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에서 양씨 노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2개의 관을 만들라는 양씨 노인의 유언」은 하동군 진교면 성평마을의 양장골[梁將谷]에 얽힌 실패한 영웅담이다. 양씨 노인이 나라를 위한 큰일을 하려고 12개의 관을 만들라고 유언을 했으나 후손이 11개밖에 만들지 못하였기에 마지막 관이 파헤쳐져 상처투성이의 동자장군이 때를 얻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는 비극적...
-
조선 전기 승려 유정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의 청학동 암자에서 선정에 들었을 때의 정서를 노래한 한시. 「청학동추좌(靑鶴洞秋坐)」는 사명대사(泗溟大師) 유정(惟政)[1544~1610]의 『사명당대사집(泗溟堂大師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청학동은 신선이 사는 물외의 세계로 티끌세상인 속세와 구별되는 공간이다. 사명대사 유정은 어느 초가을 날 이러한 선계의 절간에서 참선하며 그...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아이들이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유희요. 「각거리」는 예부터 아이들이 다리 세는 놀이를 할 때 즐겨 부르는 노래로 유희요이자 동요이다. 하동 지역의 「각거리」는 중부 지방이 중심이나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이거리저거리각거리」의 변이형이다. 이를 「언가(諺歌)」라고 일컫기도 한다. 하동의 「각거리」는 1862년 진주 농민 항쟁의 주도자 중 한 사람인 유계춘(柳繼...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각설이패가 부르던 유희요. 「각설이 타령」은 주로 각설이패들이 시장을 돌아다니며 동냥을 위해 흥겹게 불렀던 노래이다. 이를 「장타령(場打令)」, 「품바 타령」이라고도 한다. 대부분 노래 가사의 후렴구에 ‘품바’란 구절이 들어가 있다. 「각설이 타령」의 노랫말은 장풀이, 숫자풀이, 국문뒤풀이, 투전풀이, 화투뒤풀이 등을 들 수 있다. 하동에 전해 오는 「장타령...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에서 각시 굴방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각시 굴방우 이야기」는 청춘 남녀의 못 다한 사랑이 얽힌 원혼담이자 암석유래담이다. 이를 「각시 굴바위 이야기」, 「굴강과 각씨굴바구」 등이라고도 한다. 전설의 구체적 증거물로 굴방우가 남아 있다. 각시 굴방우는 각시 굴바구라고도 하는데, 굴방우는 굴바위의 사투리이다. 각시 굴방우는 갈사리 아랫목 바...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에서 각시 굴방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각시 굴방우 이야기」는 청춘 남녀의 못 다한 사랑이 얽힌 원혼담이자 암석유래담이다. 이를 「각시 굴바위 이야기」, 「굴강과 각씨굴바구」 등이라고도 한다. 전설의 구체적 증거물로 굴방우가 남아 있다. 각시 굴방우는 각시 굴바구라고도 하는데, 굴방우는 굴바위의 사투리이다. 각시 굴방우는 갈사리 아랫목 바...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갈미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갈미봉 설화」는 낙노국(樂奴國)의 도읍지였던 악양[옛 하동]의 땅을 넓히기 위하여 섬진강 물줄기를 돌리려 갈미봉을 옮기는 도중에 처녀에게 산이 움직이는 것을 들켜 그 자리에 서고 말았다는 풍수담이자 지형유래담이다. 2004년 악양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악양면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에서 웅덩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검은 점돌 웅덩이 이야기」는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 회목마을에 위치한 고촌(孤村) 삼가린(三家隣)이 살고 있는 곳[금성면 궁항리 산 10-2번지 일대]에서 전승되는 지명전설이다. 즉 어떤 사람이 소징골에서 노다지가 있어 금을 캐려고 했으나 검은 돌만 나와 화가 나서 아래로 던졌더니 웅덩이가 패여 소를 이루었...
-
조선 후기 김인섭이 한유한의 유적지인 경상남도 하동군의 삽암에서 읊은 한시. 「게삽암(憩鈒巖)」은 조선 후기의 학자 김인섭(金麟燮)[1827~1903]의 문집 『단계집(端磎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한유한(韓惟漢)은 고려 후기에 대비원녹사(大悲院錄事)에 임명되었으나 나라가 혼란스러워질 것을 알고서 가족을 이끌고 지리산[1,915m]에 은거하였던 인물이다. 김인섭은 지리산 유람...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고석배기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고석배기들 이야기」는 마을에 흉년이 자주 들어 원인을 찾던 중 노승이 일러준 대로 뒷산에 있는 외로이 박힌 돌[고석배기돌]을 들판에 묻고 재를 지낸 뒤 풍작을 이뤘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2년 적량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적량면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고석배기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고석배기들 이야기」는 마을에 흉년이 자주 들어 원인을 찾던 중 노승이 일러준 대로 뒷산에 있는 외로이 박힌 돌[고석배기돌]을 들판에 묻고 재를 지낸 뒤 풍작을 이뤘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2년 적량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적량면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유학자 최숙민이 하동 고소성에 올라 읊은 한시. 「고소성(姑蘇城)」은 최숙민(崔琡民)[1837~1905]의 문집 『계남집(溪南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최숙민이 해 질 녘 비오는 어느 봄날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의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에 올라, 고기잡이 나갔다가 떼 지어 돌아오는 섬진강의 배를 내려다보며 심회를 읊은 한시이다. 하동 고소성은 본래 전국...
-
개항기에 이교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하동 고소성에 올라 읊은 한시. 「등고소성(登姑蘇城)」은 조선 말의 문인 학자인 지재(止齋) 이교문(李敎文)[1878~1958]의 문집 『지재유고(止齋遺稿)』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교문이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서리 내리고 유난히 달 밝은 늦가을밤에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에 올라 그 고즈넉한 풍경을 읊은 것이다.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서 공옥산의 공옥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공옥대 세금 이야기」는, 하동군 옥종면 병천리 강변 송림(松林)에 공옥산(珙玉山)이 있는데 순천 관아에 공옥대(珙玉臺) 사용 대가로 세금을 내야 하는 부당함을 한 소년의 지혜로 해결하였다는 지략담이다. 이를 「동매 공옥대」라고도 한다. 1990년 하동군에서 발행한 『내 고장의 맥』의 217~220쪽에 실...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유학자 최숙민이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동정호를 바라보며 지은 한시. 「과동정호(過洞庭湖)」는 최숙민(崔琡民)[1837~1905]의 문집 『계남집(溪南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최숙민이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동정호 앞의 악양 들판, 그 곁의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을 보며 청운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여기저기 유람만 다니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한시이다....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서 징검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과부 사랑에 아들이 놓아준 징검다리」는 하동군 옥종면 도덕골에 사는 과부가 정부를 만나러 밤에 내를 건너는데 그 장면을 본 아들이 어머니 발이 시릴까봐 놓아준 징검다리를 효자도(孝子渡)라고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도둑골과 도덕천에 얽힌 과부 이야기」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
개항기에 정재규가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삽암에서 한유한을 생각하며 읊은 한시. 「과삽암감한록사제시(過鍤巖感韓錄事題詩)」는 조선 후기의 학자 정재규(鄭載圭)[1843~1911]의 문집 『노백헌집(老栢軒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합천군의 묵동에 살았던 정재규는 1887년(고종 24) 지리산[1,915m] 대원사(大源寺) 방면을 유람하고서 유람기인 「두류록(頭流錄)」을 남기는 등...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서 농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농바위 이야기」는 하동군 횡천면 횡천역 근처에 있는 농바위에 조선 시대 우국장군이 죽으면서 후일 훌륭한 장수가 나타나 바위를 열어 구국 제민할 것이라며 무기를 감추어 두었다는 암석유래담이다. 이를 「구국무기(救國武器)를 비장한 농바위」라고도 한다. 2003년 횡천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횡천면지』에 실려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구재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구재봉의 전설」은 고려 후기에 구자산(龜子山) 정상의 구재봉에 살던 정안(鄭晏)[?~1251] 장군의 동생 정희령 장군이 백마와 내기를 해서 백마가 화살보다 늦게 도착했다고 백마를 죽였는데 알고 보니 화살이 백마보다 더 늦게 도착하여 후회했다는 신이담이다. 2002년 적량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적량면지』에 실...
-
경상남도 하동군이 군민의 애향심을 높이기 위해 만든 노래. 「군민의 노래」는 1960년대에 김남순이 작곡하고 정원용이 작사하여 만든 곡으로, 힘 있고 활기차며 경쾌한 느낌의 노래이다. 작사자 정원용은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서 태어나 하동군에서 일생을 보냈다. 「군민의 노래」는 2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1절은 하동군 섬진강과 바다 등을, 2절은 지리산과 쌍계사 등을 소재로...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에서 각시 굴방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각시 굴방우 이야기」는 청춘 남녀의 못 다한 사랑이 얽힌 원혼담이자 암석유래담이다. 이를 「각시 굴바위 이야기」, 「굴강과 각씨굴바구」 등이라고도 한다. 전설의 구체적 증거물로 굴방우가 남아 있다. 각시 굴방우는 각시 굴바구라고도 하는데, 굴방우는 굴바위의 사투리이다. 각시 굴방우는 갈사리 아랫목 바...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금남면 상부 소리」는 장례식에서 상여가 나갈 때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상여꾼들의 노동요이다. 상여를 메고 가는 사람들이 부르는 노래를 「상여 소리」, 「상부 소리」, 「운상 소리」, 「만가」 등 여러 가지로 부르는데 하동군 금남면에서는 「만가」라고 한다. 하동 지역에서 불리는 「금남면의 상부 소리」인 「만가」...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과 진교면에서 금오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금오산에 별님과 달님의 사랑이야기」는 별님과 달님의 사랑을 질투하는 지신(地神)이 잡신을 시켜 별님을 해치자 달님도 별님을 따라 죽어 흘린 피가 붉은 철쭉이 되고 붉은 바위가 되었다는 식물유래담이자 암석유래담이다. 또한 지신이 별님을 도와주려는 산신령을 막기 위해 육지에 붙어 있는 남해를 섬으로 떼어 놓...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지례리에서 꽁매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꽁매의 전설」은 하동군 양보면 지례리 만지마을에서 포수들이 곱고 큰 장끼를 잡으려고 사냥매를 풀어놓았으나 사냥매가 오히려 장끼에게 당하고 말았기에 그 장소를 꿩과 매를 합쳐 꽁매라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나락을 타작하며 부르던 노동요. 「나락 타작 소리」는 논농사 일 가운데 벼를 추수할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태질 소리」라고도 한다. 태질은 개상에다 곡식 단을 메어쳐 곡식알을 떠는 일을 의미한다. 「나락 타작 소리」는 타작하는 과정을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 「태질 소리」, 「벼 디루는 소리」, 「말질하는 소리」 등 각각의 일에 따라 부르...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있는 칠불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나무말 타고 원님코를 납작하게 한 애기중」은 문수동자가 보이지는 않지만 상주하고 있다는 칠불사에 전해 오는 전설로서, 불교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던 하동 원님이 스님들을 시험했으나 문수보살이 현신한 애기중이 나무말을 타고 동헌을 돌아서 원님을 망신시켰다는 신이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봄철에 여성들이 나물을 캐며 부르는 노동요. 「나물 캐는 소리」는 여성들이 밭이나 언덕, 산에서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불렀던 채취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 지역의 「나물 캐는 소리」에는 나물 캘 때 부르는 소리와 고사리 꺾을 때 부르는 소리, 찻잎을 따면서 부르는 소리 등이 있다. 「나물 캐는 소리」는 노동의 행위를 묘사하거나 노동에서 탈피하고자...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봄철에 여성들이 나물을 캐며 부르는 노동요. 「나물 캐는 소리」는 여성들이 밭이나 언덕, 산에서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불렀던 채취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 지역의 「나물 캐는 소리」에는 나물 캘 때 부르는 소리와 고사리 꺾을 때 부르는 소리, 찻잎을 따면서 부르는 소리 등이 있다. 「나물 캐는 소리」는 노동의 행위를 묘사하거나 노동에서 탈피하고자...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봄철에 여성들이 나물을 캐며 부르는 노동요. 「나물 캐는 소리」는 여성들이 밭이나 언덕, 산에서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불렀던 채취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 지역의 「나물 캐는 소리」에는 나물 캘 때 부르는 소리와 고사리 꺾을 때 부르는 소리, 찻잎을 따면서 부르는 소리 등이 있다. 「나물 캐는 소리」는 노동의 행위를 묘사하거나 노동에서 탈피하고자...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에서 남사고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남사고의 삼우발복」은 조선 중기의 역술가로 유명한 남사고(南師古)[1509~1571]에 얽힌 풍수전설로서 하동읍 흥룡리 흥룡마을에서 머슴살이 삼십 년 만에 삼우 발복 할 자리에 어머니를 묻고 천석꾼 과부 부자(富者)와 혼인을 하여 부자가 되었다는 명당발복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1727년 춘주 김도수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남유기(南遊記)」는 김도수(金道洙)[1699~1733]의 『춘주유고(春洲遺稿)』 권2에 수록되어 있다. 김도수는 1727년(영조 3) 9월 12일부터 10월 5일까지 23일 동안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합천 해인사로 길을 잡아 그 일대를 두루 둘러보았다. 이어 충청도 화양동(華陽洞)에 들러...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지례리에서 소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 장수 이야기」는 자신에게 흑심을 품고 함께 소 장사를 나간 남편의 친구가 남편을 살해했다는 말을 들은 부인이 무덤을 찾아 시체를 수습한 뒤 남편의 친구를 칼로 찔러 죽여 복수를 하고 자신은 자결하였다는 정절담이다. 이를 「남편 원수 갚은 아내」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을 배경으로 작사하여 손현우가 부른 대중가요. 「내고향 하동포구」는 하동 출신의 시인 정두수가 하동에서 보낸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작사한 곡으로, 하동군의 매력을 한껏 표현하였다. 「내고향 하동포구」는 하동의 풍경을 느낄 수 있는 2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정을 두고 떠난 고향 80리 하동포구야/ 길을 가도 보이네요 백사청송 섬진강물/ 섬호정에 어린 시절 강가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출신의 작곡가 겸 가수인 이철민이 작사·작곡·노래한 대중가요. 「내고향 하동포구」는 이철민이 2009년 7월 3일 발매한 2집 앨범 『못 맺을 사랑』에 수록된 곡이다. 하동의 풍경을 느낄 수 있는 2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지리산 천황봉에 해가 뜨며는 섬진강물 흘러 흘러 바다로 가네/ 포구 따라 팔십 리 은빛모래 백사장 호령 치던 최참판 댁 서희는 간 곳 없고/...
