 사보살입상은 약사불과 아미타불 좌·우에 서 있는 네 구의 보살입상으로 일광(日光)·월광(月光)·관음(觀音)·세지(勢至)보살상으로 추정된다. 칠존불 가운데 아미타불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경의 책판. 쌍계사 소장 불경 책판은 쌍계사에 소장되어 있는 33종 1,743매의 불경 책판을 가리킨다. 1979년 12월 29일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185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 소장 불경 책판은 쌍계사의 말사인 능인암에서 간행하여 쌍계사로 옮겨온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쌍계사 본사에서 간행한 것과 승려 문집도 포...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삼장보살탱.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삼장보살탱」은 1781년(정조 5) 5월에 제작되었으며, 금어(金魚)[불화나 불상을 그리는 사람]로는 승윤(勝允), 만휘(萬輝), 홍원(泓源), 지순(智淳), 평삼(平三), 단해(端海), 승문(勝文),...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쌍계사의 석등. 사찰의 석등은 사원의 경내를 밝히기 위해 만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등의 구조는 부도의 구성 요소와 비슷하나 훨씬 단조로운 편으로, 기단부[상대석·중대석[간주(竿柱)]·하대석으로 구성]와 화사석(火舍石)[불을 켜는 부분], 옥개석(屋蓋石)[지붕돌], 상륜부(相輪部)[탑두부(塔頭部)라고도 하는 머리 장식]로 구성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지리산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건축물. 지리산 쌍계사는 722년(성덕왕 21)에 대비 화상과 삼법 화상이 세웠고,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바꾸어 불렀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소실된 것을 벽암 대사가 1632년(인조 10)경에 터를 옮겨 새로 지었다. 1...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화강석 승탑. 나말여초의 화강석 부도(浮屠)이다. 하동 쌍계사 승탑은 진감 선사(眞鑑禪師)의 사리탑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강석으로 된 높이 2.05m의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부도이다. 부도는 승탑(僧塔)이라고도 하며, 원래 불타(佛陀)와 같이 붓다에서 비롯되었으며, 승려의 묘탑(墓塔)을 말한다. 진감선사[774~850...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에 지어진 것을 중건한 조선 후기의 건축물. 쌍계사(雙磎寺)는 통일 신라 시대인 722년(성덕왕 21) 대비 화상(大悲和尙)과 삼법 화상(三法和尙)이 세운 사찰로,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定康王)[재위 886~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2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쳐 불렀다. 임진왜란 때...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쌍계사의 일주문. 쌍계사(雙磎寺)는 통일 신라 시대인 722년(성덕왕 21) 대비화상(大悲和尙)과 삼법화상(三法和尙)이 세운 사찰로,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定康王)[?~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두 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쳐 불렀다.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7번지 쌍계사 경내로 진입하는 입구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에 지어진 것을 중건한 조선 후기의 건축물. 쌍계사(雙磎寺)는 통일 신라 때인 722년(성덕왕 21) 대비 화상(大悲和尙)과 삼법 화상(三法和尙)이 세운 사찰로,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定康王)[재위 886~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2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쳐 불렀다. 임진왜란 때 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고승 진감선사(眞鑑禪師)의 탑비. 진감 선사는 774년(혜공왕 10)에 태어나 불법을 익혔으며, 804년(애장왕 5) 당나라에 들어가 창주(滄州)의 신감선사(神鑑禪師)에게 출가하였다. 10년 동안 당나라에서 공부한 뒤 830년(흥덕왕 5) 귀국하였다. 귀국 후에는 상주와 지리산에서 남종선과 범패 음악을 널리 전하여 신라는 물론...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진 것을 조선 후기에 중건한 건축물. 