-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 성천리에서 너본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너본바위 이야기」는, 고전면 성천리 남성(南城)마을 입구에 고인돌로 보이는 넓은 바위 두 개가 있는데, 도사가 제자에게 명지(名地)를 설명하며 너도 보았느냐고 묻자 보았다고 대답하여 ‘너본바위’라고 불렸다는 암석유래담이다. 2003년 고전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고전면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논갈이를 하며 부르는 노동요. 「논 가는 소리」는 봄에 모를 심기 전에 논에 물을 채우고 쟁기로 논을 갈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벼농사에서 가장 큰 일은 모내기인데, 그 전에 먼저 해놓아야 하는 일이 논갈이이다. 논갈이는 소에 쟁기를 메워 논을 갈아엎는 일이다. 하동의 「논 가는 소리」는 소와 사람의 호흡을 맞추기 위해 부르는 노래로, 사설은 소를 부리...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서 농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농바위 이야기」는 하동군 횡천면 횡천역 근처에 있는 농바위에 조선 시대 우국장군이 죽으면서 후일 훌륭한 장수가 나타나 바위를 열어 구국 제민할 것이라며 무기를 감추어 두었다는 암석유래담이다. 이를 「구국무기(救國武器)를 비장한 농바위」라고도 한다. 2003년 횡천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횡천면지』에 실려 있다....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어른이 어린아이를 돌보며 부르는 노동요. 「아이 어르는 소리」는 보채는 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육아 노동요이다. 어른들은 어린아이의 몸을 움직여 주거나 또는 무엇을 보여 주거나 들려주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기쁘게 하여 준다. 아이를 돌보는 것은 여성의 몫이었기 때문에 할머니나 어머니, 주로 부녀자들이 아이를 돌보며 불렀던 노래로 부요(婦謠)이기도...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과 진교면에서 금오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금오산에 별님과 달님의 사랑이야기」는 별님과 달님의 사랑을 질투하는 지신(地神)이 잡신을 시켜 별님을 해치자 달님도 별님을 따라 죽어 흘린 피가 붉은 철쭉이 되고 붉은 바위가 되었다는 식물유래담이자 암석유래담이다. 또한 지신이 별님을 도와주려는 산신령을 막기 위해 육지에 붙어 있는 남해를 섬으로 떼어 놓...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서 대금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대금들에 핀 애절한 사랑」은 대금을 잘 부는 경상도 사는 총각과 소리를 잘하는 전라도 처녀가 사랑하게 되어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 섬진강 변에 있는 들판에서 만나기로 하였으나 갑자기 쏟아진 폭우로 인하여 만나지 못하고 서로 마주 보면서 두 달 동안 대금과 춤으로 연정을 주고받았다는 비극적인 애정담이다. 또한...
-
3·1 운동 당시 경상남도 하동의 독립운동가들이 제작, 배포한 독립 선언서. 대한독립선언서는 일명 하동독립선언서라고도 불리는데, 하동 지역 인사 12명의 이름으로 작성되어 3·1 운동 당시 하동군 내에 배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전해 오는 것은 한 장뿐인데, 독립운동가 박치화(朴致和)가 살던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고택 처마 밑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 3·1 운동에 즈음하여...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계천리에서 도깨비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주교천의 도깨비보」는 옛날 진씨(陳氏) 어른이 눈이 덮인 벌판에 검은 선이 그어져 있는 꿈을 꾸고 등짐을 져서 돌을 날라 보를 축조했는데 아주 정확해서 도깨비가 쌓았다고 여긴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도깨비보」라고도 한다. 금남면의 주교천을 막아 사궁들에 물을 대는 사궁보(射弓洑)가 도깨비보이다. 이...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서 징검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과부 사랑에 아들이 놓아준 징검다리」는 하동군 옥종면 도덕골에 사는 과부가 정부를 만나러 밤에 내를 건너는데 그 장면을 본 아들이 어머니 발이 시릴까봐 놓아준 징검다리를 효자도(孝子渡)라고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도둑골과 도덕천에 얽힌 과부 이야기」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나락을 타작하며 부르던 노동요. 「나락 타작 소리」는 논농사 일 가운데 벼를 추수할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태질 소리」라고도 한다. 태질은 개상에다 곡식 단을 메어쳐 곡식알을 떠는 일을 의미한다. 「나락 타작 소리」는 타작하는 과정을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 「태질 소리」, 「벼 디루는 소리」, 「말질하는 소리」 등 각각의 일에 따라 부르...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보리를 베어 타작하며 부르는 노동요. 「보리타작 소리」는 여럿이 모여 도리깨로 보리를 타작하는 노동의 현장에서 부르던 농업 노동요이다. 이를 「보리타작 노래」, 「도리깨질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보리타작은 힘이 많이 드는 일이다. 또한 노동을 하는 사람들 간의 호흡도 정확하게 맞아야만 한다. 하동 지역은 논농사가 주 생업이었기 때문에 벼농사에 관한 민요 못...
-
조선 후기 문상해가 경상남도 하동군 지역을 유람하다가 악양에 도착하여 지은 한시. 「도악양(到岳陽)」은 창해(滄海) 문상해(文尙海)[1765~1835]의 『창해집(滄海集)』에 수록되어 있다. 문상해의 자는 성용(聖庸), 호는 창해,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18세기 말~19세기 초 진주 인근에 살았던 남명연원가(南冥淵源家)의 한 사람으로, 일생 출사하지 않고 재야 지식인으로서의 전...
-
1487년 추강 남효온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를 보고 지은 한시. 「독쌍계사비(讀雙磎寺碑)」는 남효온(南孝溫)[1454~1492]의 『추강집(秋江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남효온은 1487년(성종 18) 9월 27일부터 10월 13일까지 약 보름 동안 지리산[1,915m]을 두루 유람하였다. 10월 9일 전라남도 구례를 떠나 경상남도 화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서 보설루 현판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에 탄 동국제일선원」은 나그네가 칠불사의 정문에 있는 보설루에 ‘동국제일선원(東國第一禪院)’이라는 글자 때문에 불이 난다고 알려 주어서 국(國), 제(第), 선(禪), 원(院)자에서 한 획씩을 빼어 불[火]을 없애려고 했으나 그 기운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 풍수담이자 파자담(破子談)이다. 이를 「동...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서 공옥산의 공옥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공옥대 세금 이야기」는, 하동군 옥종면 병천리 강변 송림(松林)에 공옥산(珙玉山)이 있는데 순천 관아에 공옥대(珙玉臺) 사용 대가로 세금을 내야 하는 부당함을 한 소년의 지혜로 해결하였다는 지략담이다. 이를 「동매 공옥대」라고도 한다. 1990년 하동군에서 발행한 『내 고장의 맥』의 217~220쪽에 실...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동정호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동정호 금붕어와 혼인」은 하동군 악양면에 있는 동정호에서 전승되는 「우렁이 각시 민담」과 유사한 이야기이다. 용왕의 딸로서 벌을 받아 금붕어가 된 처녀와 혼인을 한 총각이 아내를 탐하는 원님과의 장기 내기에서 파리로 변신한 아내의 덕택으로 이겨서 행복하게 살았다는 동물담이면서 변신담이자 신이담이기도 한다. 200...
-
조선 후기 하동 출신의 유학자 최숙민이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동정호를 바라보며 지은 한시. 「과동정호(過洞庭湖)」는 최숙민(崔琡民)[1837~1905]의 문집 『계남집(溪南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최숙민이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동정호 앞의 악양 들판, 그 곁의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을 보며 청운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여기저기 유람만 다니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한시이다....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에서 섬진강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두꺼비와 처녀」는 두치강(豆恥江)에 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처녀가 두꺼비에게 밥을 주며 함께 살았는데, 어느 날 홍수가 나자 두꺼비가 처녀를 업어 살리고 죽었다는 처녀의 은혜를 베푼 이야기[施恩談]이자 두꺼비의 보은담이다. 또한 처녀가 두꺼비를 타고 도착한 나루를 섬진(蟾津)[두꺼비나루]이라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
-
1680년 범허정 송광연이 경상남도지리산 천왕봉과 하동군의 청학동을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두류기(頭流記)」는 송광연(宋光淵)[1638~1695]의 『범허정집(泛虛亭集)』 권7에 수록되어 있다. 송광연은 옥천군수(玉川郡守)로 재직하던 1680년(숙종 6) 윤8월 20일부터 27일까지 8일 동안 지리산[1,915m]을 유람하였다. 옥천은 전라북도 순창의 고호(古號)이다. 구체적인...
-
1651년 양곡 오두인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을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두류산기(頭流山記)」는 오두인(吳斗寅)[1624~1689]의 『양곡집(陽谷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오두인은 1651년(효종 2) 11월 1일부터 11월 6일까지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였는데, 「두류산기」는 이때 지은 것이다. 오두인의 자는 원징(元徵), 호는 양곡((陽谷), 본관은 해주(海州)...
-
1744년 이계 황도익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두류산유행록(頭流山遊行錄)」은 황도익(黃道翼)[1678~1753]의 『이계집(夷溪集)』 권13에 수록되어 있다. 황도익은 1744년(영조 20) 8월 27일부터 9월 9일까지 13일 동안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그 감상을 「두류산유행록」으로 기록하였다. 동행자는 황백후(黄伯厚), 이겸(李兼)...
-
1780년경 다산 정약용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의 두치진 시장 풍경을 읊은 한시. 「두치진(豆巵津)」은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시문집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제1집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정약용은 17살 때인 1778년(정조 2) 부친 정재원(丁載遠)이 화순현감(和順縣監)으로 나갔을 때 그곳으로 가 인근 동림사(東林寺)에서 글을 읽었다. 또 1780년(정조 4)...
-
개항기에 이교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 있는 하동 고소성에 올라 읊은 한시. 「등고소성(登姑蘇城)」은 조선 말의 문인 학자인 지재(止齋) 이교문(李敎文)[1878~1958]의 문집 『지재유고(止齋遺稿)』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교문이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서리 내리고 유난히 달 밝은 늦가을밤에 하동 고소성(河東姑蘇城)에 올라 그 고즈넉한 풍경을 읊은 것이다. 하동...
-
개항기에 이교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에 있던 봉황대를 찾아가 읊은 한시. 「등봉황대(登鳳凰臺)」는 조선 말의 문인 학자 지재(止齋) 이교문(李敎文)[1878~1958]의 문집 『지재유고(止齋遺稿)』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교문은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악양의 봉대리에 있었던 봉황대(鳳凰臺) 유허를 찾아갔는데, 봉황대는 보이지 않고 물가에 풀만 우거진 것을 보고서 그 아...
-
1558년경 구암 이정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불일암을 유람하고 지은 한시. 「등불일암전봉 부규용추학추(登佛日庵前峯 俯窺龍湫鶴湫)」는 이정(李楨)[1512~1571]의 『구암집(龜巖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제목을 풀이하면 「불일암 앞 봉우리에 올라 용추와 학추를 내려다봄」이다. 『구암집』 속집에는 같은 제목의 오언 율시 1수가 실려 있다. 이정은 남명(南冥) 조식(曺植)[1501...
-
조선 전기 유호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악양루에 올라 읊은 한시. 「등악양루(登岳陽樓)」는 조선 전기의 유학자 유호인(兪好仁)[1445~1494]의 문집 『뇌계집(㵢谿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유호인이 하동을 여행하면서 악양루(岳陽樓)에 올랐을 때, 악양루 앞에 있는 동정호(洞庭湖)와 군산(君山) 등을 바라보며 그 경치와 자신의 심회를 읊은 한시이다. 악양루는...
-
조선 후기 이현일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있는 악양루 유허와 동정호에서 읊은 한시. 「등악양루유허(登岳陽樓遺墟)」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학자인 이현일(李玄逸)[1627~1704]의 문집 『갈암집(葛庵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학통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다. 68세 때인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에 연루...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큰 나무를 나르면서 부르는 노동요. 「목도 소리」는 아주 무거운 물건을 두 사람 이상이 짝이 되어 공동으로 옳기면서 부르는 운반 노동요이다. 토목, 건축 등의 작업장에서도 무거운 돌이나 목재를 옮길 때에도 부른다. 이러한 일은 아무나 하기 어렵기 때문에 목도패와 같은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이들이 큰 목재나 비석 등의 무거운 물체를 운반할 때는 서로 손발을 맞...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떡국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떡국 가래 갈라지듯 갈라진 고개」는 어느 도사의 예언에 따라 재가 떡국 갈라지듯 갈라질 것이라는 말을 듣고 노모의 묘를 옮겼는데, 그 자리에 신작로가 생겨 재가 잘렸다는 풍수담이자 고개 유래담이다. 이를 「떡국재」라 일컫기도 한다. 2002년 적량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적량면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떡국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떡국 가래 갈라지듯 갈라진 고개」는 어느 도사의 예언에 따라 재가 떡국 갈라지듯 갈라질 것이라는 말을 듣고 노모의 묘를 옮겼는데, 그 자리에 신작로가 생겨 재가 잘렸다는 풍수담이자 고개 유래담이다. 이를 「떡국재」라 일컫기도 한다. 2002년 적량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적량면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에서 마고할매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리산신 마고할매」는 하동 고소성을 쌓다가 중단한 이야기, 남해 금산을 가면서 치마도 걷어 올리지 않고 노량 앞바다를 성큼성큼 건너갔다는 이야기 등 지리산 곳곳에서 전승되는 마고할매의 여성영웅담이자 신이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어른이 어린아이를 돌보며 부르는 노동요. 「아이 어르는 소리」는 보채는 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육아 노동요이다. 어른들은 어린아이의 몸을 움직여 주거나 또는 무엇을 보여 주거나 들려주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기쁘게 하여 준다. 아이를 돌보는 것은 여성의 몫이었기 때문에 할머니나 어머니, 주로 부녀자들이 아이를 돌보며 불렀던 노래로 부요(婦謠)이기도...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횡천면 상부 소리」는 횡천면의 상여꾼들이 상여를 운반하며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이를 횡천면에서는 「만가」라고 한다. 「횡천면 상부 소리」인 「만가」는 상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운반하는 과정까지의 노래가 전승되어 온다. 상여꾼들의 노동 진행 상황이 메기는 소리에 반영되어 있어 노동요적 성격도 지니고 있다....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금남면 상부 소리」는 장례식에서 상여가 나갈 때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상여꾼들의 노동요이다. 상여를 메고 가는 사람들이 부르는 노래를 「상여 소리」, 「상부 소리」, 「운상 소리」, 「만가」 등 여러 가지로 부르는데 하동군 금남면에서는 「만가」라고 한다. 하동 지역에서 불리는 「금남면의 상부 소리」인 「만가」...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에서 묏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만석꾼이 되는 묘자리, 와우안목설」은 가난한 장씨 부부가 폭설이 내린 3일 동안 단칸방을 내주고 자신들은 정작 부엌에서 지내는 것을 보고 도사가 은혜를 갚고자 당대에 만석을 누릴 와우안목설에 묏자리를 잡아 주어 부자가 되게 하였다는 명당발목담이다. 또한 홍수가 나서 묏자리에 돌을 박아 맥을 끊어 버리자 금세 파산...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에서 웅덩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검은 점돌 웅덩이 이야기」는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 회목마을에 위치한 고촌(孤村) 삼가린(三家隣)이 살고 있는 곳[금성면 궁항리 산 10-2번지 일대]에서 전승되는 지명전설이다. 즉 어떤 사람이 소징골에서 노다지가 있어 금을 캐려고 했으나 검은 돌만 나와 화가 나서 아래로 던졌더니 웅덩이가 패여 소를 이루었...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에서 기어 오는 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멈추어 버린 산」은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새터마을 뒷산 아래서 여인이 김을 매다가 산이 기어 오고 있는 것을 보고 소리를 치자 산이 우뚝 멈추었고, 그 뒤로 ‘멈추어 버린 산’이라고 불렀다는 산악유래담이다. 1992년 청암향토지발간추진회에서 발간한 『청암』에 실려 있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밭에서 김을 매며 부르는 노동요. 「밭매는 소리」는 부녀자들이 콩·팥·조 등을 심어 놓은 밭에서 밭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밭매기는 주로 여성들이 담당했던 일이다. 「밭매는 소리」는 창자(唱者)에 따라 구분하면 여성들이 부르는 부요(婦謠)이면서 기능상 농업 노동요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하동문화원에서 발간한 『하동의 민요』에는...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여성들이 잠을 쫓기 위해 부르는 노동요. 잠노래는 주로 밤을 새워 일을 할 때 시어머니 눈에 나지 않기 위해 잠을 쫓으며 부른 가사 부요(婦謠)이자 노동요이다. 하동에는 「며늘아기 자분다고」, 「잠노래」, 「잠아 오지마라」 등 세 편의 노래가 있는데 그 내용은 「시집살이요」와 비슷하다. 앞 소절에 “잠아 오지 마라”란 사설로 잠을 쫓고 있다. 다음 구절에는...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명월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보름날 다리 밑에서 아이를 낳게 한 명월다리」는 삼대독자와 혼인하여 3년이 되도록 자식이 없는 색시가 보름날 다리 밑에서 정성을 드리라는 스님의 권유에 따라 근신하고 정성을 드려 아이를 낳고 이름을 명월이라 하였으며, 그 다리를 명월다리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명월다리」라고도 한다. 2002년 적량...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이여송(李如松)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장 이여송과 성두마을」은 명나라 장수 이여송[1549~1598]이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의 산세가 훌륭한 장수가 태어날 것임을 알고 성두마을 산제봉(山祭峰) 산허리를 묵필로 자르니 장수가 청룡도를 짚고 무릎을 꿇어앉은 채 죽어 갔다는 풍수담이다. 또한 산허리 붉은 선혈이 황토수로 변하고 용마가 뛰쳐나와...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리에서 새비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천마을 새비골 유래」는 고려 초에 어느 길손이 하동군 적량면 동리 명천마을의 새비골[鰕谷]을 지나다가 이곳에 터를 잡으면 후손이 번창할 것이라는 스님과 동자의 이야기를 듣고 이곳에 터를 잡아 후손을 이었는데, 그곳이 하동 정씨(河東鄭氏)의 발원지가 되었다는 풍수담이자 성씨시조담이다. 이를 「새비골」이라고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모판에서 모를 쪄 묶어 내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 찌는 소리」는 모심기를 하기 위해 모판에서 모를 쪄 낼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서로 품앗이를 하거나 놉[품팔이 일꾼]을 얻어 모를 심을 경우 못자리에 빙 둘러 엎드려 모를 찌면서 「모 찌는 소리」를 부른다. 하동의 「모 찌는 소리」로는 「모 찌기 노래」, 「모 찔 때」, 「못노래」 등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모판에서 모를 쪄 묶어 내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 찌는 소리」는 모심기를 하기 위해 모판에서 모를 쪄 낼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서로 품앗이를 하거나 놉[품팔이 일꾼]을 얻어 모를 심을 경우 못자리에 빙 둘러 엎드려 모를 찌면서 「모 찌는 소리」를 부른다. 하동의 「모 찌는 소리」로는 「모 찌기 노래」, 「모 찔 때」, 「못노래」 등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모판에서 모를 쪄 묶어 내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 찌는 소리」는 모심기를 하기 위해 모판에서 모를 쪄 낼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서로 품앗이를 하거나 놉[품팔이 일꾼]을 얻어 모를 심을 경우 못자리에 빙 둘러 엎드려 모를 찌면서 「모 찌는 소리」를 부른다. 하동의 「모 찌는 소리」로는 「모 찌기 노래」, 「모 찔 때」, 「못노래」 등의...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에서 강감찬(姜邯贊)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모기 없는 구시장터」는 강감찬[948~1031] 장군이 강민첨(姜民瞻)[?~1021] 장군과 함께 하동을 지날 때 읍내 구시장(舊市場)터에 머물고서 잠을 자는데 모기가 너무 많아 모기에게 호통을 친 이후로 모기가 없어졌다는 이인담(異人談)이다. 1986년 하동문화원에서 간행한 『마을의 유래 및 사적전설』...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심는 소리」는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과정에서 주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즉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모내기는 짧은 시기에 많은 일손이 집중되는 일이다. 하동에서는 아침나절에는 모를 찌고 오전 새참 무렵부터 모를 심었다. 이때 일꾼들이 잠자코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노래를 불렀다. 노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심는 소리」는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과정에서 주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즉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모내기는 짧은 시기에 많은 일손이 집중되는 일이다. 하동에서는 아침나절에는 모를 찌고 오전 새참 무렵부터 모를 심었다. 이때 일꾼들이 잠자코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노래를 불렀다. 노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큰 나무를 나르면서 부르는 노동요. 「목도 소리」는 아주 무거운 물건을 두 사람 이상이 짝이 되어 공동으로 옳기면서 부르는 운반 노동요이다. 토목, 건축 등의 작업장에서도 무거운 돌이나 목재를 옮길 때에도 부른다. 이러한 일은 아무나 하기 어렵기 때문에 목도패와 같은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이들이 큰 목재나 비석 등의 무거운 물체를 운반할 때는 서로 손발을 맞...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평촌리 금남사(錦南祠)에 있는 고려 말의 성리학자 이색의 영정. 고려 말 조선 초의 충신이자 성리학자인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초상화이다. 이색은 삼은(三隱) 중 한 사람으로서 14세에 성균시에 합격하고, 1367년(공민왕 16) 성균관대사성이 되었으며, 학문과 불교에 대한 조예가 깊고 정치에도 큰 발자취를 남겼던 인물이다. 「목은 이...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모판에서 모를 쪄 묶어 내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 찌는 소리」는 모심기를 하기 위해 모판에서 모를 쪄 낼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서로 품앗이를 하거나 놉[품팔이 일꾼]을 얻어 모를 심을 경우 못자리에 빙 둘러 엎드려 모를 찌면서 「모 찌는 소리」를 부른다. 하동의 「모 찌는 소리」로는 「모 찌기 노래」, 「모 찔 때」, 「못노래」 등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관을 묻은 후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의식요. 「뫼 다지는 소리」는 장지에서 관을 묻고 무덤을 만든 후 흙을 단단하게 다지며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내용상은 의식요이면서 기능상 노동요의 성격을 갖고 있다. 하동 지역에서는 이를 「회다지 소리」라고도 한다. 「회다지 소리」는 죽은 사람을 묻고 묘를 만들기 위해 사람들이 회(灰)를 섞은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바느질 소리」는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할 때에 부르던 가사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 지역에는 「줌치 노래」와 「바늘 노래」 등 두 가지 소리가 전해 오는데 잠도 쫓고 현실의 고된 삶을 잊고 상상의 나래를 무한히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줌치 노래」는 정성 들여 곱게 지은 주머니를 사 가라는 내용으로 주머...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바느질 소리」는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할 때에 부르던 가사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 지역에는 「줌치 노래」와 「바늘 노래」 등 두 가지 소리가 전해 오는데 잠도 쫓고 현실의 고된 삶을 잊고 상상의 나래를 무한히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줌치 노래」는 정성 들여 곱게 지은 주머니를 사 가라는 내용으로 주머...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바느질 소리」는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할 때에 부르던 가사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 지역에는 「줌치 노래」와 「바늘 노래」 등 두 가지 소리가 전해 오는데 잠도 쫓고 현실의 고된 삶을 잊고 상상의 나래를 무한히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줌치 노래」는 정성 들여 곱게 지은 주머니를 사 가라는 내용으로 주머...
-
1616년 부사 성여신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와 불일암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방장산선유일기(方丈山仙遊日記)」는 『부사집(浮査集)』 권5에 실려 있다. 성여신(成汝信)[1546~1632]은 71살 때인 1616년(광해군 8) 9월 24일부터 10월 8일까지 15일 동안 하동을 거쳐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 불일암(佛日庵), 신응사 등을 유람하였다. 성여신...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밭에서 김을 매며 부르는 노동요. 「밭매는 소리」는 부녀자들이 콩·팥·조 등을 심어 놓은 밭에서 밭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밭매기는 주로 여성들이 담당했던 일이다. 「밭매는 소리」는 창자(唱者)에 따라 구분하면 여성들이 부르는 부요(婦謠)이면서 기능상 농업 노동요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하동문화원에서 발간한 『하동의 민요』에는...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밭에서 김을 매며 부르는 노동요. 「밭매는 소리」는 부녀자들이 콩·팥·조 등을 심어 놓은 밭에서 밭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밭매기는 주로 여성들이 담당했던 일이다. 「밭매는 소리」는 창자(唱者)에 따라 구분하면 여성들이 부르는 부요(婦謠)이면서 기능상 농업 노동요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하동문화원에서 발간한 『하동의 민요』에는...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밭에서 김을 매며 부르는 노동요. 「밭매는 소리」는 부녀자들이 콩·팥·조 등을 심어 놓은 밭에서 밭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밭매기는 주로 여성들이 담당했던 일이다. 「밭매는 소리」는 창자(唱者)에 따라 구분하면 여성들이 부르는 부요(婦謠)이면서 기능상 농업 노동요라고 할 수 있다. 2007년 하동문화원에서 발간한 『하동의 민요』에는...
-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지리산 백무동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백무 이야기」는 백무동(白武洞)이 원래 백 사람의 무당이 있었다고 하여 백무동(白巫洞)이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수도승이던 법우(法雨) 스님이 어느 날 길을 잃고 천황(天皇)할머니와 인연을 맺어 혼례를 올리고 낳은 여덟 딸을 전국 각지로 보내 무당이 되게 하였으며, 그중 셋째 딸은 청학동(靑鶴洞) 삼신봉에...
-
1489년 김일손이 정여창과 함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의 동정호에 배를 띄워 노닐며 지은 한시. 「여정백욱여창 동유두류 귀범악양호(與鄭伯勖汝昌同遊頭流歸泛岳陽湖)」는 김일손(金馹孫)[1464~1498]의 문집 『탁영집(濯纓集)』 상(上)에 수록되어 있다. 김일손은 1489년(성종 20) 4월 14일부터 4월 28일까지 15일 동안 정여창(鄭汝昌)[1450~1504]과 동행하여 지리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동요. 「베틀 소리」는 부녀자들이 베틀에 앉아 베를 짜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자 부요이다. 이를 하동 지역에서는 「베틀 노래」, 「베틀가」 등이라고도 한다. 부녀자들이라면 누구나 한 소절을 뽑을 정도로 많이 부르던 「베틀 소리」는 베틀의 기구들을 여러 가지로 의인화시키거나 고사에 빗대어 익살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베틀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동요. 「베틀 소리」는 부녀자들이 베틀에 앉아 베를 짜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자 부요이다. 이를 하동 지역에서는 「베틀 노래」, 「베틀가」 등이라고도 한다. 부녀자들이라면 누구나 한 소절을 뽑을 정도로 많이 부르던 「베틀 소리」는 베틀의 기구들을 여러 가지로 의인화시키거나 고사에 빗대어 익살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베틀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동요. 「베틀 소리」는 부녀자들이 베틀에 앉아 베를 짜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자 부요이다. 이를 하동 지역에서는 「베틀 노래」, 「베틀가」 등이라고도 한다. 부녀자들이라면 누구나 한 소절을 뽑을 정도로 많이 부르던 「베틀 소리」는 베틀의 기구들을 여러 가지로 의인화시키거나 고사에 빗대어 익살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특히 베틀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보리를 베어 타작하며 부르는 노동요. 「보리타작 소리」는 여럿이 모여 도리깨로 보리를 타작하는 노동의 현장에서 부르던 농업 노동요이다. 이를 「보리타작 노래」, 「도리깨질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보리타작은 힘이 많이 드는 일이다. 또한 노동을 하는 사람들 간의 호흡도 정확하게 맞아야만 한다. 하동 지역은 논농사가 주 생업이었기 때문에 벼농사에 관한 민요 못...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명월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보름날 다리 밑에서 아이를 낳게 한 명월다리」는 삼대독자와 혼인하여 3년이 되도록 자식이 없는 색시가 보름날 다리 밑에서 정성을 드리라는 스님의 권유에 따라 근신하고 정성을 드려 아이를 낳고 이름을 명월이라 하였으며, 그 다리를 명월다리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명월다리」라고도 한다. 2002년 적량...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보리를 베어 타작하며 부르는 노동요. 「보리타작 소리」는 여럿이 모여 도리깨로 보리를 타작하는 노동의 현장에서 부르던 농업 노동요이다. 이를 「보리타작 노래」, 「도리깨질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보리타작은 힘이 많이 드는 일이다. 또한 노동을 하는 사람들 간의 호흡도 정확하게 맞아야만 한다. 하동 지역은 논농사가 주 생업이었기 때문에 벼농사에 관한 민요 못...
-
개항기에 이교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봉대리에 있던 봉황대를 찾아가 읊은 한시. 「등봉황대(登鳳凰臺)」는 조선 말의 문인 학자 지재(止齋) 이교문(李敎文)[1878~1958]의 문집 『지재유고(止齋遺稿)』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교문은 하동 지역을 여행하면서 악양의 봉대리에 있었던 봉황대(鳳凰臺) 유허를 찾아갔는데, 봉황대는 보이지 않고 물가에 풀만 우거진 것을 보고서 그 아...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우복리에서 합수선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부잣집 맏며느리와 합수선바위」는 정씨(鄭氏) 부잣집의 과부 맏며느리가 시부모 시중과 과객 접대에 힘이 들어서 노승(老僧)이 알려준 대로 앞 개천의 선돌[立石]을 무너뜨렸는데, 그 결과 정씨 집은 불이 나고 자손들은 떠나고 말았다는 명당 실기(失氣)를 다룬 명당파손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서 보설루 현판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에 탄 동국제일선원」은 나그네가 칠불사의 정문에 있는 보설루에 ‘동국제일선원(東國第一禪院)’이라는 글자 때문에 불이 난다고 알려 주어서 국(國), 제(第), 선(禪), 원(院)자에서 한 획씩을 빼어 불[火]을 없애려고 했으나 그 기운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 풍수담이자 파자담(破子談)이다. 이를 「동...
-
1558년경 구암 이정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불일암을 유람하고 지은 한시. 「등불일암전봉 부규용추학추(登佛日庵前峯 俯窺龍湫鶴湫)」는 이정(李楨)[1512~1571]의 『구암집(龜巖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제목을 풀이하면 「불일암 앞 봉우리에 올라 용추와 학추를 내려다봄」이다. 『구암집』 속집에는 같은 제목의 오언 율시 1수가 실려 있다. 이정은 남명(南冥) 조식(曺植)[1501...
-
조선 전기 서산대사 휴정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불일암에서 지은 한시. 「불일암(佛日庵)」은 『청허당대사집(淸虛堂大師集)』 상권에 수록되어 있다. 불일암(佛日庵)은 쌍계사(雙溪寺)에 소속된 암자로 예로부터 선승들이 즐겨 찾던 곳이다. 서산대사(西山大師) 휴정(休靜)[1520~1604]이 지리산[1,915m]에 주석할 때 불일암에서 참선하면서 지은 시로, 선정에 든...
-
조선 후기 어우당 유몽인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불일암을 유람하면서 지은 한시. 「불일암(佛日菴)」은 유몽인(柳夢寅)[1559~1623]의 시문집 『어우집(於于集)』 후집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유몽인은 남원부사로 재직하던 1611년(광해군 3) 3월 29일부터 4월 8일까지 지리산[1,915m]을 유람하고 「유두류산록(遊頭流山錄)」을 남겼다. 전라북도 남원에서 출...