쌍계사(雙磎寺)는 통일 신라 때인 722년(성덕왕 21) 대비 화상(大悲和尙)과 삼법 화상(三法和尙)이 세운 사찰로,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定康王)[재위 886~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2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쳐 불렀다. 임진왜란 때 왜군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에 지은 것을 조선 후기와 근대에 중건한 건축물. 쌍계사(雙磎寺) 경내의 금당 영역에 위치한다. 청학루(靑鶴樓)는 통일 신라 시대 진감 선사(眞鑑禪師)가 처음 창건한 이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으로 여겨지는데, 중건을 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사찰에 전해지는 여러 기록을 보면, 1675년(숙종 1)에 인계 선사(印...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고려 시대에 지어진 것을 중건한 조선 후기의 건축물. 쌍계사(雙磎寺) 경내의 옛 금당 앞에 위치한다. 쌍계사 팔상전(雙磎寺八相殿)은 고려 때인 1290년(충렬왕 16) 진정국사(眞靜國師)가 처음 창건하여 1466년(세조 12) 선비 대사가 중수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으로 여겨지는데, 1678년(숙종 4)에 천봉 선사가 다시 중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신중탱.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은 「쌍계사 고법당 제석신중탱(雙磎寺 古法堂 帝釋神衆幀)」이라고도 한다. 1781년(정조 5)에 제작된 「쌍계사 국사암 신중도」를 모본(模本)으로 하여 1790년(정조 14) 4월에 제작되었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에 지은 것을 중창한 조선 후기의 건축물. 쌍계사(雙磎寺)는 통일 신라 때인 722년(성덕왕 21) 대비 화상(大悲和尙)과 삼법 화상(三法和尙)이 세운 사찰로, 처음에는 옥천사라 불렀다. 뒤에 정강왕(定康王)[재위 886~887]이 절 주변의 지형을 보고 2개의 계곡이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로 고쳐 불렀다. 쌍계사 내에 있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정자. 악양정(岳陽亭)은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1450~1504]이 18년간 은거하면서 학문을 강론하던 곳이다. 정여창은 1490년(성종 21)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고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 안음현감(安陰縣監) 등을 지내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종성(鍾城)에 유배되었으며, 1504년(연산...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서 매년 5월 차를 주제로 하여 개최되는 축제. 하동 야생차 문화 축제는 차의 역사와 전통의 맥을 이어 온 차 시배지 하동의 명성을 떨치고, 천혜의 자연 환경에서 재배한 야생차로 만든 전통 수제 녹차의 본고장임을 알리기 위해 1995년 5월부터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다채로운 차 문화 행사를 기획함으로써 일상생활 속의 차 문화를 내·외국인이 함께하는 지구촌 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야생차 산업 특구. 하동군은 녹차 재배에 유리한 기후 조건과 토질을 갖고 있는 녹차 시배지이면서 야생차의 고장이다. 녹차 재배 면적이 전국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6년 3월 8일 재정경제부로부터 하동야생차산업특구로 지정되었다. 하동군의 야생 녹차 이미지와 수작업을 통한 명차 이미지는 하동만이 가지는 장점이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칠불사에 있는 신라 시대 ‘아(亞)’자 방 터. 칠불사(七佛寺)가 처음 창건된 시기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 전설에 따르면, 1세기경 가락국 시조 김수로왕(金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외삼촌인 인도 승려 장유보옥선사(長有寶玉禪師)를 따라 칠불사에 와서, 수도한 지 2년 만에 모두 성불하여 ‘칠불사’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지리산[1,915m] 칠불사 경내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삼층 석탑. 석탑은 산스크리스트어 ‘스투파(stupa)’로서 부처의 묘탑(墓塔)을 의미하므로 불탑(佛塔)이라고도 한다. 이후 의미와 양식의 변화를 가져와 세존(世尊)을 기념하는 건조물로서 가람 배치 상의 한 요소로서의 성격을 갖게 된다. 이후 석탑은 가람의 장엄미를 위해서 더욱 세밀하고 아름다운 기법을 사용한 결과 여러 양식을...