-
1810년 4월 허재 정석구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불일암을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불일암유산기(佛日庵遊山記)」는 정석구(丁錫龜)[1772~1833]의 『허재유고(虛齋遺稿)』 상편에 수록되어 있다. 정석구는 1810년(순조 10) 4월 기이관(奇而貫) 등과 함께 불일암(佛日庵)을 유람하고 그 감상을 「불일암유산기」로 남겼다. 정석구는 지리산[1,915m]을 여러 차례 유람하였지만,...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불일폭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일폭포 용추의 쌀바위」는 불일암(佛日庵)에서 수도하던 스님이 바위에서 나오는 쌀을 발견하게 되고, 빨리 부자가 될 욕심에 구멍을 인위적으로 넓혀 다시는 쌀이 나오지 않았다는 허욕담이다. 이를 「용추 쌀바위」, 「용추 쌀바위 전설」 등이라고도 한다. 1986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궁항리에서 들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탄정과 들돌 이야기」는 하동군 옥종면 궁항리에 있는 궁항천 냇가의 정자나무 아래에 있는 청석[들돌]을 들지 못하면 벌금으로 술과 안주를 내야만 했던 여자가 가볍게 돌을 들어 옮겼다는 여성영웅담이다. 또한 정자나무가 불에 탔기 때문에 불탄정이라고 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정자나무 거리 들돌 이야기」라고...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신대리에서 비까리와 새모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비까리와 새모」는 고려 때 덕호마을에 살던 부자 형제가 이대, 삼대까지 부자가 못 나오게 하는 형제봉 때문에 형은 새동네란 뜻의 새모[상신대]로, 동생은 덕호마을에서 비껴 앉았다는 뜻의 비까리[하신대]로 이사하였다는 마을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다....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뽕을 따며 부르는 유희요. 「뽕 따는 처녀 노래」는 뽕을 따는 처녀를 본 총각이 연모의 마음을 문답식으로 주고받는 사랑 문답요이다. 노동요 중에서 남녀 사이에 문답하는 노래는 이 밖에도 많다. ‘채약(採藥)하는 처자에게’, ‘밤 따는 처자에게’, ‘동백 따는 처자에게’, ‘배추 씻는 처자에게’, ‘상추 씻는 처자에게’, ‘산채 캐는 처자에게’, ‘명주 짜는...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북방리에서 명원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궁들 도깨비보 이야기」는 홍수가 나면 발생하는 산사태가 도깨비의 장난인 것을 알고 이를 예방하고자 ‘명원보’를 ‘도깨비보’로 개명하고, 여기에서 매년 도깨비가 좋아하는 씨름 대회를 열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내용이 상세히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서 불일폭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사라진 청학동에 생긴 불일폭포」는 청학이 없어지자 용추에서 살던 용이 승천하며 발생한 산을 가르는 산사태 때문에 새로운 물줄기가 골짝을 더욱 가파르게 파헤쳐서 청학동은 험한 바위들만 남아 골산이 되었고, 시내는 지금 같은 큰 규모의 불일폭포가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예부터 청학동 하면 열에 아홉은 화개동을 말...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여성들이 삼을 삼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삼 삼는 소리」는 여성들이 삼 삼는 일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의 길쌈 노동요에는 「물레 노래」, 「베틀 소리」, 「삼 삼기 노래」 등이 있다. 「베틀 소리」는 베틀 기구의 생김새를 의인화시켜 노래하는 내용이 많은데 「삼 삼는 소리」에는 기구에 대한 내용은 없다. 밤늦도록 고된 길쌈을 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여성들이 삼을 삼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삼 삼는 소리」는 여성들이 삼 삼는 일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의 길쌈 노동요에는 「물레 노래」, 「베틀 소리」, 「삼 삼기 노래」 등이 있다. 「베틀 소리」는 베틀 기구의 생김새를 의인화시켜 노래하는 내용이 많은데 「삼 삼는 소리」에는 기구에 대한 내용은 없다. 밤늦도록 고된 길쌈을 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여성들이 삼을 삼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삼 삼는 소리」는 여성들이 삼 삼는 일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의 길쌈 노동요에는 「물레 노래」, 「베틀 소리」, 「삼 삼기 노래」 등이 있다. 「베틀 소리」는 베틀 기구의 생김새를 의인화시켜 노래하는 내용이 많은데 「삼 삼는 소리」에는 기구에 대한 내용은 없다. 밤늦도록 고된 길쌈을 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여성들이 삼을 삼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삼 삼는 소리」는 여성들이 삼 삼는 일을 하면서 부르는 길쌈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의 길쌈 노동요에는 「물레 노래」, 「베틀 소리」, 「삼 삼기 노래」 등이 있다. 「베틀 소리」는 베틀 기구의 생김새를 의인화시켜 노래하는 내용이 많은데 「삼 삼는 소리」에는 기구에 대한 내용은 없다. 밤늦도록 고된 길쌈을 하...
-
1616년 박민이 한유한의 유적지인 경상남도 하동군의 삽암에서 읊은 한시. 「삽암(鍤巖)」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학자인 박민(朴敏)[1566~1630]의 문집 『능허집(凌虛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박민이 하동을 여행하면서 삽암(鍤巖)에 이르러 지은 것이다. 박민은 1616년(광해군 8) 9월 성여신(成汝信) 등 진주 인근의 여러 유학자들과 함께 지리산[1,915m] 청학동...
-
조선 후기 김인섭이 한유한의 유적지인 경상남도 하동군의 삽암에서 읊은 한시. 「게삽암(憩鈒巖)」은 조선 후기의 학자 김인섭(金麟燮)[1827~1903]의 문집 『단계집(端磎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한유한(韓惟漢)은 고려 후기에 대비원녹사(大悲院錄事)에 임명되었으나 나라가 혼란스러워질 것을 알고서 가족을 이끌고 지리산[1,915m]에 은거하였던 인물이다. 김인섭은 지리산 유람...
-
개항기에 정재규가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삽암에서 한유한을 생각하며 읊은 한시. 「과삽암감한록사제시(過鍤巖感韓錄事題詩)」는 조선 후기의 학자 정재규(鄭載圭)[1843~1911]의 문집 『노백헌집(老栢軒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합천군의 묵동에 살았던 정재규는 1887년(고종 24) 지리산[1,915m] 대원사(大源寺) 방면을 유람하고서 유람기인 「두류록(頭流錄)」을 남기는 등...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청암면 상여 소리」는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장지까지 옮겨 무덤을 만들어 다지는 과정까지를 노래한 장례 의식요이다. 청암면에서는 상여를 운반하면서 부르는 행상소리를 「상부 소리」라고 부른다. 다리를 지날 때에는 「다리 건널 때」라고 달리 부르는 노래가 있고, 달구질을 하며 부르는 소리는 「달구질 소리」라고 일컫...
-
1790년 이동항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악양루에 올라 읊은 한시. 「상악양(上岳陽)」은 조선 후기 문인학자인 이동항(李東沆)[1736~1804]의 문집 『지암집(遲庵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동항이 저녁 무렵 악양루(岳陽樓)에 올라 그 원근의 경치를 보고 이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읊은 한시이다. 이동항은 경상북도 칠곡 사람으로, 1790년(정조 14) 3월 28일부터 5월 4일...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악양면 상부 소리」는 장례 절차에서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갈 때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노동요이다. 「상여 소리」의 내용은 주로 슬픔에 잠긴 상주를 위로하고 현세에서 이루지 못한 행복을 저승에서 이루라는 진원이다. 「악양면 상부 소리」는 떠나가는 사자(死者)의 입장에서 인생의 허무함과 산 사람들에 대한...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금남면 상부 소리」는 장례식에서 상여가 나갈 때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상여꾼들의 노동요이다. 상여를 메고 가는 사람들이 부르는 노래를 「상여 소리」, 「상부 소리」, 「운상 소리」, 「만가」 등 여러 가지로 부르는데 하동군 금남면에서는 「만가」라고 한다. 하동 지역에서 불리는 「금남면의 상부 소리」인 「만가」...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옥종면 상부 소리」는 장례 절차에서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갈 때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노동요이다.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갈 줄을 준비하고, 자리를 배치하는 등 준비 과정에서부터 상여를 운반하는 과정, 하관 후 무덤을 다지는 과정까지를 노래하고 있다. 「옥종면 상부 소리」는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에서 새미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새미골을 아흔아홉골이라 부르게 된 연유」는 새미골에 왁쇄기라 불리는 노인이 살았는데 부자였으나 수확이 아흔 아홉 석을 넘기지 못해 왕겨를 한 섬 넣어 백 석을 채웠더니, 그만 죽고 말아 새미골을 ‘아흔아홉골’이라 한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내용이 상세히 실려 있다...
-
조선 후기 명암 정식이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섬진강의 새벽 풍경을 노래한 한시. 「효섬진강(曉蟾津江)」은 『명암집(明庵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정식(鄭栻)[1683~1746]은 전국의 명승을 두루 유람하며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효섬진강」은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 방면을 유람하고서 배를 타고 내려올 때의 새벽 풍경을 노래한 것이다. 정식의 자는 경보(敬甫),...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리에서 새비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천마을 새비골 유래」는 고려 초에 어느 길손이 하동군 적량면 동리 명천마을의 새비골[鰕谷]을 지나다가 이곳에 터를 잡으면 후손이 번창할 것이라는 스님과 동자의 이야기를 듣고 이곳에 터를 잡아 후손을 이었는데, 그곳이 하동 정씨(河東鄭氏)의 발원지가 되었다는 풍수담이자 성씨시조담이다. 이를 「새비골」이라고도...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 선장마을에서 기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선장의 기인」은, 화심리 선장마을에 남자 기인(奇人) 문가학(文可學)은 경복궁 경회루 대들보를 자유로이 뛰어오르고 내렸으며, 여자 기인 최씨는 힘이 세서 넓이가 151.5㎝, 길이가 545.4㎝인 돌다리의 큰 돌을 혼자서 놓았다는 이인담(異人談)이다. 2003년 횡천면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횡천면...
-
경상남도 하동군의 섬진강을 배경으로 한 가사에 곡을 붙여 가수 이미자가 부른 대중가요. 「섬진강 처녀」는 1967년에 발표한 노래로, 정두수가 가사를 쓰고, 백영호가 작곡하였다. 「섬진강 처녀」는 섬진강에서 떠나간 연인을 그리워하는 2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통통배가 님을 싣고 닿는 뱃머리 섬진강 물새들도 슬피 우는데/ 노량바다 남해 섬에 달이 뜰 때면 기약 없이 먼 항구로 떠...
-
개항기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 살던 최숙민이 하동 섬진강을 유람하면서 지은 한시. 「섬진강(蟾津江)」은 구한말 유학자 최숙민(崔琡民)[1837~1905]의 문집 『계남집(溪南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섬진강」은 최숙민이 노년에 강회에 초청되어 학문을 강론한 뒤, 섬진강을 유람할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하동의 쌍계사(雙磎寺)와 화개동에 남아 있는 최치원(崔致遠)[857~9...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서 섯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섯바위 이야기」는 한유한(韓惟漢)이 신선이 된 자리이며, 이순신(李舜臣)[1545~1598]이 백의종군(白衣從軍)하기 위해 임지로 가며 지나간 자리이고, 신분의 벽을 넘지 못해 죽은 청춘 남녀의 사랑이 맺힌 바위이며, 왜구가 침입했을 때 바위를 굴려 적을 물리친 자리라는 지명유래담이다. ‘삽암(鍤巖)’은...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신흥리에서 세이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세이암 전설」은, 하동군 화개면 신흥리의 의신 쪽에서 흘러오는 냇물을 따라가면 절벽에 ‘세이암(洗耳岩)’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신라 말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여기서 귀를 씻고 신선이 되어 지리산으로 입산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86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간한 『한...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지례리에서 소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 장수 이야기」는 자신에게 흑심을 품고 함께 소 장사를 나간 남편의 친구가 남편을 살해했다는 말을 들은 부인이 무덤을 찾아 시체를 수습한 뒤 남편의 친구를 칼로 찔러 죽여 복수를 하고 자신은 자결하였다는 정절담이다. 이를 「남편 원수 갚은 아내」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서 칠불사 부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년부도 이야기」는 칠불사 중건 공사에 희생된 소년 승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칠불사 탑에 푸른 이끼가 돋았다는 부도유래담이다. 이를 「중창불사와 소년스님」이라고도 한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고, 2002년 화개면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화개면지』에는 「중...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목도리에 손장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손장군 이야기」는 하동읍 목도리 출신의 손장군이 한 노승의 도움으로 호랑이 밥이 될 사람들을 구한 신이담이자 민간영웅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쇠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쇠재 전설」은 옛날 진주목에서 하동현으로 가는 고개를 남매가 넘어가는데 갑자기 소나기가 내려 젖은 누이의 속살을 보고 충동을 느낀 오빠가 자신의 남근을 쳐 죽자 누이가 “소처럼 대어나 보지.” 하며 한탄하여 쇠재가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우치 전설」이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에서 쌍계사 구유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쌍계사 구유는 천년된 고리비 사리나무」는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 숙재마을에 위치한 절에 도삼이라는 스님이 커다란 고리비사리나무를 키우고 있었는데 빈대가 들끓어서 절은 망하였고, 폐허가 된 절터의 잿길에 쓰러져 있던 고리비사리나무의 나무둥치는 쌍계사의 나무 구유가 되었다는 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시집살이의 고단함을 노래하는 유희요. 「시집살이 소리」는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노래한 것으로 부요(婦謠)이면서, 부녀자들이 가사 노동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기도 하다. 이를 「시집살이요」라고도 한다. 오랫동안 여성들은 남존여비라는 유교적이며 봉건적인 관습에 의해 자유로운 삶을 구속당하고 천대를 받으며 살아왔다. 혼인을 한 뒤에는 시부모의 학대, 남편의 배신...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시집살이의 고단함을 노래하는 유희요. 「시집살이 소리」는 시집살이의 고달픔을 노래한 것으로 부요(婦謠)이면서, 부녀자들이 가사 노동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기도 하다. 이를 「시집살이요」라고도 한다. 오랫동안 여성들은 남존여비라는 유교적이며 봉건적인 관습에 의해 자유로운 삶을 구속당하고 천대를 받으며 살아왔다. 혼인을 한 뒤에는 시부모의 학대, 남편의 배신...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에서 신대장·선아선녀 등이 노닌 곳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신대장과 선아선녀의 사랑」은 하늘에서 신대장골로 내려온 신씨 성을 가진 장군과 옥녀봉으로 내려온 선아선녀가 곳곳을 다니다가 하늘로 올라갔다는 청암면 평촌리와 명호리 일대의 지명유래담이다. 1992년 청암향토지발간추진회에서 발행한 『청암(靑岩)』에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에서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신선암과 구경암」은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 뒷산에 두 개의 바위가 있는데 그중에서 큰 바위는 신선이 쉬면서 바둑을 두었다 하여 신선암이라 부르고, 다른 바위는 사람들이 모여 구경하였다고 하여 구경암이라 부른다는 암석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
1708년경 김창흡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 입구에서 지은 한시. 「쌍계동구(雙溪洞口)」는 『삼연집습유(三淵集拾遺)』 권7에 수록되어 있다. 김창흡(金昌翕)[1653~1722]이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 방면을 유람할 적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김창흡은 1708년(숙종 34) 2월 3일부터 윤3월 21일까지 한양 집을 출발하여 판교→삼척→청송→밀양→진주→하동→덕산→...
-
1708년경 김창흡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 입구에서 지은 한시. 「쌍계동구(雙溪洞口)」는 『삼연집습유(三淵集拾遺)』 권7에 수록되어 있다. 김창흡(金昌翕)[1653~1722]이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 방면을 유람할 적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김창흡은 1708년(숙종 34) 2월 3일부터 윤3월 21일까지 한양 집을 출발하여 판교→삼척→청송→밀양→진주→하동→덕산→...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에서 쌍계사 구유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쌍계사 구유는 천년된 고리비 사리나무」는 하동군 횡천면 애치리 숙재마을에 위치한 절에 도삼이라는 스님이 커다란 고리비사리나무를 키우고 있었는데 빈대가 들끓어서 절은 망하였고, 폐허가 된 절터의 잿길에 쓰러져 있던 고리비사리나무의 나무둥치는 쌍계사의 나무 구유가 되었다는 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탱화. 「쌍계사 국사암 아미타후불탱」은 아미타 후불탱화로,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당초 국사암 인법당에 봉안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쌍계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3년 4월 17일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386호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삼세불탱.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탱」은 하동쌍계사 대웅전[보물 제500호]에 봉안되어 있다.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2003년 2월 3일 보물 제1364호로 지정되었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약사불도, 오른쪽에 아미타불도를 배치한...
-
1487년 추강 남효온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를 보고 지은 한시. 「독쌍계사비(讀雙磎寺碑)」는 남효온(南孝溫)[1454~1492]의 『추강집(秋江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남효온은 1487년(성종 18) 9월 27일부터 10월 13일까지 약 보름 동안 지리산[1,915m]을 두루 유람하였다. 10월 9일 전라남도 구례를 떠나 경상남도 화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삼장보살탱.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삼장보살탱」은 1781년(정조 5) 5월에 제작되었으며, 금어(金魚)[불화나 불상을 그리는 사람]로는 승윤(勝允), 만휘(萬輝), 홍원(泓源), 지순(智淳), 평삼(平三), 단해(端海), 승문(勝文),...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신중탱.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팔상전 신중탱」은 「쌍계사 고법당 제석신중탱(雙磎寺 古法堂 帝釋神衆幀)」이라고도 한다. 1781년(정조 5)에 제작된 「쌍계사 국사암 신중도」를 모본(模本)으로 하여 1790년(정조 14) 4월에 제작되었는...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영산회상도. 영산회상도란 석가여래가 영취산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법한 모임을 도상(圖像)으로 묘사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는 1687년(숙종 13)에 제작되었으며, 1987년 7월 16일 보물 제925호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을 한 것으로, 길이 410㎝, 폭 273㎝의 크기이다. 석가여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팔상전 팔상탱. 팔상도란 석가모니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압축하여 묘사한 것이며, 탱화란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 형태로 만들어 법당에 걸 수 있도록 한 불화를 말한다. 「쌍계사 팔상전 팔상탱」은 1728년(영조 4) 일선(一禪), 후경(後鏡), 명정(明淨), 최우(最祐), 원민(元敏), 처영(處英), 신영(信...
-
조선 전기 삼당시인의 한 사람인 이달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를 유람할 때 지은 한시. 「쌍계사(雙磎寺)」는 이달(李達)[1539~1612]의 시집 『손곡시집(蓀谷詩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이달이 하동의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를 유람하면서 입구의 쌍계사 석문(雙磎寺石門)을 보고 느낀 점, 쌍계사가 신라 고찰이라는 점, 이곳이 청학동이라는 점, 최치원(崔致遠)[...
-
1618년경 현곡 조위한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를 보고 지은 차운시. 「쌍계사차기암운(雙磎寺次畸庵韻)」는 조위한(趙緯韓)[1567~1649]의 시문집 『현곡집(玄谷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조위한은 1618년(광해군 10) 4월 11일부터 4월 17일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 방면을 유람하고 「유두류산록(遊...
-
1618년경 현곡 조위한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를 보고 지은 차운시. 「쌍계사차기암운(雙磎寺次畸庵韻)」는 조위한(趙緯韓)[1567~1649]의 시문집 『현곡집(玄谷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조위한은 1618년(광해군 10) 4월 11일부터 4월 17일까지 경상남도 하동군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 방면을 유람하고 「유두류산록(遊...
-
조선 전기 눌재 박상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와 청학동을 유람하며 읊은 한시. 「쌍계사찬(雙磎寺讚)」은 박상(朴祥)[1474~1530]의 문집 『눌재집(訥齋集)』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성여신(成汝信)이 지은 『진양지(晉陽志)』 불우(佛宇) 쌍계사조(雙磎寺條)에 수록되어 전한다. 박상이 하동의 쌍계사(雙磎寺)와 청학동 방면을 유람하며 노래한 시로 제목은 알 수가 없다. 내용상으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어른이 어린아이를 돌보며 부르는 노동요. 「아이 어르는 소리」는 보채는 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육아 노동요이다. 어른들은 어린아이의 몸을 움직여 주거나 또는 무엇을 보여 주거나 들려주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기쁘게 하여 준다. 아이를 돌보는 것은 여성의 몫이었기 때문에 할머니나 어머니, 주로 부녀자들이 아이를 돌보며 불렀던 노래로 부요(婦謠)이기도...
-
조선 후기 이수광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를 유람하고 화개를 거쳐 악양으로 내려오는 동안의 경치와 감회를 읊은 한시. 「악양(岳陽)」은 지봉(芝峯)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문집 『지봉집(芝峯集)』 권18에 수록되어 있다. 이수광이 하동을 여행하면서 쌍계사(雙磎寺)와 화개를 거쳐 악양에 도착한 후 자신의 여정을 돌아보며 그 감회를 읊은 것이다. 이수광은 이외에도 쌍계...
-
1489년 정여창이 자신의 은거지인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의 정경을 읊은 한시. 「악양(岳陽)」은 정여창(鄭汝昌)[1450~1504]의 문집인 『일두집(一蠹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정여창은 1489년(성종 20) 4월 14일부터 4월 28일까지 15일 동안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과 동행하여 지리산[1,915m]을 유람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김일손이 “...
-
조선 후기 이현일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 있는 악양루 유허와 동정호에서 읊은 한시. 「등악양루유허(登岳陽樓遺墟)」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학자인 이현일(李玄逸)[1627~1704]의 문집 『갈암집(葛庵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학통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다. 68세 때인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에 연루...
-
조선 전기 유호인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정서리에 있는 악양루에 올라 읊은 한시. 「등악양루(登岳陽樓)」는 조선 전기의 유학자 유호인(兪好仁)[1445~1494]의 문집 『뇌계집(㵢谿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유호인이 하동을 여행하면서 악양루(岳陽樓)에 올랐을 때, 악양루 앞에 있는 동정호(洞庭湖)와 군산(君山) 등을 바라보며 그 경치와 자신의 심회를 읊은 한시이다. 악양루는...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악양면 상부 소리」는 장례 절차에서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갈 때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노동요이다. 「상여 소리」의 내용은 주로 슬픔에 잠긴 상주를 위로하고 현세에서 이루지 못한 행복을 저승에서 이루라는 진원이다. 「악양면 상부 소리」는 떠나가는 사자(死者)의 입장에서 인생의 허무함과 산 사람들에 대한...
-
1790년 이동항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악양루에 올라 읊은 한시. 「상악양(上岳陽)」은 조선 후기 문인학자인 이동항(李東沆)[1736~1804]의 문집 『지암집(遲庵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동항이 저녁 무렵 악양루(岳陽樓)에 올라 그 원근의 경치를 보고 이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읊은 한시이다. 이동항은 경상북도 칠곡 사람으로, 1790년(정조 14) 3월 28일부터 5월 4일...
-
1902년 송병순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악양정에서 정여창을 기리며 읊은 한시. 「악양정 근차일두선생운(岳陽亭謹次一蠹先生韻)」은 유학자이자 우국지사인 송병순(宋秉珣)[1839~1912]의 문집 『심석재집(心石齋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송병순이 1902년(고종 39) 2월 3일부터 40일 동안 영남 지방을 유람하던 도중 청학동을 찾아가다 악양정(岳陽亭)에 들러 지은 것이다. 송병순...
-
1490년경 유호인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덕은리에 있는 정여창의 은거지 악양정을 두고 읊은 차운시. 「악양정(岳陽亭)」은 유호인(兪好仁)[1445~1494]의 『뇌계집(㵢溪集)』에 수록되어 있지 않고, 정여창(鄭汝昌)[1450~1504]의 『일두집(一蠹集)』 권3의 시장(詩章)에 수록되어 전한다. 「악양정」의 서문을 보면, 정여창이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 근무할 때 함께 세자...
-
1902년 송병순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악양정에서 정여창을 기리며 읊은 한시. 「악양정 근차일두선생운(岳陽亭謹次一蠹先生韻)」은 유학자이자 우국지사인 송병순(宋秉珣)[1839~1912]의 문집 『심석재집(心石齋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송병순이 1902년(고종 39) 2월 3일부터 40일 동안 영남 지방을 유람하던 도중 청학동을 찾아가다 악양정(岳陽亭)에 들러 지은 것이다. 송병순...
-
1902년경 면암 최익현이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에 있는 여씨의 재실 양심재에서 읊은 한시. 「양심재염심자(養心齋拈心字)」는 최익현(崔益鉉)[1833~1906]의 문집 『면암집(勉庵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1989년 여강출판사에서 간행한 『면암최선생전서(勉菴崔先生全書)』 인책(人冊)의 문인 곽한소(郭漢紹)가 지은 「남유일기(南遊日記)」에 의하면, 최익현은 1902년(고...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에서 양씨 노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2개의 관을 만들라는 양씨 노인의 유언」은 하동군 진교면 성평마을의 양장골[梁將谷]에 얽힌 실패한 영웅담이다. 양씨 노인이 나라를 위한 큰일을 하려고 12개의 관을 만들라고 유언을 했으나 후손이 11개밖에 만들지 못하였기에 마지막 관이 파헤쳐져 상처투성이의 동자장군이 때를 얻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는 비극적...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관을 묻은 후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의식요. 「뫼 다지는 소리」는 장지에서 관을 묻고 무덤을 만든 후 흙을 단단하게 다지며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내용상은 의식요이면서 기능상 노동요의 성격을 갖고 있다. 하동 지역에서는 이를 「회다지 소리」라고도 한다. 「회다지 소리」는 죽은 사람을 묻고 묘를 만들기 위해 사람들이 회(灰)를 섞은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아이들이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유희요. 「각거리」는 예부터 아이들이 다리 세는 놀이를 할 때 즐겨 부르는 노래로 유희요이자 동요이다. 하동 지역의 「각거리」는 중부 지방이 중심이나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이거리저거리각거리」의 변이형이다. 이를 「언가(諺歌)」라고 일컫기도 한다. 하동의 「각거리」는 1862년 진주 농민 항쟁의 주도자 중 한 사람인 유계춘(柳繼...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계천리 영천마을에서 여우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우바위의 전설」은 낳은 지 보름 만에 죽은 아이를 뒷산에 묻었는데 여우가 시신을 파먹자, 이에 아비가 복수하려고 영천마을 중송골에 있는 바위로 찾아갔으나 꾀 많은 여우를 당하지 못했다는 동물담이다. 또한 그 바위를 여우바위라고 불렀다는 암석유래담이기도 하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에서 진주 강씨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장부 강씨 부인」은 북천 남포동에서 호랑이 할매라고 불리던 최효병의 아내 진주 강씨가 외손자의 약을 구해 오다 호랑이를 만나지만 설득하여 물러가게 하였다는 동물담이자 신이담(神異談)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서 발행...
-
1489년 김일손이 정여창과 함께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의 동정호에 배를 띄워 노닐며 지은 한시. 「여정백욱여창 동유두류 귀범악양호(與鄭伯勖汝昌同遊頭流歸泛岳陽湖)」는 김일손(金馹孫)[1464~1498]의 문집 『탁영집(濯纓集)』 상(上)에 수록되어 있다. 김일손은 1489년(성종 20) 4월 14일부터 4월 28일까지 15일 동안 정여창(鄭汝昌)[1450~1504]과 동행하여 지리산...
-
1948년 소설가 김동리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화개장터를 배경으로 하여 쓴 단편 소설. 김동리(金東里)[1913. 11. 24~1995. 6. 17]가 사천 다솔사에서 운영하던 광명학원[1937년 4월 개강, 1942년 6월 폐쇄]에서 지낼 당시, 김동리는 1938년 결혼하여 아들 하나를 둔 젊은 가장이었다. 그 무렵 김동리는 쌍계사 아래에 있는 친구를 찾아간 적이 있었는데, 그 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장터를 배경으로 한 김동리의 소설 「역마」를 마당극으로 각색한 작품. 마당극 「역마-하동포구 아가씨」는 주어진 운명을 거스르기보다는 운명을 천명으로 여기면서 삶에 순응해 가는 우리나라 고유의 국민 정서가 뚜렷이 반영된 소설 「역마」를 마당극으로 재현한 작품이다. 2009년 연출가 김영구는 하동 야생차 문화 축제의 부분 연출을 의뢰받아, 옛 화개장터의 분위기를 느...