-
쌍계사는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절이다. 840년 진감(眞鑑)이 중창한 선종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이다. 현재 남아 있는 쌍계사와 관련한 자료 중 신빙할 수 있는 최초의 기록은 ‘진감국사대공령탑비(眞鑑國師大空靈塔碑)’의 내용이다. 이 비문에 진감국사가 삼법(三法)이 머물던 터에 절과 육조영당(六祖影堂)을 세웠다는 기사가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정금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보호수. 지리산 일대는 차나무가 생장하기에 적합한 지역으로 야생 차나무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야생 차나무는 1960년대부터 새롭게 차밭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없어졌으나, 하동·구례 등지에는 아직도 야생 차나무가 많다. 하동군에서는 매년 5월 하동야생차문화축제를 열고 있다. 차나무는 20m 정도 까지 자라지만 대개 찻잎...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차 전시관. 경상남도 하동군 지리산 자락에 위치한 하동차문화센터는 하동 야생차의 홍보를 활성화하고 하동녹차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하여 차 시배지 및 쌍계사와 인접한 곳에 2005년 개관하였다. 2001년 국비 4억 5000만 원, 도비 3억 3500만 원, 군비 3억 2700만 원 등 총 11억 1200여만 원의 사업비로 건립되었다. 2007년...
-
1887년 매천 황현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를 유람하면서 읊은 한시. 「해조동석 유쌍계사 상국사암 위십일유기 선유연재기 왕석람사충 정다해규석 성남파혜영 추도공부(偕趙東石由雙溪寺上國師菴爲十日遊期宣悠然在箕王石藍師冲鄭茶海圭錫成南坡蕙永追到共賦)」는 황현(黃玹)[1855~1910]의 『매천집(梅泉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황현은 1887년(고종 24) 조동석과 함...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부춘리에 있는 패러글라이딩 활공장. 형제봉 활공장은 아름다운 경관을 만끽할 수 있는 산림 레포츠를 육성하고, 국내외 대회 개최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하동군에서 건립하였다. 지리산의 최남단 형제봉에 있으며, 섬진강 변에 위치한다. 활공장에서는 섬진강 변에 형성된 264만 4628㎡의 무듬이들과 섬진강, 평사리와 평사리공원 등 하동군 악양면 일대의 자연경관이 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삼신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화강교회는 1970년 1월 5일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용강리의 김사범 전도사가 기독교 불모지라 할 수 있는 지리산 쌍계사가 있는 지역에 기독교의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73년 2월 11일 예배 처소를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용강리 412번지 정순자의 집으로 정하였다. 1973년 5월 15일...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화개교회는 하동군 화개면 탑리 지역의 기독교 복음화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1928년 1월 25일 화개교회가 설립되었다. 1958년 5월 30일 차경호 장로 장립으로 당회를 조직하였다. 1972년 8월 4일 새 예배당을 신축하고 같은 해 12월 19일에 새 성전을 헌당하였으며 김용완, 이종근 장로를 장립하였다. 198...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화개농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의 농업 생산성을 제고하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를 확대하고 유통을 원활히 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농사 기술, 농사 자금, 농업 정보 등을 제공하여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1969년 12월 30일 4개 이동농업협동조합(里洞農業協同組合)을 합병하여 화개단위농...