-
1618년 제호 양경우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와 불일암, 신흥사 등을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역진연해군현 잉입두류 상쌍계신흥기행록(歷盡沿海郡縣仍入頭流賞雙溪新興紀行錄)」은 양경우(梁慶遇)[1568~1629]의 『제호집(霽湖集)』 권10에 수록되어 있다. 양경우는 1618년(광해군 10) 윤4월 15일부터 5월 18일까지 33일 동안 전라남도 영암의 도갑사(道甲寺), 진도의 벽파...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관리 금강마을에서 들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연모의 들돌」은 정안봉(鄭晏峯) 남신이 구재봉(龜在峯) 여신에게 힘자랑 시험으로 던진 들돌이 폭풍으로 적량면 관리 금강마을의 ‘귀밑에’와 율곡마을 중간에 있는 들에 떨어져 그곳을 ‘들돌거리’라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
조선 전기 조식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 위 불일폭포를 유람하면서 지은 한시. 「영청학동폭포(詠靑鶴洞瀑布)」는 조식(曺植)[1501~1572]의 『남명집(南冥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조식이 하동 청학동을 유람할 때 지은 한시인데, 정확히 어느 해에 지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조식은 1558년(명종 13) 진주목사 등 진주 인근의 여러 명사들과 지리산[1,915m]을 유람하였...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동해량마을에서 오룡정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오룡정 이야기」는 예전 하동읍 해량촌에 있었다던 오룡정 주변의 다섯 그루 느티나무 그늘이 섬진강에 비쳐 물결이 흔들릴 때는 다섯 마리의 용처럼 보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내용이 상세히 실려 있다. 또한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옥종면 상부 소리」는 장례 절차에서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갈 때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노동요이다.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갈 줄을 준비하고, 자리를 배치하는 등 준비 과정에서부터 상여를 운반하는 과정, 하관 후 무덤을 다지는 과정까지를 노래하고 있다. 「옥종면 상부 소리」는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에서 묏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만석꾼이 되는 묘자리, 와우안목설」은 가난한 장씨 부부가 폭설이 내린 3일 동안 단칸방을 내주고 자신들은 정작 부엌에서 지내는 것을 보고 도사가 은혜를 갚고자 당대에 만석을 누릴 와우안목설에 묏자리를 잡아 주어 부자가 되게 하였다는 명당발목담이다. 또한 홍수가 나서 묏자리에 돌을 박아 맥을 끊어 버리자 금세 파산...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불일폭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일폭포 용추의 쌀바위」는 불일암(佛日庵)에서 수도하던 스님이 바위에서 나오는 쌀을 발견하게 되고, 빨리 부자가 될 욕심에 구멍을 인위적으로 넓혀 다시는 쌀이 나오지 않았다는 허욕담이다. 이를 「용추 쌀바위」, 「용추 쌀바위 전설」 등이라고도 한다. 1986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불일폭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일폭포 용추의 쌀바위」는 불일암(佛日庵)에서 수도하던 스님이 바위에서 나오는 쌀을 발견하게 되고, 빨리 부자가 될 욕심에 구멍을 인위적으로 넓혀 다시는 쌀이 나오지 않았다는 허욕담이다. 이를 「용추 쌀바위」, 「용추 쌀바위 전설」 등이라고도 한다. 1986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관을 묻은 후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의식요. 「뫼 다지는 소리」는 장지에서 관을 묻고 무덤을 만든 후 흙을 단단하게 다지며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내용상은 의식요이면서 기능상 노동요의 성격을 갖고 있다. 하동 지역에서는 이를 「회다지 소리」라고도 한다. 「회다지 소리」는 죽은 사람을 묻고 묘를 만들기 위해 사람들이 회(灰)를 섞은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데...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쇠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쇠재 전설」은 옛날 진주목에서 하동현으로 가는 고개를 남매가 넘어가는데 갑자기 소나기가 내려 젖은 누이의 속살을 보고 충동을 느낀 오빠가 자신의 남근을 쳐 죽자 누이가 “소처럼 대어나 보지.” 하며 한탄하여 쇠재가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우치 전설」이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하동읍 상부 소리」는 하동읍의 상여꾼들이 상여를 장지로 운반하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하동읍에서는 이를 「운상 소리」라고도 한다. 「운상 소리」는 무엇을 옮기며 부르는 노래이기에 노동요적 성격도 가지고 있다. 「하동읍 상부 소리」에 등장하는 목소리는 세 부류이다. 상여를 옮기는 일을 수행하는 상여꾼의 목소...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옥종면 상부 소리」는 장례 절차에서 상여를 메고 장지로 갈 때 상여꾼들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노동요이다.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갈 줄을 준비하고, 자리를 배치하는 등 준비 과정에서부터 상여를 운반하는 과정, 하관 후 무덤을 다지는 과정까지를 노래하고 있다. 「옥종면 상부 소리」는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들...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금남면 상부 소리」는 장례식에서 상여가 나갈 때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상여꾼들의 노동요이다. 상여를 메고 가는 사람들이 부르는 노래를 「상여 소리」, 「상부 소리」, 「운상 소리」, 「만가」 등 여러 가지로 부르는데 하동군 금남면에서는 「만가」라고 한다. 하동 지역에서 불리는 「금남면의 상부 소리」인 「만가」...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적량면 상부 소리」는 적량면의 상여꾼들이 상여를 묘지까지 옮기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노동요이다. 이를 적량면에서는 「운상 소리」라고도 한다. 출상 순서에 따라 서창, 행상소리, 자진상여 소리, 달구지 소리로 나눠진다. ‘상여 소리’를 ‘상부 소리’라고도 한다. 적량면의 「운상 소리」는 상여 소리 가운데 서...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 운암영당에 있는 최치원의 초상화. 최치원(崔致遠)[857~?]은 통일신라 후기의 학자이자 문장가였다. 6두품 출신의 지식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868년(경문왕 8) 당나라에 유학하여 당의 빈공과에 급제하였으며, 황소(黃巢)의 난 때 「토황소격문」을 지어 문장으로 크게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그러나 귀국 후 신라의 현실에 좌절한 나머지 해인...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큰 나무를 나르면서 부르는 노동요. 「목도 소리」는 아주 무거운 물건을 두 사람 이상이 짝이 되어 공동으로 옳기면서 부르는 운반 노동요이다. 토목, 건축 등의 작업장에서도 무거운 돌이나 목재를 옮길 때에도 부른다. 이러한 일은 아무나 하기 어렵기 때문에 목도패와 같은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이들이 큰 목재나 비석 등의 무거운 물체를 운반할 때는 서로 손발을 맞...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에서 울띠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울띠촌 이야기」는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에 있는 수척마을의 초기 이름이 울띠였는데, 산허리에 터를 잡으며 울섶으로 세운 울타리를 멀리서 보면 산허리에 띠를 맨 것 같아 울띠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우계리에서 원우마을 앞 저수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원우마을 소류지 전설」은 하동군 적량면 우계리 원우마을의 앞에 있는 늪과 관련된 내용으로 시주 스님을 박대한 강씨를 징계하기 위해 도사가 마을 웅덩이를 메우게 하여 재앙이 끊일 날이 없게 했다가 다시 못을 파서 예전으로 되돌아갔다는 응보담이자 일종의 풍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
-
1558년 남명 조식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유두류록(遊頭流錄)」은 조식(曺植)[1501~1572]의 『남명집(南冥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조식은 58살 되던 해인 1558년(명종 13) 4월 10일부터 4월 26일까지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였다. 조식의 자는 건중(楗仲), 호는 남명(南冥),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젊어서 과거에...
-
1655년 담허재 김지백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을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유두류산기(遊頭流山記)」는 『담허재집(澹虛齋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김지백(金之白)[1623~1671]은 1655년(효종 6) 10월 8일부터 10월 11일까지 나흘간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였다. 유람록 말미에 의하면, 나흘간의 유람에서 일행들이 지은 100여 편의 한시를 1권의 시집으로 만...
-
1611년 어우당 유몽인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과 지리산 천왕봉 을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유두류산록(遊頭流山錄)」은 유몽인(柳夢寅)[1559~1623)]의 『어우집(於于集)』 권6에 수록되어 있다. 유몽인은 1611년(광해군 3) 3월 29일부터 4월 8일까지 9일간 지리산[1,915m] 천왕봉과 하동군의 청학동을 유람하였다. 유몽인의 자는 응문(應文), 호는 어우당(於于堂...
-
1720년 남계 신명구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과 신흥동을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유두류속록(遊頭流續錄)」은 신명구(申命耉)[1666~1742]의 『남계집(南溪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신명구는 1720년(숙종 46) 4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9일 동안 경상남도 하동과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였다. 이보다 한 해 전인 1719년(숙종 45) 5월 16일부터 5월 21일까지...
-
1928년 고당 김규태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와 불일폭포를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유불일폭기(遊佛日瀑記)」는 김규태(金奎泰)[1902~1966]의 『고당집(顧堂集)』 권11에 수록되어 있다. 김규태는 1928년 5월 10~5월 11일 양일간 쌍계사(雙磎寺)와 불일폭포 일대를 유람하고 그 감상을 「유불일폭기」로 기록하였다. 동행이었던 매봉(梅峰) 오정표(吳正杓)[1897~194...
-
1928년 매봉 오정표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와 불일폭포를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유불일폭기(遊佛日瀑記)」는 『매봉유고(梅峯遺稿)』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오정표(吳正杓)[1897~1946]는 1928년 6월 7~6월 8일 양일간 하동군의 불일폭포를 유람하였다. 동행한 고당(顧堂) 김규태(金奎泰)[1902~1966]도 「유불일폭기」라는 유람록을 남기고 있다. 오정표의 자는 화...
-
1884년 겸산 김성렬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불일암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유청학동일기(遊靑鶴洞日記)」는 김성렬(金成烈)[1846~1919]의 『겸산집(兼山集)』 권4에 수록되어 있다. 김성렬은 1884년(고종 21) 5월 1일부터 5월 9일까지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였다. 1877년(고종 14) 가을에도 하동군의 청학동을 유람한 적이 있는데, 쌍계사(雙磎寺)와 칠불...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어른이 어린아이를 돌보며 부르는 노동요. 「아이 어르는 소리」는 보채는 아이를 달래거나 어르면서 부르는 육아 노동요이다. 어른들은 어린아이의 몸을 움직여 주거나 또는 무엇을 보여 주거나 들려주어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기쁘게 하여 준다. 아이를 돌보는 것은 여성의 몫이었기 때문에 할머니나 어머니, 주로 부녀자들이 아이를 돌보며 불렀던 노래로 부요(婦謠)이기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아이들이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유희요. 「각거리」는 예부터 아이들이 다리 세는 놀이를 할 때 즐겨 부르는 노래로 유희요이자 동요이다. 하동 지역의 「각거리」는 중부 지방이 중심이나 전국적으로 퍼져 있는 「이거리저거리각거리」의 변이형이다. 이를 「언가(諺歌)」라고 일컫기도 한다. 하동의 「각거리」는 1862년 진주 농민 항쟁의 주도자 중 한 사람인 유계춘(柳繼...
-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과 진교면 경계에 있는 이맹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맹산 전설」은 산 정상에 있는 못에 사는 이무기 때문에 마을 사람이 눈이 멀게 된다고 하여 이맹산이라 하였고, 불에 달군 돌을 못에 넣어서 이무기를 쫓아냄으로써 맹인이 눈을 뜨자 왕명으로 이명산으로 개칭하였다는 괴물퇴치담이자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심는 소리」는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과정에서 주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즉 모내기를 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모내기는 짧은 시기에 많은 일손이 집중되는 일이다. 하동에서는 아침나절에는 모를 찌고 오전 새참 무렵부터 모를 심었다. 이때 일꾼들이 잠자코 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노래를 불렀다. 노래...
-
고려 후기 쌍명재 이인로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을 찾지 못한 심경을 남긴 기록. 「청학동기(靑鶴洞記)」는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 권1 14항에 전한다. 『파한집』은 시화(詩話), 일화, 기사 등으로 구성된 잡록집이다. 우리나라 시화집의 효시라 할 수 있으며, 우리 고전 시학의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된다. 『파한집』에 수록된 이야기나 글은 각 항목...
-
조선 전기 고봉 기대승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에서 최치원을 그리워하며 지은 한시. 「입청학동방최고운(入靑鶴洞訪崔孤雲)」은 기대승(奇大升)[1527~1572]의 『고봉집(高峰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기대승이 지리산[1,915m]을 유람하면서 쌍계사(雙磎寺)에 들러 최치원(崔致遠)[857~915]의 영정이 있는 곳을 찾아가 최치원을 그리워하며 지은 시이다. 기대승의 지리산 유...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여성들이 잠을 쫓기 위해 부르는 노동요. 잠노래는 주로 밤을 새워 일을 할 때 시어머니 눈에 나지 않기 위해 잠을 쫓으며 부른 가사 부요(婦謠)이자 노동요이다. 하동에는 「며늘아기 자분다고」, 「잠노래」, 「잠아 오지마라」 등 세 편의 노래가 있는데 그 내용은 「시집살이요」와 비슷하다. 앞 소절에 “잠아 오지 마라”란 사설로 잠을 쫓고 있다. 다음 구절에는...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각설이패가 부르던 유희요. 「각설이 타령」은 주로 각설이패들이 시장을 돌아다니며 동냥을 위해 흥겹게 불렀던 노래이다. 이를 「장타령(場打令)」, 「품바 타령」이라고도 한다. 대부분 노래 가사의 후렴구에 ‘품바’란 구절이 들어가 있다. 「각설이 타령」의 노랫말은 장풀이, 숫자풀이, 국문뒤풀이, 투전풀이, 화투뒤풀이 등을 들 수 있다. 하동에 전해 오는 「장타령...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적량면 상부 소리」는 적량면의 상여꾼들이 상여를 묘지까지 옮기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자 노동요이다. 이를 적량면에서는 「운상 소리」라고도 한다. 출상 순서에 따라 서창, 행상소리, 자진상여 소리, 달구지 소리로 나눠진다. ‘상여 소리’를 ‘상부 소리’라고도 한다. 적량면의 「운상 소리」는 상여 소리 가운데 서...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화심리에서 만지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라도에서 팔려온 만지들」은 섬진강의 흐름에 따라 생긴 들판이 경상도와 전라도의 경계 지점에 있는 만지들로서, 경작은 하동 사람이 하고 세금은 전라도 광양의 관리가 징수해 항상 분쟁이 일어났는데 하동부사와 광양현감이 합의하여 그 들을 전라도에서 경상도에 팔게 되었다는 토지매매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서 정기룡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정기룡 장군의 탄생과 명마」는, 임진왜란 때의 명장 정기룡(鄭起龍)[1562~1622] 장군이 사망한 모부인의 태중에서 이틀을 지낸 후 태어났다는 영웅탄생담이다. 또한 정기룡 장군이 왜적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준 말을 둘째 부인 권씨가 키웠다는 명마획득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중평리에서 정기룡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정기룡 장군의 탄생과 명마」는, 임진왜란 때의 명장 정기룡(鄭起龍)[1562~1622] 장군이 사망한 모부인의 태중에서 이틀을 지낸 후 태어났다는 영웅탄생담이다. 또한 정기룡 장군이 왜적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준 말을 둘째 부인 권씨가 키웠다는 명마획득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정기룡 장군의 이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정기룡이 된 정무수」는 본래 이름이 정무수(鄭茂壽)였는데 용이 일어나는 꿈을 꾼 선조(宣祖)[1552~1608]가 ‘기룡(起龍)’이라는 이름을 내리고 무과에 급제시켰다는 민간영웅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궁항리에서 들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불탄정과 들돌 이야기」는 하동군 옥종면 궁항리에 있는 궁항천 냇가의 정자나무 아래에 있는 청석[들돌]을 들지 못하면 벌금으로 술과 안주를 내야만 했던 여자가 가볍게 돌을 들어 옮겼다는 여성영웅담이다. 또한 정자나무가 불에 탔기 때문에 불탄정이라고 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정자나무 거리 들돌 이야기」라고...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가재골에서 돌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조장군과 가재 돌다리」는 옛날 조장군이라는 칭호를 듣던 힘센 자가 마을 사람들에게 가재골에 돌다리를 올려놓겠다고 하고는 3일 동안 노력을 했는데, 돌다리를 누가 먼저 올려놓아 풀이 죽어 돌아왔는데 알고 보니 그의 누이였다는 여자영웅담이자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계천리에서 도깨비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주교천의 도깨비보」는 옛날 진씨(陳氏) 어른이 눈이 덮인 벌판에 검은 선이 그어져 있는 꿈을 꾸고 등짐을 져서 돌을 날라 보를 축조했는데 아주 정확해서 도깨비가 쌓았다고 여긴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도깨비보」라고도 한다. 금남면의 주교천을 막아 사궁들에 물을 대는 사궁보(射弓洑)가 도깨비보이다. 이...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바느질 소리」는 부녀자들이 바느질을 할 때에 부르던 가사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 지역에는 「줌치 노래」와 「바늘 노래」 등 두 가지 소리가 전해 오는데 잠도 쫓고 현실의 고된 삶을 잊고 상상의 나래를 무한히 펼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줌치 노래」는 정성 들여 곱게 지은 주머니를 사 가라는 내용으로 주머...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에서 칠불사 부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소년부도 이야기」는 칠불사 중건 공사에 희생된 소년 승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칠불사 탑에 푸른 이끼가 돋았다는 부도유래담이다. 이를 「중창불사와 소년스님」이라고도 한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실려 있고, 2002년 화개면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화개면지』에는 「중...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지례리에서 지네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네골 만석꾼 김씨와 지네」는 지례리 예성마을의 옛 이름인 지네골에서 김씨 성을 가진 만석꾼이 지네가 다니는 길에 박석[얇고 넓적한 돌]을 깔아 지네를 눌러 죽여 살림이 기울어졌다는 풍수담이자 명당파손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에서 마고할매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리산신 마고할매」는 하동 고소성을 쌓다가 중단한 이야기, 남해 금산을 가면서 치마도 걷어 올리지 않고 노량 앞바다를 성큼성큼 건너갔다는 이야기 등 지리산 곳곳에서 전승되는 마고할매의 여성영웅담이자 신이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
1640년 미수 허목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쓴 유람록. 「지리산청학동기(智異山靑鶴洞記)」는 허목(許穆)[1595~1682]의 『미수기언(眉叟記言)』 권28 하편에 수록되어 있다. 허목은 1640년(인조 18) 9월 3일 쌍계사(雙磎寺)와 불일암(佛日庵)을 유람하고서 「지리산청학동기」를 지었다. 허목의 자는 화보(和甫)·문보(文父), 호는 미수(眉叟)·대령노인(...
-
1807년 의재 남주헌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과 지리산 천왕봉을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지리산행기(地異山行記)」는 남주헌(南周獻)[1769~1821]의 『의재집(宜齋集)』 권11에 수록되어 있다. 남주헌은 함양군수로 재임하던 1807년(순조7) 3월 24일부터 4월 1일까지 9일 동안 지리산[1,915m]을 유람하였는데, 이때 「지리산행기」를 지었다. 동행은 경상도관찰사 윤광...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상이리에서 지방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방암과 백일홍」은 하늘로 오르던 용이 한 처녀에게 목격되자 곧장 떨어졌는데, 그 흔적으로 청암면 상이리 시목마을의 지방암에 청색의 기다란 줄무늬가 남았다는 암석유래담이다. 그 뒤 백일홍 두 그루가 자랐는데, 그 형상이 용과 같았다고 하는 식물유래담이기도 하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진교리에서 민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진교 민다리 놓은 이야기」는 이맹산에서 쫓겨난 용이 숨었다고 하여 놓은 다리가 비에 떠내려가자 도승이 금오산 부부 바위 두 개를 밀고 와서 다리를 놓게 되어 ‘민다리’라고 하였고, 이무기가 용이 되어 하늘로 오르기 위해 하늘로 사다리를 놓았던 곳이라 하여 ‘미르다리’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관을 묻은 후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의식요. 「뫼 다지는 소리」는 장지에서 관을 묻고 무덤을 만든 후 흙을 단단하게 다지며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내용상은 의식요이면서 기능상 노동요의 성격을 갖고 있다. 하동 지역에서는 이를 「회다지 소리」라고도 한다. 「회다지 소리」는 죽은 사람을 묻고 묘를 만들기 위해 사람들이 회(灰)를 섞은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데...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봄철에 여성들이 나물을 캐며 부르는 노동요. 「나물 캐는 소리」는 여성들이 밭이나 언덕, 산에서 나물을 캐거나 뜯으면서 불렀던 채취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하동 지역의 「나물 캐는 소리」에는 나물 캘 때 부르는 소리와 고사리 꺾을 때 부르는 소리, 찻잎을 따면서 부르는 소리 등이 있다. 「나물 캐는 소리」는 노동의 행위를 묘사하거나 노동에서 탈피하고자...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청암면 상여 소리」는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장지까지 옮겨 무덤을 만들어 다지는 과정까지를 노래한 장례 의식요이다. 청암면에서는 상여를 운반하면서 부르는 행상소리를 「상부 소리」라고 부른다. 다리를 지날 때에는 「다리 건널 때」라고 달리 부르는 노래가 있고, 달구질을 하며 부르는 소리는 「달구질 소리」라고 일컫...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서 촬영된 한국 영화. 영화 「청춘」은 젊은이들의 사랑과 성에 관한 내용을 다룬 영화로, 영화의 주요 장면들이 하동역과 하동 배밭, 하동 읍내 등에서 촬영되었다.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서는 영화 속의 자효[김래원 분]가 자전거를 타는 장면이 촬영되었고, 백양사 근처의 야영장에서도 극중 인물의 자전거 타는 장면이 촬영되었다. 영화 「청춘」은 2000년...
-
조선 전기 조식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 위 불일폭포를 유람하면서 지은 한시. 「영청학동폭포(詠靑鶴洞瀑布)」는 조식(曺植)[1501~1572]의 『남명집(南冥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조식이 하동 청학동을 유람할 때 지은 한시인데, 정확히 어느 해에 지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조식은 1558년(명종 13) 진주목사 등 진주 인근의 여러 명사들과 지리산[1,915m]을 유람하였...
-
고려 후기 쌍명재 이인로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을 찾지 못하고 안타까워하며 지은 한시. 「청학동(靑鶴洞)」은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에 수록되어 있다. 이인로가 말로만 듣던 청학동을 찾아 지리산[1,915m]으로 왔으나 찾지 못하고 안타까워하며 지은 시이다. 이인로의 초명은 득옥(得玉), 자는 미수(眉叟), 호는 쌍명재(雙明齋), 본관은 경원(慶...
-
1558년(명종 13)경 남명 조식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한시. 「청학동(靑鶴洞)」은 조식(曺植)[1501~1572]의 『남명집(南冥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조식이 지리산[1,915m] 청학동을 유람한 것은 58세 때인 1558년(명종 13) 4월 10일부터 4월 26일까지이다. 조식의 거주지인 합천 삼가(三嘉)를 출발하여 진주를 거쳐 사천에서 배를...
-
조선 전기 황준량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지리산 청학동을 유람하며 그 경관을 노래하고, 최치원을 생각하며 읊은 한시. 「청학동(靑鶴洞)」은 조선 전기 문신 황준량(黃俊良)[1517~1563]의 문집 『금계집(錦溪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황준량은 1545년(인종 1) 상주향교(尙州鄕校)의 교수로 있던 초여름에 지리산[1,915m]을 유람하였는데, 유산기는 남기지 않았다. 다만 「청...
-
고려 후기 쌍명재 이인로가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을 찾지 못한 심경을 남긴 기록. 「청학동기(靑鶴洞記)」는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파한집(破閑集)』 권1 14항에 전한다. 『파한집』은 시화(詩話), 일화, 기사 등으로 구성된 잡록집이다. 우리나라 시화집의 효시라 할 수 있으며, 우리 고전 시학의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된다. 『파한집』에 수록된 이야기나 글은 각 항목...
-
1743년 명암 정식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지은 유람록. 「청학동록(靑鶴洞錄)」은 정식(鄭栻)[1683~1746]의 『명암집(明庵集)』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정식은 1743년(영조 19) 4월 21일부터 4월 28일까지 9일 동안 하동군의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였다. 정식의 청학동 유람은 여러 차례 있었는데, 기록으로 전하는 것은 이외에도 「두류록(頭流錄)」...
-
조선 전기 고봉 기대승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쌍계사에서 최치원을 그리워하며 지은 한시. 「입청학동방최고운(入靑鶴洞訪崔孤雲)」은 기대승(奇大升)[1527~1572]의 『고봉집(高峰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기대승이 지리산[1,915m]을 유람하면서 쌍계사(雙磎寺)에 들러 최치원(崔致遠)[857~915]의 영정이 있는 곳을 찾아가 최치원을 그리워하며 지은 시이다. 기대승의 지리산 유...
-
조선 전기 승려 유정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의 청학동 암자에서 선정에 들었을 때의 정서를 노래한 한시. 「청학동추좌(靑鶴洞秋坐)」는 사명대사(泗溟大師) 유정(惟政)[1544~1610]의 『사명당대사집(泗溟堂大師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청학동은 신선이 사는 물외의 세계로 티끌세상인 속세와 구별되는 공간이다. 사명대사 유정은 어느 초가을 날 이러한 선계의 절간에서 참선하며 그...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 학동마을에서 호랑이로 둔갑한 효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최호랑이로 변한 효자 최씨」는 청암면 묵계리 학동마을 건너편의 최씨네골에서 살던 최씨가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호랑이로 변하는 귀문 둔갑술을 익혀 개를 잡았는데 부인이 주문이 적힌 책을 태워 버려 사람으로 변신하지 못하고 죽었다는 효행담이자 변신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
-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에서 촬영된 한국 영화. 「취화선(醉畵仙)」은 임권택 감독의 98번째 영화로, 조선 후기 천재 화가 오원 장승업(張承業)[1843~1897]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도올 김용옥이 시나리오를 쓰고 국내 미술 전문가들이 대거 자문 역할을 하였다. 주인공 장승업은 배우 최민식이 맡았다. 2002년 5월 10일 개봉된 영화 「취화선」에 102만 4383명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서 칠불사 영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칠불사 영지에 비친 칠왕자」는 김수로왕과 허왕후가 출가한 일곱 아들을 만나러 왔다가 칠불사 입구에 있는 연못에 비친 얼굴만 보고 갔는데, 그 연못을 영지(影池)라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
-
1807년경 하익범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칠불암을 유람하고 지은 한시. 「칠불암(七佛庵)」은 하익범(河益範)[1767~1815]의 『사농와집(士農窩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하익범은 1807년(순조 7) 3월 26일부터 4월 8일까지 15일 동안 지리산[1,915m] 천왕봉과 하동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였다. 이때의 유람을 기록한 것이 「유두류록(遊頭流錄)」이다. 하익범은 진주를...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장암리에서 칼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형제들의 칼부림고개」는 주씨 성을 가진 부자 영감의 아들 형제들이 재산 분배를 받던 중 양보면 장암리 산록마을의 고개에서 칼부림 나게 싸우다가 한 명이 죽었다고 하여 칼부림고개라고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칼고개의 형제」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에서 바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탕건바위 각시바위」는 옛날 궁항마을 노총각 머슴이 산에 나무하러 갔다가 여인을 만나 서로 연모하였으나 총각은 탕건바위가 되고 여인은 각시바위가 되었다는 암석유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하동문화원에서 발행한 『하동의...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나락을 타작하며 부르던 노동요. 「나락 타작 소리」는 논농사 일 가운데 벼를 추수할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태질 소리」라고도 한다. 태질은 개상에다 곡식 단을 메어쳐 곡식알을 떠는 일을 의미한다. 「나락 타작 소리」는 타작하는 과정을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 「태질 소리」, 「벼 디루는 소리」, 「말질하는 소리」 등 각각의 일에 따라 부르...
-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를 배경으로 쓴 박경리의 소설 『토지』를 TV 드라마로 제작한 작품. 드라마 「토지」는 주인공 최서희와 주변 인물들을 통해 일제 강점기 때의 우리나라 상황을 그려 내었다. 등장인물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목표에 입각하여 어려운 현실과 좌절을 이겨 나가는 가운데, 애정과 믿음, 탐욕과 배신, 그리고 복수의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의 실상을 그대로 보여 준다. 소...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공동 풀베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풀 베는 소리는 모내기 논에 퇴비로 쓸 풀을 공동으로 베면서 불렀던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여름에 만든 퇴비는 가을에 보리와 밀농사에 써야 했기 때문에 마을에서는 이웃 간 품앗이를 하여 공동 풀베기를 하였다. 공동으로 베 온 풀은 소의 배설물과 섞고, 소가 이것을 밟아 다지면 다시 썰어 옮겨 쌓아야 한다. 이를...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공동 풀베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풀 베는 소리는 모내기 논에 퇴비로 쓸 풀을 공동으로 베면서 불렀던 농업 노동요이다. 하동 지역에서는 여름에 만든 퇴비는 가을에 보리와 밀농사에 써야 했기 때문에 마을에서는 이웃 간 품앗이를 하여 공동 풀베기를 하였다. 공동으로 베 온 풀은 소의 배설물과 섞고, 소가 이것을 밟아 다지면 다시 썰어 옮겨 쌓아야 한다. 이를...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각설이패가 부르던 유희요. 「각설이 타령」은 주로 각설이패들이 시장을 돌아다니며 동냥을 위해 흥겹게 불렀던 노래이다. 이를 「장타령(場打令)」, 「품바 타령」이라고도 한다. 대부분 노래 가사의 후렴구에 ‘품바’란 구절이 들어가 있다. 「각설이 타령」의 노랫말은 장풀이, 숫자풀이, 국문뒤풀이, 투전풀이, 화투뒤풀이 등을 들 수 있다. 하동에 전해 오는 「장타령...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평촌리 경천묘에 있는 경순왕의 초상화. 경순왕은 신라의 마지막 임금으로서 신라의 국운이 끝났음을 알고 고려에 국권을 양도한 왕이다. 「하동 경천묘 경순왕 어진」의 제작 시기는 불명확하나 세밀한 필치와 음영이 표현된 채색 등의 묘사 방식과 화풍으로 보아 1677년(숙종 3) 직후에 개모(改摸)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개모된 어진은 소실되었고, 「하동 경천묘...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대송리 금정사에 봉안되어 있는 불화. 기록에 의하면 「하동 금정사 칠성탱」은 1894년 5월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 장경각에서 조성하여 밀양에 봉안되었으며, 금어(金魚)[불화나 불상을 그리는 사람] 경호(璟鎬)가 수화승 두명(斗明)의 출초(出草)를 바탕으로 그렸다. 경호는 19세기 후반에 활동한 화사로서 1894년 두명과 함께 경상남도 함양군...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감로왕도.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는 쌍계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감로왕도란 지옥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음식을 공양하는 의식 절차를 그린 불화를 말한다.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는 1728년 명정(明淨), 최우(最祐) 등이 그렸으며, 전체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는 2...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운암리 운암영당에 있는 최익현의 영정. 「하동 운암리 최익현 영정」은 크기가 가로 154㎝, 세로 101.5㎝이며, 세 폭으로 이어진 마본 바탕에 그려진 족자 형태이다. 화면 오른쪽 상단의 ‘면암 최선생 사십사세 진상(勉庵崔先生四十四歲眞像)’이라는 묵서명에 의하면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1833~1906]이 44세 되던 1878년(고종 15)에 조성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노래한 민요. 「하동 의병가」는 하동 지역에 전해 오는 의병들의 생활상을 읊은 정치 민요이다. 「임란 때 하동 의병 군가」라는 제목이 붙어 있지만, 대부분의 의병가가 근대에 와서 만들어진 것처럼 이 노래도 근대에 와서 불리게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임진왜란 때 만들어진 왜의 침략에 대항하는 민요에는 「강강수월래」, 「쾌지나 칭칭 나네」, 「연줄가...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의병 활동을 노래한 민요. 「하동 의병가」는 하동 지역에 전해 오는 의병들의 생활상을 읊은 정치 민요이다. 「임란 때 하동 의병 군가」라는 제목이 붙어 있지만, 대부분의 의병가가 근대에 와서 만들어진 것처럼 이 노래도 근대에 와서 불리게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임진왜란 때 만들어진 왜의 침략에 대항하는 민요에는 「강강수월래」, 「쾌지나 칭칭 나네」, 「연줄가...
-
1620년경 오숙이 경상남도 하동을 지나면서 읊은 한시. 「하동노상(河東路上)」은 조선 후기 관료 문인 오숙(吳䎘)[1592~1634]의 문집 『천파집(天坡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오숙의 지리산[1,915m] 유람은 오숙의 아들인 오두인(吳斗寅)[1624~1689]의 「두류산기(頭流山記)」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경상도관찰사로 있던 1631년(인조 9)에 하동 청학동 일대를...