-
조선 전기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일대에 설치된 특수 행정 구역. 부곡은 원래 전쟁 포로의 집단적 수용지이거나, 본래 군·현이었다고 하더라도 반역이나 적에 투항하는 등의 중대한 범죄를 저질렀을 때 군현의 격이 떨어져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신생 촌락처럼 지리적 조건이나 사회·경제적 여건이 열악하여 특수한 행정 구역으로 편성된 곳이기도 하다. 부곡은 신라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와 운수리를 연결하는 도로. 1931년 3월에 화개장터에서 쌍계사까지 이어지는 5㎞ 구간의 도로가 개통되자 하동군 유지들이 성금을 모아 도로 주변에 벚나무 1,200그루와 복숭아나무 200그루를 심어 붙인 이름이다. 화개면은 지리산과 경계를 이루는 하동군 내 최고의 산악지대로서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이다. 벚나무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온대지방에서 서식...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리랑 민요. 「화개 아리랑」은 하동군 화개면에서 부른 아리랑으로 뒷소리에 ‘아리랑’이 따라 붙은 가창 유희요이다. 아리랑은 남한·북한 각지와 만주 지방까지 퍼져 있는 한민족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아리랑으로는 「정선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밀양 아리랑」, 「진도 아리랑」 등이 있다. 「화개 아리랑」은 개화기 이후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재래시장. 화개장터는 옛 화개장 터에 현대에 들어와 복원한 재래식 시장이다. ‘화개시장’이라고도 부르지만 옛 명칭을 그대로 써서 ‘화개장터’로 부르는게 일반적이며, 공식 명칭 역시 ‘화개장터’이다. 화개장은 본래 화개천이 섬진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에 열리던 장으로, 섬진강의 ‘가항종점(可航終點)’ 즉 행상선(行商船) 돛단배가 들어올 수 있는 가장...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화개장터에서 일어난 3·1 운동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화개장터는 하동군의 3·1 운동이 격렬하게 일어난 현장이다. 1919년 4월 6일 쌍계사 승려와 학생 김주석(金周錫)·양봉원(梁鳳源)·정상근(鄭相根:丁湘根) 등이 앞장서고 애국 청년 이강률(李康律)·이정수(李汀秀)·임만규(林萬圭)·이정철(李正哲) 등이 동참하여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장꾼 3...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화개제일교회는 순교 정신의 신앙 노선을 지켜 내고자 고신 교단으로 교회를 설립하고, 이제까지 고신 정신을 이어가며 지역에 고신 정신의 뿌리를 내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1977년 8월 화개교회[통합특]에서 김용완 장로가 주축이 되어 신앙 노선 문제로 많은 갈등을 겪다가 도저히 일치점을 찾지 못하자 1979년 경 화개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삼신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미래를 준비하는 인재교육, 바른 품성과 꿈을 가꾸는 창의․인성교육, 건강과 안전을 함께 추구하는 교육 환경, 교육 공동체가 만족하는 학교교육을 통해 미래 사회를 주도할 바르고 창의적인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69년 11월 17일 악양중학교 화개분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0년 3월 20일 개교하였다. 1971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삼신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을 기르는 교육, 소질과 적성을 가꾸는 교육, 지식 정보화 사회를 이끄는 교육, 교육 공동체가 만족하는 교육을 통해서, 착한 마음으로 바른 생활을 실천하는 어린이[덕성인], 즐겁게 공부하며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자주인], 깊이 사고하며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튼튼한 몸과 국센 의지를 가진 건강한 어린이[건강인] 육...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분교장. 바른 품성을 가꾸는 교육, 소질과 적성을 살리는 교육, 지식 정보화 사회를 선도하는 교육, 교육 공동체가 함께하는 교육을 통하여, 착한 마음으로 바른 생활을 실천하는 어린이, 즐겁게 공부하며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깊이 사고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튼튼한 몸과 굳센 의지를 가진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화개동천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화개동천 이야기」는 신선이 사는 항아리 속 별천지라 하여 운수리 화개마을을 화개동천(花開洞天)이라 불렀고, 삼법화상이 눈 쌓인 계곡의 칡꽃이 핀 자리에 육조(六祖) 혜능(慧能)선사[638~713]의 정상(頂上)[머리]을 묻었다 하여 화개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화개의 지명유래」라고도 한다. 1...