-
경상남도 하동군 출신의 작사가 정두수가 작사하고 설운도가 부른 대중가요. 「하동사람」은 하동 출신의 시인이자 작사가인 정두수의 노랫말에 가수 설운도가 곡을 붙여 노래를 불렀다. 고향 하동을 떠나 있더라도 고향의 땅과 사람을 그리워하는 3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어디서 본 것 같은 만난 것 같은/ 낯익은 그 사람이 바로 하동 사람/ 정다운 말씨며 웃음소리며/ 하나부터 열까지가 고...
-
경상남도 하동군 출신의 시인이자 작사가인 정두수가 하동을 주제로 만든 대중가요. 「하동으로 오세요」는 이호섭이 작곡하고 정두수가 작사한 곡으로, 가수 주현미가 노래하였다. 「하동으로 오세요」는 하동의 명소들을 주제로 하여 한번쯤 하동을 찾아가고 싶게 하는 5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1. 바둥대며 사는 길 한번쯤 잊으시고/ 산수절로 확 트여 풍광 길 고운/ 하동 땅 화개장터 벚꽃...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하동읍 상부 소리」는 하동읍의 상여꾼들이 상여를 장지로 운반하면서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하동읍에서는 이를 「운상 소리」라고도 한다. 「운상 소리」는 무엇을 옮기며 부르는 노래이기에 노동요적 성격도 가지고 있다. 「하동읍 상부 소리」에 등장하는 목소리는 세 부류이다. 상여를 옮기는 일을 수행하는 상여꾼의 목소...
-
1620년경 오숙이 경상남도 하동을 지나면서 읊은 한시. 「하동노상(河東路上)」은 조선 후기 관료 문인 오숙(吳䎘)[1592~1634]의 문집 『천파집(天坡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오숙의 지리산[1,915m] 유람은 오숙의 아들인 오두인(吳斗寅)[1624~1689]의 「두류산기(頭流山記)」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경상도관찰사로 있던 1631년(인조 9)에 하동 청학동 일대를...
-
1708년 김창흡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영계서원을 방문하고 읊은 오언 장편의 한시. 「하동정일두서원(河東鄭一蠹書院)」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학자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1653~1722]의 문집 『삼연집(三淵集)』 권8에 수록되어 있다. 김창흡이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1450~1504]을 모신 하동의 영계서원(永溪書院)을 방문하고 그 감회를 노래한 한시이다. 김창흡은 1...
-
경상남도 하동군 출신의 작사가 정두수가 하동포구를 배경으로 작사한 대중가요. 「하동포구 아가씨」는 1972년 발표된 곡으로 당시 대중들의 인기를 얻었다. 「하동포구 아가씨」는 당시 인기 작곡가 박춘석과 작사가 정두수, 그리고 당대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던 가수 하춘화와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쌍돛대 임을 싣고 포구로 들고/ 섬진강 맑은 물에 물새가 운다/ 쌍계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비파리에서 백마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하얀 말이 하늘로 올라간 백마지」는 가난하고 천한 농부가 날개가 돋은 영웅 아이를 낳았으나 이를 두려워한 아버지가 사흘 만에 아이를 죽인 후에 동네 앞개울에서 하얀 말이 나와 울고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여 그 자리를 백마지라고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1996년 하동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간한 『하동군지』에 내...
-
조선 후기 과재 장석신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의 한산사를 유람하며 읊은 한시. 「한산사(寒山寺)」는 조선 후기 유학자인 장석신(張錫藎)[1841~1923]의 문집 『과재집(果齋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장석신은 지리산[1,915m] 천왕봉 일대와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그 각각의 장소마다 서문을 붙인 한시를 지어 유람록을 대신하였다. 천왕봉 일대의 유람을 기록하여 「두류록(...
-
조선 후기 과재 장석신이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의 한산사를 유람하며 읊은 한시. 「한산사(寒山寺)」는 조선 후기 유학자인 장석신(張錫藎)[1841~1923]의 문집 『과재집(果齋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장석신은 지리산[1,915m] 천왕봉 일대와 청학동 일대를 유람하고, 그 각각의 장소마다 서문을 붙인 한시를 지어 유람록을 대신하였다. 천왕봉 일대의 유람을 기록하여 「두류록(...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에 있던 하동도호부의 삼문인 해산루의 기문(記文). 1744년(영조 20) 하동부사로 부임한 전천상(田天祥)[1705~1751]은 자가 경문(景文), 본관은 담양(潭陽)이며, 1726년(영조 2) 무과에 급제하였다. 전천상이 하동으로 부임해 왔을 때, 하동도호부는 제대로 된 청사(廳舍)를 갖추지 못해 장소를 옮겨가며 공무를 집행하고 있었으며, 관리들 역...
-
1887년 매천 황현이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를 유람하면서 읊은 한시. 「해조동석 유쌍계사 상국사암 위십일유기 선유연재기 왕석람사충 정다해규석 성남파혜영 추도공부(偕趙東石由雙溪寺上國師菴爲十日遊期宣悠然在箕王石藍師冲鄭茶海圭錫成南坡蕙永追到共賦)」는 황현(黃玹)[1855~1910]의 『매천집(梅泉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황현은 1887년(고종 24) 조동석과 함...
-
경상남도 하동군 양보면 장암리에서 칼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형제들의 칼부림고개」는 주씨 성을 가진 부자 영감의 아들 형제들이 재산 분배를 받던 중 양보면 장암리 산록마을의 고개에서 칼부림 나게 싸우다가 한 명이 죽었다고 하여 칼부림고개라고 불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칼고개의 형제」라고도 한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서 호랑이 눈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 눈썹으로 얻은 아내」는 금오산 산록마을의 가난한 젊은이가 죽으려고 호랑이 굴에 갔다가 호랑이 눈썹을 얻었고, 이 눈썹으로 자기에게 맞는 여자와 자기 아내를 서로 바꾸어서 잘 살았다는 아내교환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설화 자료를 중심으로 하동향토사연구위원회가 집필하여 2005년...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에서 효성이 지극한 며느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호랑이도 감동한 효부」는 하동군 악양면과 적량면 사이에 있는 구자산 아래 마을에 살던 며느리가 장에 간 시아버지가 해가 져도 오지 않아 찾아갔더니 호랑이 밥이 되기 직전이라 아이를 내주고 시아버지를 업고 왔는데, 감복한 호랑이가 아이를 돌려줬다는 효행담이다. 2004년 하동군 각지에서 채록·수집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리랑 민요. 「화개 아리랑」은 하동군 화개면에서 부른 아리랑으로 뒷소리에 ‘아리랑’이 따라 붙은 가창 유희요이다. 아리랑은 남한·북한 각지와 만주 지방까지 퍼져 있는 한민족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아리랑으로는 「정선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밀양 아리랑」, 「진도 아리랑」 등이 있다. 「화개 아리랑」은 개화기 이후에...
-
조선 후기 유학자 이현일이 경상남도 하동군의 악양정에서 정여창을 떠올리며 읊은 한시. 「화개과정일두유허(花開過鄭一蠹遺墟)」은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1627~1704]의 문집 『갈암집(葛庵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의 학통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68살 때인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에 연루되어 함경도...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화개동천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화개동천 이야기」는 신선이 사는 항아리 속 별천지라 하여 운수리 화개마을을 화개동천(花開洞天)이라 불렀고, 삼법화상이 눈 쌓인 계곡의 칡꽃이 핀 자리에 육조(六祖) 혜능(慧能)선사[638~713]의 정상(頂上)[머리]을 묻었다 하여 화개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화개의 지명유래」라고도 한다. 1...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서 화개동천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화개동천 이야기」는 신선이 사는 항아리 속 별천지라 하여 운수리 화개마을을 화개동천(花開洞天)이라 불렀고, 삼법화상이 눈 쌓인 계곡의 칡꽃이 핀 자리에 육조(六祖) 혜능(慧能)선사[638~713]의 정상(頂上)[머리]을 묻었다 하여 화개라고 하였다는 지명유래담이다. 이를 「화개의 지명유래」라고도 한다. 1...
-
섬진강과 화개장터를 배경으로 한 가사에 곡을 붙여 가수 조영남이 부른 대중가요. 화개장터는 경상남도 하동군과 전라남도 구례군을 이어주는 옛날의 장터이다. 가수 조영남은 영남과 호남의 지역감정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1988년 5월 「화개장터」를 발표하였다. 「화개장터」는 그동안 조영남이 작곡·작사·노래까지 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2010년 7월 조영남이 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하...
-
조선 후기 하동 화개현에 있던 정여창의 별장을 그린 그림. 「화개현 구 장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1450~1504]이 한동안 머물던 별장과 주변 형승(形勝)을 그린 그림이다. 정여창은 조선 전기 문신이자 성리학의 대가로서 1490년(성종 21)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 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設書), 안음현감(安陰縣監)을 지냈...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에서 천석군 집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황부자와 복치혈」은 청암면 중이리 논골마을에 사는 황씨 모자가 한 스님이 묘 터를 잡아줘 부자가 되었는데, 그 묘 터가 복치혈(伏雉穴)이라 상석을 놓지 말라고 했지만 부자가 되자 잊어버리고 상석을 해 다시 망했다는 풍수담이다. 이를 「황부자와 천석군터」라고도 한다. 1992년 청암향토지발간추진회에서...
-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에서 천석군 집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황부자와 복치혈」은 청암면 중이리 논골마을에 사는 황씨 모자가 한 스님이 묘 터를 잡아줘 부자가 되었는데, 그 묘 터가 복치혈(伏雉穴)이라 상석을 놓지 말라고 했지만 부자가 되자 잊어버리고 상석을 해 다시 망했다는 풍수담이다. 이를 「황부자와 천석군터」라고도 한다. 1992년 청암향토지발간추진회에서...
-
경상남도 하동 지역에서 관을 묻은 후 봉분을 다질 때 부르는 의식요. 「뫼 다지는 소리」는 장지에서 관을 묻고 무덤을 만든 후 흙을 단단하게 다지며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내용상은 의식요이면서 기능상 노동요의 성격을 갖고 있다. 하동 지역에서는 이를 「회다지 소리」라고도 한다. 「회다지 소리」는 죽은 사람을 묻고 묘를 만들기 위해 사람들이 회(灰)를 섞은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데...
-
경상남도 하동군 횡천면에서 상여를 메고 가는 상여꾼이 부르던 의식요. 「횡천면 상부 소리」는 횡천면의 상여꾼들이 상여를 운반하며 부르는 장례 의식요이다. 이를 횡천면에서는 「만가」라고 한다. 「횡천면 상부 소리」인 「만가」는 상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부터 운반하는 과정까지의 노래가 전승되어 온다. 상여꾼들의 노동 진행 상황이 메기는 소리에 반영되어 있어 노동요적 성격도 지니고 있다....
-
조선 후기 명암 정식이 경상남도 하동군에 있는 섬진강의 새벽 풍경을 노래한 한시. 「효섬진강(曉蟾津江)」은 『명암집(明庵集)』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정식(鄭栻)[1683~1746]은 전국의 명승을 두루 유람하며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효섬진강」은 지리산[1,915m] 쌍계사(雙磎寺) 방면을 유람하고서 배를 타고 내려올 때의 새벽 풍경을 노래한 것이다. 정식의 자는 경보(敬甫),...
-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김낙희의 문집. 김낙희(金洛熙)[1881~1960]의 자는 백경(伯敬), 호는 간암(艮菴)이다. 김낙희(金洛熙)의 아들 김성기(金性棋)가 부친의 유고를 모아, 부친이 죽은 이듬해인 1961년에 『간암유고(艮菴遺稿)』를 간행하였다. 서문은 권용현(權龍鉉)이 쓰고 발문은 정민용(鄭珉鎔)이 썼다. 4권 2책의 목활자본(木活字本)이며 표제(表題)와 판심제(版心題...
-
조선 중기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하홍도의 문집. 하홍도(河弘度)[1593~1666]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중원(重遠), 호는 겸재(謙齋)이다.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南冥學派)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인조반정 이후 벼슬에 추천을 받았으나 사퇴하고 깊은 산속에 머물며 정자를 지어 영귀대(詠歸臺)라 하고 학문에 힘썼다. 남명(南冥) 조식(曺植) 사후에 남명학파가 약 50...
-
조선 중기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하홍도의 문집. 하홍도(河弘度)[1593~1666]의 본관은 진주(晉州)이며. 자는 중원(重遠), 호는 겸재(謙齋)이다.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南冥學派)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인조반정 이후 벼슬에 추천을 받았으나 사퇴하고 깊은 산속에 머물며 정자를 지어 영귀대(詠歸臺)라 하고 학문에 힘썼다. 남명(南冥) 조식(曺植) 사후에 남명학파가 약 50...
-
조선 후기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최숙민의 문집. 최숙민(崔琡民)[1837~1905]의 호는 계남(溪南)이다.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사숙인(私宿人)[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받아서 도나 학문을 닦는 사람]이면서, 노론 계열로서 주리론을 주창한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1798-1876]의 문인이다. 이 두 가지가 문집에 절묘하게 융합되어 나...
-
조선 후기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하대관의 문집. 『괴와집(愧窩集)』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필사자가 누구며 언제 필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분권되지 않은 1책의 필사본으로 분량은 모두 139장이다. 표제는 괴와집(愧窩集)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20.7㎝, 세로 29.3㎝이다. 목록과 서문 및 발문은 없다. 현재 하대관(河大觀)[1698~1776]의 방계 후손인 하유집이 소...
-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정원항의 문집. 정원항(鄭元恒)[1823~1905]의 자는 형칠(亨七), 호는 교재(嘐齋)이다.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에 거주하였다. 1915년에 정원항의 외손 하영태(河泳台)가 유고를 모아 『교재집(嘐齋集)』을 간행하였다. 서문은 하겸진(河謙鎭)이 쓰고 발문(跋文)은 정규영(鄭奎榮)과 하영태가 썼다. 3권 1책의 목활자본(木活字本)이며, 표제(表題)와...
-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이일해의 문집. 이일해(李一海)[1905~1987]의 자는 여종(汝宗), 호는 굴천(屈川)이다. 하겸진(河謙鎭)의 문인이다.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 거주하였다. 1988년에 이일해의 아들 이재(李材)가 부친의 글을 모아 『굴천집(屈川集)』을 간행하였다. 서문(序文)은 없고 발문(跋文)은 이재가 썼다. 4권 2책[상·하]의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이며, 표...
-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이일해의 문집. 이일해(李一海)[1905~1987]의 자는 여종(汝宗), 호는 굴천(屈川)이다. 하겸진(河謙鎭)의 문인이다.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에 거주하였다. 1988년에 이일해의 아들 이재(李材)가 부친의 글을 모아 『굴천집(屈川集)』을 간행하였다. 서문(序文)은 없고 발문(跋文)은 이재가 썼다. 4권 2책[상·하]의 금속활자본(金屬活字本)이며, 표...
-
경상남도 하동 출신의 문인 하응로의 문집. 하응로(河應魯)[1848~1916]의 자는 학부(學夫), 호는 니곡(尼谷)이다. 성재(性齋) 허전(許傳)[1797~1886]의 문인이다. 1934년에 하응로의 손자 하우선(河禹善)이 조부가 남긴 글을 모아 『니곡집(尼谷集)』을 간행하였다. 서문은 김황(金榥)이 쓰고 발문은 하겸진(河謙鎭)이 썼다. 4권 2책의 목활자본(木活字本)이며, 표제...
-