-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행정 구역. 1425년(세종 7)에 편찬된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誌)』에 ‘화개곡사(花開谷司)’라는 명칭이 기록되어 있고, 1454년(단종 2) 편찬된 『고려사(高麗史)』「지리지」에는 화개부곡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 이 명칭이 조선 시대까지 이어져 오면서 화개현이라는 명칭도 생겨났다. 삼한 시대 변한(弁韓)의 낙노국(樂奴國)에 속하였고, 가야 시대에 가야...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화개면 복지회관은 지역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 증진과 여가 선용, 친목 도모에 기여하고, 지역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지역 주민 상호간의 연대감을 증진하고자 1993년 1월 1일에 설립되었다. 노인 회원들을 위한 성인 문해 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취미 교실로 댄스 스포츠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4층...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서 매년 4월 초 개최되는 벚꽃 축제. 화개장터는 8·15 해방 전까지 전국 5대 시장 가운데 하나였을 만큼 활발하였던 장으로, 지금도 전통 5일장의 맥을 이어 가고 있는 곳이다. 주변에 쌍계사(雙磎寺), 평사리 공원, 삼성궁, 청학동, 칠불사(七佛寺), 녹차 시배지, 화개계곡, 연동계곡 등의 관광지가 있다. 화개장터 벚꽃 축제는 영남과 호남의 접경 지역에...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매년 5월 김동리 소설 「역마」를 주제로 하여 개최되는 예술제. 김동리(金東里)[1913. 11. 24~1995. 6. 17]의 소설 「역마」는 주어진 운명을 거스르기보다는 운명을 천명으로 여기면서 삶에 순응해 가는 민중의 정서가 뚜렷이 반영된 소설이다. 배경 무대는 화개장터이며, 1948년 『백민(白民)』지에 발표되었다. 화개장터 역마 예술제는 2009년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영신봉에서 발원하여 탑리에서 섬진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진주목 산천(山川) 조에 “화개부곡에 있고 주(州)[진주]의 서쪽 136리에 있다. 발원지는 지리산의 남쪽 영신사가 있는 봉우리와 삼정동이다. 시내가 흘러 삼신동을 지나고 그 남쪽에서 청학동 물이 합하여 남으로 흘러 섬진강으로 흘러든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속수하동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와 대성리에 걸쳐 있는 계곡. 화개천 계곡은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머물렀던 쌍계사가 있어 예부터 선비들이 지리산을 방문할 때면 반드시 찾는 곳이었다. 조선 중기 양경우(梁慶遇)는 「바다를 따라 나있는 군현을 다 둘러보고서야 두류산에 들어가 쌍계사, 신흥사를 감상한 기행록(歷盡沿海郡縣仍入頭流賞雙溪神興紀行錄)」에서 “화개에 이르자 골짜기[섬진강] 입...
-
조선 후기 하동 화개현에 있던 정여창의 별장을 그린 그림. 「화개현 구 장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1450~1504]이 한동안 머물던 별장과 주변 형승(形勝)을 그린 그림이다. 정여창은 조선 전기 문신이자 성리학의 대가로서 1490년(성종 21)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設書), 안음현감(安陰縣監)을 지냈...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조선 시대 선비들의 하동 유람록에 자주 등장하는 바위. 하동 청학동 일대에는 통일 신라 시대 은자(隱者)인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의 일화가 많이 전해지고 있다. 쌍계사(雙磎寺) 경내에만 해도 최치원의 친필인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를 비롯하여, 사찰 입구에 있는 ‘쌍계석문(雙磎石門)’이라는 네 자의 석각...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삼신리에 있는 사찰. 회룡암이란 사찰명은 맥이 용트림을 치듯이 달려 내려와 그 기운이 돌면서 서린 곳이라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창건자 노연순이 직접 관세음보살의 계시를 받아 절터를 정했다 해서 기도에 대한 감응이 빠른 곳이라고 한다. 1923년에 세운 공덕비에 따르면 회룡암은 창건 공덕자인 노정의의 둘째 딸인 노연순이 직접 자리를 정하고 좌향(坐向)을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